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포털
예방접종피해를 국가에서 보상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히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요?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례에 대해서 피해보상을 받으려는 사람은 보상신청서에 피해에 관한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관할 보건소에 제출하며, 지방자치단체의 기초조사, 피해조사반 조사 및「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보상 여부 결정 후 심의내용은 관할 보건소를 통해 피해보상 신청자에게 안내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상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진료비* 및 정액간병비, 장애일시보상금,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가 포함됩니다.* 진료비 : 예방접종피해로 발생한 질병의 진료비 중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보험자가 부담하거나 지급한 금액을 제외한 잔액 또는 「의료급여법」에 따라 의료급여기금이 부담한 금액을 제외한 잔액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은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이상반응은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의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면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으로 대부분 2~3일 이내 사라집니다.
다른 백신과 같이 접종할 수 있나요?
다른 백신(예) 독감백신)과 같이 투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같이 접종할 경우 이상반응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시간 간격을 두고 다른 백신을 접종할 경우 해당 질환을 예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위험과 이러한 이상반응 증가와의 득실을 고려하여 접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백신을 접종해야 하나요?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추천합니다. 기초접종은 확진일로부터 3주, 추가접종은 확진일로부터 3개월 이후로 접종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임상증상은 무엇인가요?
사스와 메르스와 달리 무증상 감염이 많고, 증상이 생기는 경우 기침, 후각이상, 미각이상, 코막힘, 근육통, 두통, 무력감, 오한, 37.5℃ 이상의 발열 등이 나타납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효과가 사람마다 서로 다른가요?
연령대와 임신 여부에 따라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양합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로 인한 심각한 질병, 입원, 사망의 위험을 현저히 낮춥니다. - 특히 50~60%의 입원 예방효과와 80% 수준의 사망 예방효과가 알려져 있어 중증질환 및 사망을 낮추기 위해 예방접종은 매우 중요합니다.◦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경우 62~66% 감염예방효과가 있으며 중증질환을 일으키는 심각한 인플루엔자 감염은 75% 수준으로 예방합니다.◦ 임신부의 경우 40% 수준의 입원 예방효과와 함께, 태아에게 항체를 전달하여 임신 기간과 출산 후 영아에게도 첫 몇 개월간 인플루엔자 감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동시에 접종 가능한가요?
코로나19 예방접종과 인플루엔자 백신의 동시접종 시 유효성과 안전성이 국내·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미국 등 해외 주요국도 동시접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으로 동시 접종이 가능합니다. 다만, 동시에 접종을 하게 될 경우 일부 국소 반응이 증가할 수 있어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을 해야 합니다. 예시) 인플루엔자 - 삼각근(왼팔), 코로나19 – 삼각근(오른팔)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이 아닌 경우, 어떻게 접종할 수 있나요?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이 아닌 경우 가까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행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접종 가능하므로, 접종 가능 여부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임신부 무료접종 대상자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 임신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로 임신여부를 확인한 임신부는 무료 지원 대상입니다.
※ 자료출처
「2024년 감염병 사업안내」, 「2024년도 예방접종대상감염병관리지침」, 「2024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질병청감염병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