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326/1424)
- 하횡구 (下橫構) lower lateral bracing
- 메인 거더나 메인 트러스의 상호 위치를 유지하고, 횡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연결하는 것. 보통 산형강을 트러스로 짜서 거싯에 의해 메인 거더에 접합한다.
- 한 곳 받침
- 평저지점(support)처럼 지지면과 한 곳에서 접하는 것을 말한다. 집중응력이 작용하므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한개의 토대
- 단면을 덮개하는 기초공사이다. 재질에 대한 내구성에 문제는 있으나 간단하고 용이한 호안에 쓰일 정도로 지금은 콘크리트의 기초공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 한계 간극비 (限界間隙比) critical void ratio
- 충분히 다져진 흙은 변형할 경우 체적이 증가하며 반대로 느슨한 흙은 변형할 경우 체적이 감소한다. 변형에 의해 체적이 증가도 감소도 하지 않는 흙의 간격비를 말한다.
- 한계 경사 (限界傾斜) critical slope
- - specific energy
- 한계 단면 (限界斷面) critical section
- [1] 항복, 파괴 등의 한계 상태에 이르고 있는 부재 단면. [2] 허용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부재 단면. 즉 허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 한계 물매 (限界-) critical gradient
- 등류(等流)가 보여지는 것은 폭파 바닥 물매가 일정한 긴 수로에 있어서이다. 이 등류가 상류(常流)인가 사류(射流)인가 하는 것은 유량과 수로의 마찰적 성질이 같다면 물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것이 한계 물매이며 수로 물매가 한계 물매보다 크면 등류는 사류로 된다. 일정한 단면을 가진 긴 수로가 일정한 물매를 가지고 있을 때, 수면을 손으로 교란시켜보아 그 교란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다면 그 물매는 한계 물매를 초과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한계 상태 (限界狀態) limit state
- 구조물의 거동이 설정한 한계에 도달하는 상태. 사용 한계 상태와 종국 한계 상태가 있다.
- 한계 상태 설계법 (限界狀態設計法) limit state design
- 일반적인 허용 응력도 설계법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설계의 기본적인 개념이며, 정해진 한계 상태에 대해 안정성을 조사(照射)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한계 상태로서는 일반적으로 휨이나 진동의 증가 등에 기인하는 사용한계 상태와 구조물의 파괴를 가정한 종국(終局) 한계 상태를 고려한다. 재료의 비선형성이나 강도의 불균일, 하중의 불확정성 등에 의해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가 있다. 사용 상태의 조사(照射)를 중심으로 한 허용 응력도 설계법과 파괴 상
- 한계 상태 함수 (限界狀態函數) limit state function
- 한계 상태를 정량적으로 표현한 함수.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