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69/1424)
- 기저 유량 (基底流量) base flow
- 장시간에 걸쳐 유역 출구의 하이드로그래프를 보면 서서히 증감하고 있는 파 위에 급격하게 증감하는 파가 겹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서히 증감하는 파는 하이드로그래프의 기저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 유량을 기저 유량이라 하며, 그 위에 타고 있는 급격하게 증감하고 있는 파의 유량을 직접 유출 유량이라 한다.
- 기전력 (起電力) electromotive force
- 전압을 계속 유지하면서 외부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 단위 부호 V (볼트).
- 기제 (基劑), 주제 (主劑) base compound
- 2성분형의 재료에서 경화제의 혼입에 의해 경화하는 주체가 되는 원료 성분.
- 기종점 조사 (起終點調査) origin and destination survey
- 교통 조사 수법의 하나. 교통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분명하게 하는 교통량 조사로, OD 조사라 한다. 조사 대상 지역을 미래의 데이터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각의 구획 상호간의 교통량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제의 조사는 통행 중인 차를 정지시켜 운행자에게 질문하는 방법, 자동차의 소유자를 방문 또는 조사표의 우송에 의한 방법으로 조사하고 구획의 조합별 집계를 한다.
- 기준 강도 (基準剛度) reference stiffness
- 각 부재의 강도(剛度) 중 한 부재의 강도를 기준으로하여 다른 부재의 강도를 나타낸 값을 각각 기준으로 한 부재에 대한 강비(剛比, k)라 한다. 이 때 기준으로 한 부재의 강도를 기준 강도(k0)라 한다.
- 기준 강도 (基準强度), 규격 강도 (規格强度) standard strength
- (1) 재료 강도. 허용 응력도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 보통 F값으로 나타낸다. 재료마다 정해져 있다. (2) KS규격으로 정해지고 있는 재료의 강도. 재료 강도. 허용 응력도의 기준이 되는 F값은 규격 강도를 참고로 하여 정해지고 있다.
- 기준 면적 (基準面積) reference area
- 어떤 물리량이 면적에 따라 변화할 때 그 가늠을 주는 기준으로서 설정하는 면적.
- 기준 밀도(基準密度) standard density
- 흙의 다짐 관리(밀도 관리)를 할 때의 기준으로 하는 밀도.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현장 전압기(轉壓機)와 동등한 에너지로 흙을 다져 산정한다. D값 관리인 경우 : 실내 시험에 있어서의 최대 건조 밀도를 기준 밀도로 한다. 필 댐. 도로 등 중요 구조물에 쓰인다. C값 관리인 경우 : 실내 시험에 있어서의 자연 함수비 상태의 건조 밀도를 기준 밀도로 한다. 함수비 저하가 어려운 점성토에 대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다.
- 기준 시험 (基準試驗) standard test
- 포장 공사를 하는 경우 사용 재료나 기계를 쓸 수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 혼합물의 배합을 결정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수치를 얻는 것, 또 시험 시공에 의한 작업 표준의 설정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시험.
- 기준 아스팔트량 (基準-量) design asphalt content
- 아스팔트 혼합물 중의 아스팔트의 설계량. 마샬 안정도 시험에 의하여 결정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