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118/1424)

관리선의 수정
관리도의 관리선은 가급적 새로운 자료에 의해서 수정해 나간다. 1) 기술적으로 공정이 변화한 경우, 2) 관리도로부터 판단하여 공정에 변화가 일어난 경우, 3) 공정관리를 시작해서부터 일정기간을 경과한 경우 등이다.
관리의 서클(circle)
관리활동의 원칙은 관리의 서클에 의해서 추진된다. 관리의 서클이란 다음의 4단계를 말한다. Plan(계획) Do(실시) Check(검토) See(처리)
관리한계내에 있어서의 이상과 판정의 경우
관리도에서 타점이 관리한계중에 있을지라도 이상으로 여겨지는 것은 다음 경우이다. 1) 연속해서 중심선이 한쪽으로 7점 이상 나올 경우,이어지는 수가 6이면 주의,7이면 이상으로 간주 2) 주기적 변동 : 연속해서 물결 모양으로 되었을 경우 3) 상승 또는 하강 : 直上 및 直下는 없다.이어지는 수가 7은 이상으로 간주 4) 타점이 한계선 가까이에 많이 집중되어 있다. 5) 타점이 중심선 가까이에 많이 집중되어 있다.
관망 (管網) pipeline net
분기나 합류에 의해 전체가 망처럼 되어 있는 관 시스템. 하디 크로스의 근사 계산법에 의해 각관의 유량을 계산한다.
관성 (慣性) inertia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정지하고 있든가 또는 운동의 상태가 달라지지 않는 것.
관성 극 모멘트 (慣性極-), 극 2차 모멘트 (極二次-), 극 2차율 (極二次率) polar moment of inertia
(1)단면에 대하여 임의의 직교 좌표를 생각했을 때 원점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를 말한다. (2)회전하는 물체의 중심축(重心軸)에 관한 모든 미소 부분의 질량의 2차 모멘트의 합. - polar moment of inertia of area (3) polar moment of inertia of area
관성 모멘트(慣性-) moment of inertia
임의의 축에 관해서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단위 km.cm2, 기호 I, I∫a2dm 여기서, dm : 물체를 구성하는 질점의 질량, a : 축에서 그 질점까지의 거리, 또 전 질량 M, 중심(重心)을 통하는 축과 그의 평행인 축의 거리를 d로 하면 IIG+d2M
관성 상승 모멘트 (慣性相乘-) product of inertia
물체 내의 임의의 직교 좌표 x, y, z 에 관해서 다듬 식으로 주어진다. 단위 kg. cm2. 기호 Ixy, Iyz, Izx. Ixy ∬xydm Iyz ∬yzdm Izx ∬zxdm 여기서, dm : 물체를 구성하는 질점의 질량, x, y, z : 직교 좌표로 나타낸 그 질량의 위치. 관성 주축에 대해서는 이들의 값은 0으로 된다.
관성 측량 (慣性測量) inertial survey
좌표의 원점을 지정하여 정지 상태로부터 물체 운동의 시간적 변화, 즉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두 번 적분하면 시간과 더불어 변화하는 물체의 좌표를 나타낼 수가 있다. 항공기는 관성 유도 장치에 의해 대륙간의 이동에서 수 km의 정밀도로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자동차 또는 헬리콥터에 탑재시켜서 편도 2시간 이내의 왕복 폐합 트래버스로 D/40000 + 10cm 의 정도라고 한다 (D는 거리).
관성 행렬 (慣性行列) inertial matrix
n자 유도 비감쇠계의 운동식을 행렬로 표시할 때 가속도의 항에 걸리는 행렬. 대칭 행렬로 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