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114/1424)
- 과소 (過疎) depopulation
- 인구 감소로 인해 일정한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상태.
- 과소화 (過疎化) depopulation drain
-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여 그 지역의 사회 시스템이 종래의 수준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주민이 여러 가지 생활상의 불편을 회피할 수 없게 되는 상태.
- 과승 수준기 (跨乘水準器) striding level
- 트랜싯 등에 있어서 망원경의 회전축이 수평인가 아닌가를 보기 위한 수준기.
- 과실 오차(過失誤差) mistake error
- 측정값의 오독.오기(誤記) 등 부주의로 생기는 오차. 주의하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론상 오차로서는 다루지 않는다.
- 과압밀 (過壓密) over consolidation
- 과거에 현재 받고 있는 이상의 압밀 응력으로 압밀을 받은 일이 있는 흙의 상태. 설계상은 찰흙의 압밀 시험에서 압밀 선행 응력도 σ0을 구하고, 건물 건설 전과 건설 후의 상재(上載) 하중에 의한 유효 지중 응력도를 각각 σ1, σ2 로 한다. σ0>σ1의 상태를 과압밀 상태라고 하는데, [1]σ1<σ2
- 과압밀 점토 (過壓密粘土) over consolidated clay
- 과압밀 상태에 있는 찰흙.
- 과압밀비 (過壓密比) over consolidation ratio
- 현재의 유효 응력에 대한 과거에 받은 최대의 유효 응력의 비를 말한다. 과압밀의 정도를 나타낸다.
- 과오(過誤) mistake
- 기계의 취급 방법이 틀리거나 관측자의 착각 등의 부주의로 인해 생기는 오차이며, 그 밖의 눈금의 오판독, 야장(野葬) 기입의 틀림 등으로 과오는 이론적으로 보정 불가능하다. 측정시에는 충분히 주의를 하여 과실에 의한 오차의 혼입을 배제해야만 한다. 과오는 착오 또는 과실이라고도 한다. - error
- 과응력 (過應力) over stress
- 어떤 원인으로 부재에 가해지는 위험한 쪽의 응력도.
- 과잉 간극 수압 (過剩間隙水壓) excess hydrostatic pressure
- 흙이 체적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압 중 정수압을 초과한 부분을 말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