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252/1424)
- 도관 (陶管) earthenware pipe
- 양질의 찰흙을 사용하여 높은 온도로 소성한 찰흙 제품의 관. 경질이고 바탕의 흡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주로 배수용으로, 급수. 배연. 전선 매설용으로도 사용된다. clay pipe
- 도관 (陶管) earthware pipe
- 점토를 사용하여 압출기로 성형하고, 건조 후 유약을 발라 구워 만든 것. 유약으로는 식염 또는 망간을 사용한다. 직관과 이형관이 있으며, 압축 강도에 따라 보통관. 후관(厚管). 특후관의 3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 도괴율 (倒壞率) collapse ratio
- 지진 등의 도시 재해에서 도괴한 구조물이 전 구조물수에 차지하는 비율.
- 도교 (渡橋) transfer bridge
- 주운(舟運)이 많은 하천이나 항구에서 항해에 지장이 없도록 상부 구조를 높게 가설하고 여기에 가동 바닥을 현직시켜 이 가동 바닥에 차량 등을 얹고 한쪽 기슭에서 다른 기슭까지 운반하는 구조의 교량. 윤송교라고도 한다.
- 도그 스파이크 dog spike
- 궤조와 침목을 죄는 연강제의 특수한 못.
- 도근(점) 측량 (圖根(點)測量) supplementary control surveying
- 설정한 도근점 위치의 측량. - supplementary control point
- 도근점 (圖根點) supplementary control
- 지형 측량에 있어서 기설(旣設)의 3각점만으로는 세부 측량에서 그 밀도가 불충분할 때 이것을 기초로 하여 위치, 표고를 안 점을 포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작업을 도근 측량이라 하며, 새로이 설정된 낮은 정도의 보점(補點)을 도근점이라 한다. 세부 측량에는 평판이 사용되지만 평판상에서 다시 보점을 필요로 할 때에는 교회법에 의하여 도근점을 증설한다. 이것을 특히 도해 도근점이라 하고, 이를 위한 작업을 도해 도근점 측량이라 한다
- 도근점 (圖根點) supplementary control point
- 지형 측량에서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에 일시적으로 보충하는 기준점. minor control
- 도금 (鍍金) gilding
- 금속 표면의 다른 금속 박막을 정착시켜 녹을 방지하거나 장식을 하는 방법. plating
- 도기 (陶器), 토기 (土器) earthenware
- (1) 양질의 찰흙을 주원료로 하는 소성 제품. 경토(硬土) 등의 품질은 토기와 자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흡수율은 10% 이상 크고, 보통 유약을 칠하여 사용한다. potery (2) 찰흙을 주원료로 하여 800 ~ 1,000℃의 온도로 소성한 제품. 다공질이고 흡수율이 크며, 또 강도가 낮다. 화분, 토관 등이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