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74/1424)
- 기초에 대한 지지력의 검토
- 벽체에 대한 기초의 검토는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무게를 검토한다. 저면반력 및 편심각은 X (Vt-Hh)/V, e (b/2)-X, e≤b/6일 때, P1 (1+6e/6)(V/b), P2 (1-6e/b)(V/b), e>b/6일 때, P2V/3X, b'3X, αtan -1 H/V 벽체저면의 지지력 검토는 위으 P1을 등분하중으로 보고 분포 폭을
- 기초자갈
- 지반이 일반적으로 좋은 지역에서 다소의 용수등이 있고, 기초없이는 시공기초면을 정하기가 어려운 장소에 이용된다. 특히 지름이 적은 관의 도관에 사용되어 두께가 15cm 전후의 것을 관지름 정도로 펴서 탬퍼(tamper) 등으로 충분히 다져서 지반에 정착시킨다.
- 기초저면의 돌기
- 모래지반에 깬돌을 깔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기초 밑면에 돌기를 만들어 활동저항을 크게한다. 이때 돌기는 깬돌을 꿰뚫어서 충분히 본래의 지반에 관입시킬 필요가 있다.
- 기층
- 기층은 상층 노반위에 있고 그 不陸을 整正하여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루 전달하는 역할을 지녔으며 일반적으로 가열 아스팔트의 혼합물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기층을 2층이상으로 만들 경우는 하층을 기층이라 하고 위의 층을 중간층이라 한다.
- 기층 (基層) base course
- 아스팔트 포장에서 상층 노반위에 있으며, 표면을 정정(整正)하여 표층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노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갖는다. 보통, 조립도(組粒度)아스팔트 혼합물을 쓴다. - asphalt intermediate course
- 기층가열아스팔트
- 아스팔트에 조골재나 세골재 혹은 필러(filler)를 정해진 배합으로 혼합하여 가열한 것이다.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노반에 고루 전달하기 위해서와 아래 위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혼합조도에 있어서는 2.5mm체를 통과하는 분량이 35%이의 거친 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 기포 (氣泡) blistering
- 아스팔트 포장 표면이 시공 중 혹은 공용시에 원형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 강상판, 콘크리트 상판 포장의 내부에 남아 있는 수분, 유분이 온도 상승으로 기화하여 그 증기압이 원인으로 생긴다. - cleaning
- 기포 콘크리트 (氣泡-) bubble concrete
- 단열재나 구조재의 일부로서 쓰이며, 혼합제를 써서 기포를 만들어 경량화한 것(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인 경우가 많다).
- 기포 콘크리트 (氣泡-) cellular concrete
- 시멘트 페이스트에 발포제를 섞거나 혹은 안정한 거품과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어 이겨서 내부에 많은 기포를 포함시킨 다공질 콘크리트. 경량이고 흡음성, 열의 차단성이 뛰어나다. 비중 0.7 ~ 0.9 내외, 압축 강도 30 ~ 50kg/cm2, 열전도율 약 0.3kcal×m×h×℃ 의 것이 널리 쓰이고 있다. bubble concrete
- 기포 콘크리트(氣泡-) aerated concrete
- 콘크리트에 인공적으로 기포를 혼입(예를들면, 가스 발생제에 의하든지 아니면 미리 만든 기포를 혼입)하여 성형한 다공성 콘크리트. 경량 프리캐스트 부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cellular concrete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