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152/1424)

극한 설계 (極限設計) limit design
[1]종국 하중 또는 붕괴 하중이 주어지고 있을 때 리밋 애널리시스의 이론에 의거하여 구조물의 부재 치수나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 최소 중량 설계라고도 한다. [2]종국 하중 설계와 같은 뜻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극한 설계 (極限設計) plastic design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설계는 탄성체로서의 응력 계산을 하고, 재하(載荷)할 수 있는 하중 상태 중에서 가장 위험한 상태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이 재료의 항복 응력과 재료 안전율로 정해진 허용 응력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곡부(曲部)적인 응력에 관계없이 그 구조물 전체가 저항할 수 있는 최종적인 하중 상태 즉, 붕괴 하중(설계 하중에 일정한 비율을 곱한 것)을 구하는 설계법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 이것을 극한 설계 또는 소성 설계라
극한 지지력 (極限支持力) ultimate bearing capacity
지반 또는 말뚝이 지지할수 있는 최대 하중. 지반의 극한 지지력은 지반의 전단 파괴를 일으킬 때의 지지력을 취하며,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말뚝의 극한 지지력은 재하(載荷) 시험이 원칙이지만 Meyerhof의 수정식 기타가 쓰이고 있다. 모두 안전율로 나누어서 허용 지지력을 정하고 있다.
극한 해석 (極限解析) limit analysis
좌굴(座屈)을 일으키지 않는 완전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나 부재의 종국 하중 또는 붕괴 하중을 구하는 해석법을 말한다. - limit design
극한점 (極限點) limit point
하중. 변위 곡선에 있어서의 극대점. 극대점에 이르면 전이(轉移) 좌굴이 출현한다.
극한하중(factored load)
이 시방서의 강도설계법으로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하중으로서,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극한한계상태
구조물 또는 부재가 파괴되어 전도, 좌굴, 대변형 등을 야기시키므로써 불안정을 초래하는 상태로서 최대내하응력에 대응하는 한계 상태
근거리 통신망 (近距離通信網), 구내 통신망 (構內通信網) local area network
동일 건물, 동일 부지 등 비교적 한정된 범위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을 접속한다. 파일이나 프린터의 공유, 커뮤니케이션의 향상 등을 지향한 시스템이다. 각종의 통신 소프트웨어, 전송 방식이 있다. 주요 방식으로는 이서네트 방식과 토큰 링 방식이 있다. LAN
근계 (根系) root system
식물의 뿌리 전체를 말한다.
근교 주택지 (近郊住宅地) suburan residential quarter
기성 시가지 가까이에 입지하고, 도심으로 통근하는 사람 및 그 가족을 주요 거주자로 하는 주택지.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