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278/1424)
- 표지 (標識) sign
- 부호나 표지로서 형이나 색 등에 의해 물체의 위치. 방향, 조건 등을 보여준다. 표지에는 그림과 같은 측량 표지. 도로 표지. 철도 표지. 항로 표지 등이 있다.
- 표척 (標尺), 함척 (函尺) staff
- 수준 측량을 할 때 높이를 재는 자. 목제. 경합금제의 장방형 단면이 보통이며, 운반에 편리하도록 일반적으로 3단의 인출식으로 되어 있다.
- 표척대 (標尺臺) foot plate
- 정밀한 수준 측량을 할 때 전후시(前後視)를 취하는 동안에 표척이 이동하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기점(移器點)에 사용하는 철제의 대.
- 표층
- 표층은 포장의 최상부에 있고 대개 밀입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아스팔트 포장은 표층 단독의 경우는 하부에 중간층이나 기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에 시이링재를 만드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 두께는 50mm 정도이다. 교통차량에 의한 마모와 전단에 저항해서 평탄하고 미끄러지기 어렵고 빗물이 하부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춘다.
- 표층 (表層) surface course
- 아스팔트 포장의 최상부층. 교통 하중을 분산하여 하부에 전하는 구실 외에 안전하고 쾌적한 미끄럼 저항성과 평탄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치밀하고 불투수성이지만 기능을 부가한 배수성 포장도 있다.
- 표층 (表層) surface layer
- [1]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에 있으며, 2 ~ 3cm 이상의 두께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2] 기반보다 위에 있는 지층.
- 표층 지반 (表層地盤) surface stratum
- 지진 기반보다 상부의 지반에서 지진파가 그 지진 특성에 따라서 여러 가지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반에서 입사하는 파동은 이 부분에서 증대된다.
- 표층 지질도 (表層地質圖) subsurface geologic map
- 표토를 제거한 지표 부분의 지질을 특히 상세하게 나타낸 지질도.
- 표토 (表土) surface soil
- 암석이 풍화되어 생성된 토양이 지표에 퇴적되어 있는 것. 또는 암석 표면이 풍화되어 원 위치에서 토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기반에 대하여 표토라 한다.
- 표토 보전 (表土保全)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 교란되지 않은 토양 단면은 위로부터 퇴적층(낙엽층이라고도 한다), 표층, 하층, 기층으로 대별되는데, 퇴적층과 표층을 포함하여 표토라 한다. 표토는 부식질을 많이 포함하여 식물에게 있어서는 양분을 흡수하는 중요한 장이며, 토양 동물의 생식 장소이기도 하다. 조성에 앞서 표토를 일정한 장소에 집적하고, 조성 종료 후 식재(植栽) 장소로 다시 까는 것은 환경 보전상으로도 중요한 행위이며, 이와 같이 표토를 자원으로서 유효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 c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