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98/1424)
- 널말뚝 파기 excavation with timbering
- 널말뚝을 박아서 흙막이를 하고 토사, 지반을 굴착하는 것.
- 널말뚝(sheet pile)
- 터널의 지보공은 지보공 본체만으로는 원지반을 완전히 지탱할 수 없어서 낙석이나 토사의 붕괴 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두께 3∼5cm의 소나무 널말뚝을 지보공과 원지반 사이에 삽입해서 흙막이를 한다. 원지반이 암석 등으로서 지보공의 작업 중에 대단한 지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보공이 끝난 후에 널말뚝을 삽입한다. 지질이 나빠서 지보공을 끝낼 때까지 큰 지압이 작용하거나 원지반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말뚝의 선단을 날카롭게 해서 원지반에 박아
- 널말뚝(sheet pile)
- 흙막이 또는 물막이 등에 쓰이는 연결이 가능한 판상의 말뚝이다. 나무, 철근콘크리트, 프레스트레스 콘크리트(prestress concrete), 가압콘크리트 강철 등이 있는데 강철말뚝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 널말뚝벽 자립 공법 (-壁自立工法) self-supported sheet pile construction method
- 굴착 깊이가 얕은 경우 버팀목이나 앵커를 설치하지 않고 널말뚝벽만의 흙막이벽을 써서 굴착하는 간이한 공법. sheet pi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널말뚝식 계선안 (-式繫船岸) sheet pile type quay wall
- 널말뚝을 소요 수심 이하 상당한 깊이까지 박아 벽면으로 만들고, 그 상부에 타이 로드를 부착하여 버팀판과 연결하며, 이 버팀판과 널말뚝의 뿌리부분(소요 수심 이하의 널말뚝 부분)에 작용하는 수동 토압으로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타이 로드의 대용으로 경사 말뚝을 사용하는 경우, 경사 버팀 말뚝식이라 하며, 또 타이 로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립(自立) 널말뚝식이라 한다. 또한 강 널말뚝을 2열로 박고, 두부(頭部)를 타이 로드
- 널안 heart-side
- 널결재로 수심(樹心)에 가까운 쪽의 면. 널대기인 경우 보통 널거죽을 표면측으로, 널안을 이면측으로 하여 시공한다.
- 널안 inside face
- 판의 원목(통나무)일 때 수심(樹心)에 가까운 쪽을 널안이라 한다. heart-side
- 넘쳐흐름 overflow
- 용기 또는 둑에서 물이 넘쳐서 흘러나가는 것.
- 네거티브 프릭션, 부의 마찰력 (負-摩擦力) negative friction
- 연약한 지반에 지지 말뚝을 타설하여 말뚝 주변이 지반 침하할 때 말뚝에는 하향의 마찰력이 생기는 것. 이것을 부(負)의 마찰력이라 한다. 부의 마찰력의 경감 방법으로서는 말뚝 표면에 아스팔트를 도포하는 방법, 2중관에 의한 방법, 군항(群杭)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 네덜란드식 쌓기 (-式-) Dutch bond
- 벽돌 쌓기의 한 방법으로, 벽두께가 벽돌 한 장 반이 되는 마구리면과 소단면(小端面)을 교대로 쌓는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