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포털
어릴 때 A형간염을 앓았습니다. 성인이 된 지금 A형간염 백신을 접종해야 하나요?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된 경우 평생면역을 획득하므로 백신 접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A형간염 1차 접종 후 2차를 5개월만에 접종했습니다. 재접종해야 하나요?
네, 재접종해야 합니다.▶ A형간염 1차와 2차의 최소접종간격은 6개월이며, 해당 간격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접종력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잘못 접종한 날로부터 최소접종간격(6개월)을 두고 재접종합니다.
A형간염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A형간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용변 후, 음식 취급 전, 환자를 돌보거나 아이를 돌보기 전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손을 씻어야 합니다. 또 다른 예방법으로는 예방접종이 있는데,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거나, A형간염 면역이 없는 경우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여 면역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에 감염되면 수두 접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대상포진은 이전에 수두에 감염된 후 회복되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는 경우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 통증과 가려움,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로 대부분은 50세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대상포진을 앓았다는 것은 과거에 수두를 앓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수두 예방접종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15세인데 수두를 앓은 적도 없고 수두 예방접종을 한 적이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접종해야 하나요?
예, 13세 이상이므로 수두 백신 2회 접종(4~8주 간격)이 필요합니다.▶ 13세 이상에서 수두를 앓게 될 경우 더욱 심한 임상경과를 나타내거나 합병증이 더 많아지므로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도 없고 수두 예방접종을 한 적이 없다면 수두 백신 2회 접종(4~8주 간격)을 권장합니다.
수두와 MMR 백신 접종 시 지켜야 할 접종간격이 있나요?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은 동시접종이 가능하나, 만일 두 백신을 같은 날에 접종하지 않으면 최소한 4주 이상의 접종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하여야 합니다.
1세 이전에 수두에 걸렸던 아이도 수두 예방접종을 해야 하나요?
아니요, 수두를 진단 받은 경우 수두 예방접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수두 예방접종 대상은 생후 12~15개월 건강한 소아와 과거 접종력이 없거나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입니다. 과거에 수두를 앓고 회복되면 대부분은 평생 면역을 획득하게 되므로 예방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수두 백신 접종 10일 후 MMR 백신을 접종한 경우, 재접종해야 하나요?
예, 약독화 생백신 간 최소접종간격(4주)을 준수하지 못했으므로 4주 간격을 지켜 MMR 백신 재접종이 필요합니다.▶ 수두와 MMR 백신은 모두 약독화 생백신으로 동시접종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해야 합니다. 최소접종간격을 지키지 못한 경우 항체 생성률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4주 간격보다 일찍 접종한 경우는 나중에 접종한 생백신을 접종한 날로부터 4주 후에 다시 접종해야 합니다.
수두를 앓고 있는 사람과 만났습니다. 수두는 어떻게 전파되며, 언제까지 증상이 나타나나요?
수두는 감염자의 기침과 재채기 시 나온 수두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서 또는 수포병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노출 후 증상발현까지의 기간은 10-21일로 대개 14-16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전에 수두를 앓은 경우에는 이미 면역력이 있으므로 수두 환자와 접촉하더라도 다시 감염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드물게는 면역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러차례 앓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수두가 의심되는 아이에게 노출 되었다고 생각이 든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과거에 수두를 앓았거나 예방접종을 받았다면 특별한 조치는 없으나, 의심되는 환자와 마지막 접촉일(노출일)로부터 21일 동안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나는지 모니터링 합니다.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노출 후 가능한 한 빨리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합니다. 노출 후 3일 내(5일 이내까지 가능)에 예방접종을 받으면 질병의 예방과 중한 경과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감염되지 않은 사람도 미래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자료출처
「2024년 감염병 사업안내」, 「2024년도 예방접종대상감염병관리지침」, 「2024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질병청감염병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