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1284/1424)

풍하중
바람이 어떤 구조물에 부딪히면 구조물은 작용력을 받게 된다. 이것을 풍하중 또는 풍압이라 하며, 이론적으로는 풍속, 압력계수, 노출계수와 단기돌풍의 영향 및 구조물의 동역학적 응답을 포함한 돌풍계수 등에 대한 통계자료에 의해 추출된다.
풍하중 (風荷重) wind load
구조물 주위에 바람이 불 때에 받는 힘. 설계용 풍하중은 기준 풍속에 의한 바람이 속도압과 수압면의 풍력 계수를 기본으로 하여 각종 계수를 곱해서 조립된다.
풍향
바람의 방향을 말한다. 어느 지역의 풍향과 풍속을 16방향 마다 제각기의 출현율을 구해서 그림으로 나타낸 것에 풍황도(또는 풍향풍속도)가 있다.
풍향 (風向) wind direction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한다. 기상 관측에서는 평균 풍향을 쓴다. 풍향계에 의해 16방위로 나누고 있다.
풍향 지시기 (風向指示器) wind direction indicator
비행장에서 풍향과 풍속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기구. 지상 이동 중의 항공기 또는 제어탑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풍향각 (風向角) wind angle
설정된 어떤 특정한 기준이 되는 방향과 풍향이 이루는 각도.
풍향계 (風向計) anemoscope
1매에서 여러 매 이상의 풍판을 수직축 주위에 회전시켜 풍향을 아는 것 (1분간의 평균 풍향을 구한다).
풍향기압차
(지구는 주위를 대기로 싸여 지상의 어느 점에서는 그 위에 있는 공기 기둥의 무게에 상당하는 압력을 받는다. 이 대기의 압력을 기압이라 한다.) 어느 2점 사이에서는 공기의 기압이 큰 점에서 적은 점으로 흐르고자 한다. 이것이 바람이 원인이 된다. 일기도에 그려진 등압선은 기압의 비슷한 점을 선으로 연결한 선이기는 한데 등압선에 수직 방향의 기압 변화에 대한 비율이 큰 곳은 풍속이 크다. 바람의 방향은 북 반구에서는 저기압의 중심을 좌로 보면서
풍향도 (風向圖) wind direction diagram
풍도(風圖) 중 풍향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수년 간의 바람의 관측 자료를 16방위로 나누고, 풍향 횟수의 총계를 적당한 척도로 방향선상에 잡아 그 종점을 연결한 선. 방파제의 배치나 구조, 비행장에서 활주로의 방향 결정 등에 이용된다.
풍화 (風化) weathering
암석이 그 생성조건과 다른 현재의 지표 조건에서 안정 상태로 되도록 세립화하고 화학 변화되어 가는 과정의 총칭. 물리적 풍화와 화학적 풍화로 분류된다. 물리적 풍화는 온도 변화, 동결, 물, 얼음, 공기, 생물에 의한 파괴, 지각 운동으로 세립화되는 것을 말하고, 화학적 풍화는 물, 공기에 의한 산화, 수산화 등의 화학 변화를 말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