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339/1424)
- 항복비 (降伏比) yield ratio
- 강재의 항복점과 인장 강도의 비. 강재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 항복비가 커지면 부재의 변형 능력을 저하한다.
- 항복비 (降伏比) yield strength ratio
- 항복 강도와 인장 강도의 비. 항복 강도가 명확하지 않은 재료에서는 0.2%의 영구 변형을 나타내는 점을 항복점이라 생각하고 항복 강도를 취한다.
- 항복선(降伏線) yield line
- 철근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붕괴 기구를 써서 슬래브의 휨 종국 내력을 산정하는 이론.
- 항복점 (降伏點) yield point
- 연강을 인장했을 때의 응력. 변형 곡선에서 탄성 한도를 넘으면 변형이 갑자기 증가하여 곡선이 포화 상태로 되는 현상을 항복이라 하고, 항복이 생기는 점을 항복점이라 한다. 이 때의 응력을 항복점. 항복 응력 또는 항복 강도라 한다. 연강 이외에서는 항복점은 확실하지 않지만 PC강재에서는 잔류 변형이 0.2%인 점을 항복점으로 하고 있다. - yield
- 항장곱 (抗張-) load strain product
- 인장 강도와 파단시의 신장의 곱. 재료의 파단 에너지의 대용 특성으로서 물성의 비교에 사용한다. tensile product
- 항장적 (抗張積) tensile product
- load strain product
- 항주파 (航走波) ship wave
- 선박의 항해에 의해 생기는 파도. 선수(船首)로부터 나오는 경사파와 선미(船尾)로부터 나오는 횡단 방향파의 2종류가 있다. 항주파는 어선이나 낚시배 등의 소형 선박 또는 작업선을 요동시키는 것 외에 운하 호안의 비탈면 침식의 원인이 된다. 항적파(航跡波)라고도 한다.
- 항타선
- 물위에서 말뚝 박는 일을 하는 작업선으로서 기초 말뚝박기 공사에 쓰인다. 선체는 상자형의 배로서 갑판 위에 말뚝 박는 망루와 감아 올리는 윈치(Winch), 선체에 고정용의 윈치가 있다. 박는 방법은 바로박기와 비스듬히 박기가 있는데 말뚝박는 기계에는 드롭해머, 스티임해머, 에어해머, 디이젤해머, 바이브로해머 등이 쓰인다. 비자항선으로 말뚝을 타설할 때는 말뚝 운반선, 앵커선, 견인선과 공동으로 작업한다.
- 해도 (海圖) sea chart
- 연안 및 해양의 자연 조건(수심, 해안선의 종류 등)을 나타낸 것이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항해용 해도, 수심도, 해저 지형도, 저질도(低質圖), 해류도가 있다.
- 해류 (海流) ocean current
- 주로 탁월풍 등의 영향으로 일어나는 거의 일정 방향, 유속을 갖는 바닷물의 정상적인 흐름.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계를 이루고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