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257/1424)
- 도류공
- 냇물이 다른 하천 또는 바다나 호수에 들어갈 경우에 물줄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유수를 유도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사이다.
- 도류공 (導流工) training dyke
- 하천의 합류점 등에서 유수를 순조롭게 안내하기 위한 제방이나 수제 등의 공사. 제방과 수제를 조합하여 두 하천의 물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 도류도 (導流島) channelizing island
- 도로 교통의 일부를 일정한 경로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차도 내에 만든 교통도(交通島). - channelized intersection, channelization
- 도류로 (導流路), 수로 (水路), 관거 (管渠) channel
- (1) 주로 비주류의 좌우 회전 교통을 위한 주행로에서 노면 표시, 연석(緣石, curb)등 연취(緣取)에 의해 독립한 차도 또는 차선을 만든 것. (2) waterway (3) pipe
- 도류벽 (導流壁) training wall
- 중앙 월류형(越流形) 홍수토(洪水吐) 또는 슈트(chute)형 홍수토처럼 경사면에 따른 개수로로 홍수를 흘려보내는 형식의 홍수토에 있어서 홍수가 넘치게 되지 않고, 또한 거침없는 흐름이 되도록 수로의 양측에 만든 콘크리트의 벽.
- 도류식 교차점 (導流式交叉點) channelized intersection
- 교통도(특히 導流島)를 설치하고 교통을 일정한 진로로 안내하여 처리하는 형식의 평면 교차점.
- 도류제 (導流堤) training levee
- 하천의 합류점이나 하구 부분에서 유로가 토사의 체적으로 인하여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 개소에 설치하는 제방. 합류점에서는 하천에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도수제라고도 한다. 하구에서는 정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바다에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때에는 돌제라고도 한다.
- 도류화 (導流化) channelization
- 평면 교차점에 있어서 직진 및 좌.우화전의 교통을 도류도(導流島)나 노면 표시의 설치에 의해 안전하고 적절하게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도르래, 가구 (街區), 블록 block
- [1] 윈치 등과 병용하여 힘의 방향 전환, 인장 속도의 변화, 인장력의 변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홈이 패인 풀리. [2] 도로에 의해 크기마다 구획된 주택 등의 부지. [3] <1>콘크리트 블록. <2>나무, 돌 등의 덩어리.
- 도리 경도 시험기 (-硬度試驗機) Dorry hardness tester
- 석재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기. 직경 2.5 cm, 길이 약 10cm의 원기둥 공시체를 부착하고, 석영 모래를 살포하면서 28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원판에 접촉하여 1,000회전 후의 마모량을 측정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