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포털
14세에 HPV 4가 백신으로 1차 접종을 하였고, 5개월 후 2차 접종을 하였습니다. 1, 2차 접종간은 6~12개월이라고 하던데, 다시 접종해야 하나요?
아니요. HPV 1차 접종을 9~14세에 시작한 경우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이 권고됩니다. 하지만, 1~2차 최소접종간격인 5개월이 준수되었다면 유효한 접종으로 더 이상의 추가접종은 불필요하며, 총 2회 접종으로 완료됩니다.
12세에 HPV 1차만 접종했고, 현재 16세입니다. 1차부터 다시 접종해야 하나요? 또한 3차까지 접종해야 하나요?
아니요. HPV 2차 접종이 지연되었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접종을 시작할 필요는 없으며, HPV 1차 접종을 만 9~14세에 시작한 경우, 접종 횟수는 HPV 첫 접종 연령에 따르므로 총 2회 접종으로 완료합니다.
HPV 백신 1차를 2가로 접종한 아동이 2차를 4가로 교차접종을 한 경우 재접종해야 하나요?
아니요, 재접종하지 않습니다.▶ 두 가지 HPV 백신을 교차해 사용할 때의 안전성, 면역원성, 효능에 관한 연구데이터는 제한적이므로 교차접종을 권장하지 않으나, 우발적으로 교차접종을 한 경우 해당 접종력은 인정하여 재접종하지 않습니다.
HPV 백신을 다른 백신과 함께 접종해도 괜찮은가요?
예, 가능합니다. 다만, 각각 다른 부위에 주사하여야 합니다.▶ 다른 백신과 함께 접종해도 안전한지에 대한 평가는 일부 이루어졌으며, 4가 백신의 경우 B형간염 재조합 백신, 2가 백신의 경우 성인용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Tdap) 및 불활성화 폴리오 백신(IPV) 및 DTaP-IPV 혼합백신, 불활성화 A형간염 백신(HepA) 및 B형간염 백신(HepB, 유전자 재조합)과 동시 투여할 수 있습니다.
11세에 HPV 백신 1차 접종을 하고 2차 접종이 지연되어, 현재 연령이 16세일 경우 접종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2차 접종(1회)을 하여 완료합니다.▶ 접종 시작 연령에 따라 접종이 횟수가 결정되며 HPV 백신은 첫 접종을 15세 이상에서 시행한 경우 총 3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동 대상자의 경우에는 11세에 첫 접종이 이루어져 총 2회 접종으로 완료가 가능합니다.
지난번 맞은 HPV 백신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HPV 백신 접종을 처음부터 새로 시작해야 하나요?
아니요, 처음부터 다시 접종하지 않으며 남은 횟수를 접종하여 완료합니다.▶ HPV 백신은 가능한 동일한 백신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앞서 접종한 백신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HPV 백신을 택하여 남은 횟수만큼 추가 접종을 하여 완료합니다.
일본뇌염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이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합니다.
일본뇌염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혈액 또는 뇌척수액 검체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증상은 무엇인가요?
초기 증상은 무기력증과 발열이며 종종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할 수 있으며, 뇌 징후, 뇌 신경 마비, 인지 및 언어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파킨슨 증상과 발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얼마 우에 증상이 나타나나요?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5~15일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 자료출처
「2024년 감염병 사업안내」, 「2024년도 예방접종대상감염병관리지침」, 「2024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질병청감염병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