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2 절
        2002년주요업무계획  
           1. 2002년 시정운영 방향  
      ○ 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시정  
      ○ 동북아 해양수도 기반을 구축하는 시정  
      ○ 지식기반경제와 고용을 창출하는 시정  
      ○ 선진문화와 푸른 환경을 조성하는 시정  
       
           2. 2002년 역점시책  
        
       
      
        
            | 
          완벽한 대회시설 확보 | 
         
       
      ■ 신설 경기장 ⇒ 12개소(시건립 9, 타기관 3)  
        
      ■ 기존 시설 개·보수 ⇒ 76개소(기존경기장 31, 연습장 45)  
        ○ 기존경기장 2002. 4월 완공, 연습장 2002. 6월 완공목표 추진  
       
        ■ 선수촌 건립  
        ○ 건립규모 : 반여동 부지 7만평, 2,290세대, 14천명 수용, 3,020억원  
        ○ 추진현황 : 수장 및 가구 공사중, 종합공정 86%  
        ○ 2002추진 : 설비 및 조경공사, 2002.6월 준공  
       
        ■ 보도·방송센터 확보  
        ○ 확보규모 : BEXCO內메인프레스센터(MPC) 3,000평, 국제방송센터(IBC) 3,000평  
        ○ 추진현황 : 시설사용 임차료 저감방안 협의, 시설설계용역 완료  
        ○ 2002추진 : 시설 설치 및 운영       ▷MPC(8.20∼10.18)·IBC(5.24∼10.20)  
      ■ 진입도로 : 4개 노선 9.5㎞       ⇒ 완공 1, 건설중
        3  
        ○ 사직∼초읍간 2.5㎞ : 현공정 94%, 2002.3월 완공  
        ○ 연산R∼구 고속터미널간 3.8㎞: 현공정 87%, 2002.6월 완공  
        ○ 어린이대공원∼하마정간 2.8㎞ : 현공정 94%, 2002.4월 완공  
        ○ 선수촌 진입도로 0.4㎞ : 완공(2001.6.28)  
	   
        
            | 
          성공적인 대회 기반조성 | 
         
       
      ■ 다양한 이벤트 개최  
        ○ 신설 경기장 준공 기념행사 : 경기장별 준공시점, 시·조직위·자치구 공동  
            ▷ 2002. 4월 완공(5) : 금정체육공원(농구·사이클·테니스), 골프, 볼링  
            ▷ 2002.3∼5월 완공(4) : 강서체육공원(펜싱·하키·양궁), 조정·카누  
            ▷ 2002.6∼7월 완공(2) : 기장체육관(배구), 승마  
        ○ 대회가 공식음반 발표회 : 전국 5대 주요도시 순회경연(2002.3월)  
        ○ 아시안게임 D-200일, D-100일, D-30일 기념행사 : 시·조직위 공동(3∼9월)  
      
       
        ■ 대대적 홍보활동 전개  
        
      
      ■ 시민참여 활성화  
        ○「아시안게임 범시민협의기구」구성 : 관람지원, 재정후원 등  
        ○ 직능·단체별 이벤트 행사 : AG성공다짐 체육대회, 결의대회 등  
        ○ 기관·단체와의 간담회 등 개최 : 대회준비사항 설명 및 분위기 조성  
        ○ 행정기관 주도로 시민참여 분위기 조성  
            ▷ 공문서 상하단 홍보 : 대내외 모든 공문서 상하단에 홍보문안 표기  
            ▷ 직원명함 제작 홍보 : 직원명함 상하단에 대회개요 등 표기  
            ▷ 각종 홍보물 제작시 : 대회개요 등 표기·홍보 등  
        
         
	  
 
        
            | 
          경기장 시설의 효율적 관리·활용 | 
         
       
      ■ 경기장 시설 효율성 제고  
        ○ 신설경기장(금정·강서·기장) : 시설관리 인수팀 조기 투입, 하자점검 등  
        ○ 경기장시설의 운영시스템 검토 : 시 직영, 시설관리공단 위탁 등 검토  
       
        ■ 경기장시설 수익사업 추진  
        ○ 주경기장주차장 민자사업 : 주차장·부대시설, 연 19천평, 630억원  
        ○ 경륜사업 추진 : 금정사이클 경기장, 2003년 개장목표  
      
        
            | 
          독창적인 아시안게임 문화축전 | 
         
       
      ■ 개·폐회식 행사  
        ○ 개회식 행사(9.29) ⇒ 주제 : "아름다운 만남"  
            ▷ 6개 작품 공연, 출연인원 5,500여명 참여  
        ○ 폐회식 행사(10.14) ⇒ 주제 : "귀향"  
            ▷ 4개 작품 공연, 출연인원 4,500여명 참여  
      ■ 성화 채화·봉송  
        ○ 성화채화 : 백두산·한라산·OCA회원국별 자국내 자체채화(2002. 9. 5)  
      
          ○ 성화봉송 : 판문점 합화후 전국봉송(2002.9.5∼9.29, 25일간)  
            ▷ 143개 시·군·구 822구간 4,100㎞ 예정  
      ■ 문화축전행사 ⇒ 부산시 + 조직위원회  
        ○ 주 제 : 부산과 아시아가 하나되는 문화예술 축제  
        ○ 구 성 : 공간개념의 5대 분야로 구분  
      
      
      
        
          | 
             구 분
          | 
          
             주요 행사내용
          | 
          
             추진주관
          | 
             
        
          | 
             국제이벤트 한마당
            | 
          
             국제영화제, 비엔날레, 락페스티벌, 바다축제 등
              | 
          
             부산광역시
            | 
             
        
          | 
             아시아교류 한마당
            | 
          
             아시안 위크, 아시아연극제 등
            | 
          
             "
            | 
             
        
          | 
             부산의 예술과 축제
            | 
          
             부산소재 창작예술, 문화예술행사, 축제 등
            | 
          
             "
            | 
             
        
          | 
             한국의 문화향연
            | 
          
             한국의 문화와 전통예술행사 등
            | 
          
             조직위원회
            | 
             
        
          | 
             선수촌 한마당
            | 
          
             공연·전시·영화 등 다양한 문화행사
            | 
          
             "
            | 
         
             
       
        
       
	  
        
            | 
          경기장 시설 확보  | 
         
       
      ■ 경 기 장  
        ○ 확보시설 :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2001.9월 개장)  
            ▷ 규 모 : 관람석 53,926석, 주차면수 4,015대  
        ○ 2002추진 : 안내표지판 및 경기장 안전시설 등 시설 보완  
       
        ■ 공식 연습장  
        ○ 확보시설 : 4개소(주경기장 보조경기장, 구덕운동장, 북구 구민운동장 2면)  
        ○ 2002추진 : 북구 구민운동장 시설보완, 2002.2월 완공, 4억원  
	  
        
            | 
          문화행사 개최  | 
         
       
       
         
       
       
       
	  
        
            | 
          대회시설 준비  | 
         
       
        
      
      ■ 경기장 편의시설 확충·보완  
        ○ 대 상 : 17개 종목별 경기장  
        ○ 2002추진  
            ▷ AG 신설경기장(7개소) : 경사로·차양막·임시관람석 등 임시시설 설치  
            ▷ 기존 경기장(9개소) : 증·개축 공사시 추가편의시설 설치  
      ■ 선수촌 편의시설 설치 ⇒ 장애인 숙소 140세대 중점추진  
        ○ 숙 소 : 화장실 손잡이, 출입문턱제거, 현관문경사로 등  
        ○ 부대시설 : 경사로, 핸드레일, 출입구램프, 식당경사로 등  
       
        ■ 메인프레스센터(MPC) 확보 지원  
        ○ 설치 장소 : 아시아드주경기장  
        ○ 시설물설치 : 보도작업실(공동·개별), 사무용가구, 대회정보안내센터, 사진현상소, 카메라수리소, 임시전화, 
                        팩스 등  
	  
        
            | 
          대회지원 | 
         
       
      ■ 인력지원  
        ○ 소요인력 : 총 6,882명(사무처 135, 지원요원 2,760, 자원봉사 3,897 등)  
        ○ 지원계획 : AG인력 연계 지원 - 지원인력 2,760, 자원봉사 3,897명  
       
        ■ 재정지원  
        ○ 소요재원 : 총 250억원  
        ○ 지원계획 : 시 30억원(2002년 16억), 특별교부세 40억원(행자부 신청)  
       
        ■ 물자지원  
        ○ 소요물자 : 총 1,786품목 424천점, 27억원  
        ○ 지원계획 : AG물자 연계사용(협약체결), 특장차량 등 시보유물자 지원  
       
        ■ 대회지원체계 구축  
        ○ 상황실 운영 : 종합상황실(AG주경기장), 개별상황실(경기장 및 구·군)  
        ○ 정책·실무협의회 운영 : 시 + 조직위, 월 1회 운영  
      
        
            | 
          대회분위기 조성 | 
         
       
      ■ 대회홍보 강화  
        ○ 홍보대사 활용(20명) : 대회CF, 홍보비디오 제작·활용 등  
        ○「귀동이봉사단」운영(900명) : 문예·수화·수송 등 분야별 활동  
        ○ 지역축제 참가홍보 : 전국 주요도시 문화, 관광 등 축제  
        ○ 해외홍보 : FG개최도시 방문, AG·WC 순회홍보시 병행  
        ○ 주요 이벤트 기획운영 : D-100일 행사, 장애인의 날, 장애인문화축제 등  
       
        ■ 문화행사 추진  
        ○ 성화봉송 행사(10.20∼26) : 봉송거리 480구간 960㎞  
        ○ 선수촌·경기장 문화행사(10.25∼11.1) : 경축전야제, 화합이벤트 등  
        ○ 장애인관련 문화행사('02.4∼11) : 장애인복지박람회, 작품전시회 등 9개행사  
       
        ■ 자원봉사자 모집·관리 지원  
        ○ 모집인원 : 통·번역요원 등 31개분야 4,000명  
        ○ 2002계획 : AG자원봉사자 동시참여 희망자(9,255명)중 선발 지원  
      
      ■ 손님맞이 준비  
        ○ 각실·국 : 대회준비기본계획에 따라 분야별·단계별 추진  
            ▷ 교통·문화관광·환경정비 등 8개분야 58개 역점과제 중점관리  
        ○ 준 비 단 : 추진상황 심사평가 및 대시민 종합보고회 등 개최  
            ▷ 분야별 보고회 : 수시, 종합보고회 : 격월제(개최도시·조직위 합동)  
       
        ■ 지원체제 강화  
        ○ 조직위와 협력강화 : 정책협의회 개최(수시)·해결방안 강구  
        ○「대회종합상황실」설치·운영 : 국제경기대회 2개월 전부터  
        ○ 정부지원 확보 : 월드컵과 대등한 차원에서 아시안게임 지원  
       
        ■ 국제경기대회기념관 건립  
        ○ 위 치 : 부산종합운동장내 중앙광장, 연면적 600여평, 45억원  
        ○ 건립내용 : 전시관, 다목적홀, 사료관, 자료실 등으로 구성  
        ○ 2002계획 : 실시설계 용역완료후 착공(3월)·준공(12월)  
       
        ■「지구촌 젊은이의 광장」조성  
        ○ 사업내용 : 주경기장 주진입데크, 48개 주기둥 命名(참가국), 4억원  
        ○ 2002계획 : 기본계획수립·단계별 시행(3월) ⇒
        상반기 조성완료  
       
        ■ 부산비엔날레 참여작품 설치  
        ○ 사업내용 : 20여점(40m내외 초대형∼3m내외 중형) 전시, 30억원  
        ○ 2002계획 : 기본계획 수립(3월)·현장제작 및 설치완료(8월)  
       
           
       
      
        
      ■「해양수도(OC) 21」부문별 전략계획 수립  
      
        ○ 추진상황 : 용역발주('01. 5∼12, 용역비 1억원)   ⇒ KMI 수행  
            ▷ 용역내용 : 해양수도로서의 기능과 비전, 발전전략  
        ○ 2002계획 : 부문별 세부추진전략 수립, 2억원  
       
        ■ 부산항만공사(PA) 설립  
        ○ 사업개요 : 부산항의 국제경쟁력 제고, 항정과 시정의 일원화  
        ○ 추진상황 : 기본원칙 합의('00.11.21), 수정법안 마련, 입법절차 진행중  
        ○ 2002계획 : 부산시 의견이 반영된 특별법 제정 및 공사 출범  
       
        ■ 부산항 관세자유지역 운영 활성화  
        ○ 대상지역 : 신선대터미널, 감천 한진터미널·구 제일제당 부지 387천평  
        ○ 2002계획 : 관세자유지역 활성화를 위한 연구용역('02. 1∼'02.11), 민관합동 운영협의회 설치  
       
        ■ LME지정창고 운영  
        
      
      ■ 해운·항만물류산업 Portal Site구축·운영  
         ○ 사업개요 : 지역내 1,700개 해운·항만물류업체의 부가가치창출을 위한 e-Logistics 인프라 구축
          ○ 추진상황 : 실태조사·분석 및 사업착수('01. 6월)
          ○ 2002계획 : 사업완료('02. 1월), 정보교류 등 운영 활성화 유도
        
       
      ■ 부산신항 건설  
      
        
      
       
        ■ 감천항「국제수산물류·무역기지」개발  
        
      
        
      
      ■ 동부산「수산종합물류·관광단지」조성  
        ○ 사업개요 : '98∼2006, 매립 175천평, 사업비 6,803억원  
            ▷ 대변지구(수산종합유통단지), 연화지구(수산종합관광단지), 해상지구(해양종합목장단지)  
        ○ 추진상황 : 기본계획 완료('00.12),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반영('01.7)  
        ○ 2002계획 : 예비타당성조사 협의 추진(기획예산처)  
      
        
       
        ■ 연안정비사업 추진  
      
      ■ 용호만 공유수면 매립  
        ○ 사업개요 : 용호동∼남천동 일원 197천평, 4,664억원, 2002∼2007  
        ○ 2002계획 :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수립  
       
        ■ 낙동강하구 민속촌 조성  
        ○ 사업개요 : 구포·화명·금곡일대 8만평, 2001∼2004  
            ▷ 주요시설 : 어촌전시관, 민속나루터, 범선선단, 어촌체험장, 어촌장터 등  
        ○ 추진상황 : '01. 4월 기본계획용역 착수(12월 완료)  
        ○ 2002계획 : 기본·실시설계 착수(국비 10억원 반영), 유사시설, 사례조사, 관계기관 협의 등
       
       
        ■ 국립해양박물관 건립 추진  
        ○ 사업개요 : 영도구 동삼동 15천평, 1,000억원, 2001∼2008  
        ○ 추진상황 : 해양한국(OK)21계획에 반영('00.5) ⇒ 세부사업명시  
        ○ 2002계획 : 기본설계비 확보(12억원)  
      
        
          | 
             ■「센텀시티」개발 ⇒ 35만평, 8,937억원, '97∼2011
            | 
         
       
        
        
      
          | 
             ■ 동부산 관광단지 조성 ⇒ 231만평, 1조 4,150억원,
              '99∼2010 
            | 
         
       
       
      
          | 
             ■ 서부산 유통단지 조성 ▷ 27만평, 2,077억원,
              '99∼2007 
            | 
         
       
        
        
      
      ■ 도시비전에 대한「기본 틀」정립  
        
      ■ 개발제한구역 해제  
        ○ 개발제한구역 우선 해제 : 대규모취락지(5개지구), 고리원전 주변지역  
        ○ 광역도시계획에 의한 해제 : 20호이상 취락지역(142개소), 조정가능 후보지  
        ○ 2002계획 : 우선해제 신청('02.2월), 조정가능지 단계별 해제('02.6월이후)  
      
        
       
      
      ■「10대 전략산업」본격 추진  
      
        
        
      ■「미래첨단산업」육성기반 조성  
      
        
        
       
	  
        
            | 
          중소기업육성 지원 | 
         
       
       
        ■ 자금지원  
        ○ 운전자금 : 2,000개업체 3,000억원(신규 2,000, 상환연장 1,000)  
            ▷ 업체당 2억원 이내, 2년거치 일시상환, 1회에 한해 1년 연장 가능  
        ○ 육성자금 : 250개업체 1,231억원(창업및경쟁력강화자금1,000, 시장재개발자금231)  
            ▷ 11억원 이내(시설자금 8, 운전자금 3), 3년거치 5년분할  
        ○ 보증지원 : 3,400개업체 1,400억원(업체당 최고 4억원, 기본재산의 15배)  
            ▷ 기본재산 확충 : 619억원 → 669억원(출연 : 시비30, 국비20)  
       
        ■ 기술개발 지원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사업 : 12개 컨소시엄, 230개 애로기술 개발, 45억원  
        ○ 특허기술도우미 사업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위탁, 100개 업체, 0.3억원  
        ○ 1기업 1핵심 맞춤정보사업 : 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공동  
            ▷ 100개 업체 첨단 신기술 및 원천·핵심기술 정보제공, 0.7억원  
       
        ■ 창업지원  
        ○ 창업강좌 개설 : 소자본 창업, 벤처, 전자상거래 등 7개 강좌, 5월중  
            ▷ 계획 수립('02.2월), 수강자 모집 및 강사진 확보('02.4월)  
        ○ SOHO창업박람회 : 100개부스 150개업체 제품 전시, 11월중  
            ▷ 계획 수립('02.9월), 장소확보 및 행사별 준비('02.10월)  
        ○ 대학창업보육센터 지원 : 부산지역 19개대학, 300개사 보육, 3.8억원  
      ■ 판매지원  
        ○ AG기간 특별판매전 : BEXCO야외전시장, 600평 70개부스 70개업체  
        ○ AG소요물자 지역제품 우선구매 : 구매목표 283억원, 38개업종 1,096개품목  
        ○ 우수제품 일간신문 홍보 : 우수중소기업제품으로 선정한 제품  
            ▷ 기획보도(매주 월요일, 2개업체씩), 전면 유료광고(2회 40개업체)  
        ○ 부산상품 홈페이지 운영 : 등록업체 380개업체 (영문등록 130개업체)  
        ○ 중소기업제품 상설전시장 운영 : 시청 1층 시민홀(33평), 170개업체 450개제품  
        ○ 부산상품상설전시판매장 운영 : 부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1층(142평), 
                                                 지역중소기업제품 123개사 844개제품  
        ○ 부산공예품전시장 운영 : BEXCO전문전시장내, 지역공예품 45개업체 350종  
        ○ 지역공동브랜드 테즈락 활성화  
            ▷ 매출확대 : '01년 130억원 → '05년 1,500억원  
            ▷ 경영개선 : 반품율 최소화, 전문인력 보강, 상품력 강화 등  
            ▷ 수권 자본금 확충 : 394백만원 → 3,000백만원  
       
        ■ 품질경영 및 기술지도 지원  
        ○ 1사 1품질 인증획득 지원 : 100개업체, 4억원, 컨설팅비용 등 일부 지원  
        ○ 품질경영 진단 및 기술지도 지원 : 30개업체, 30백만원(업체당 1백만원)  
        ○ 제5차 국제품질경영·조직개발회의 개최(10.29∼31) : 20개국 300여명  
        ○ 제7차 국제산업공학 학술대회(10.24∼26) : 20개국 300여명  
        ○ 2002 ISO/TC8 총회 및 자문그룹 회의(10.21∼25) : 40개국 200여명  
        ○ 2002 부산광역시품질경영대회 개최 : 6월, 부산상공회의소 대강당  
       
        ■ 정보화 지원  
        ○ ASP사업 추진 : ERP, 그룹웨어 서비스제공 업체 확대 : 13개사 → 20개사  
        ○ 신평·장림 정보화촉진지구 포털사이트 구축 : 기술개발 및 구축, 3.4억원  
        ○ 산업기술정보 DB구축 : 상품, 인력, 장비 등 조사후 산업기술정보D/B화  
       
        ■ 기업애로 해소  
        ○「기업민원후견인제」운영 : 공무원 626명, 20인이상 1,873개사  
            ▷ 1인 3개사 담당, 매월 1회 업체방문 기업애로사항 청취 해결  
        ○ (社)중소기업지원봉사단 운영 : 13개팀 300명(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 인터넷 기업애로 상담실 운영 : 기업애로 입력 → 접수·처리(3일이내)  
       
        ■ 경영활동 지원  
        ○ 중소기업주간 운영 : 기업인의 사기양양과 자긍심 고취, 5월중  
        ○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 18개 입주기관·단체 연계 One-Roof서비스 완벽 제공  
        ○ 중소기업지원시책설명회 : 유관기관(2월), 중소기업협동조합(6월, 11월)  
      
        
            | 
          벤처기업 활로 모색 | 
         
       
      ■ 자금지원 확대  
        ○ 창업자금 : 40개업체 50억원, 업체당 5억원이내  
            ▷ 업력 5년미만의 부산지역소재 벤처기업, 연리 5%, 3년거치 5년 균분상환  
        ○ 운전자금 : 90개업체 100억원, 업체당 2억원이내  
            ▷ 부산지역소재 벤처기업, 연리3∼5%, 2년거치 일시상환(1년 연장 가능)  
        ○ 부산벤처투자펀드 내실 운영 : 60억원(시 10, KTB 40, 기타 10)  
            ▷ 우수기업 10개사 발굴, 업체당 3∼5억 정도 투자  
       
        ■ 창업 및 경영활동 촉진  
        ○ 벤처창업동아리 지원 : 부산소재 대학내 우수동아리 5개선정(25백만원)  
        ○ 벤처CEO 경영강좌 개최 : 벤처기업 CEO 100명, 10월중  
        ○ 2002부산벤처플라자 개최 : 제품홍보 및 창업 촉진, 11월중, BEXCO  
       
        ■ 입지지원 강화  
        ○ 벤처빌딩 운영 : 4개소(CBS·부산·백양벤처빌딩·네오스포)  
            ▷ 입주공간 확대(64개사 → 95개사), 네오스포 내부시설 설치(29개실)  
        ○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활성화 : 2개지역(대연·센텀 0.5㎢, 하단동 2.2㎢)  
            ▷ 대연·센텀지구내 벤처진흥센터 준공 : 45억원 투자, 18개업체 입주  
            ▷ 하단지구내 기술거래사업 추진 : 6억원, 기술D/B구축 및 기술마트 개최(2회)  
      
        
      
      ■ 재래시장 경쟁력 제고  
      
        
      ■ 전자상거래센터(ECRC) 운영·지원  
        ○ 사업개요 : 전자상거래 활성화, 인력양성, 인르라 구축 등  
        ○ 2002계획 : e-Business 인력양성 지원(2개소, 190백만원), 5개분야  
       
        ■ 소비생활센터 설치  
        ○ 설치장소 : 시청사내 여가 공간 활용(10여평)  
        ○ 2002계획 : 소비자보호조례 개정, 인력확보(5명), 2002 상반기 개소  
       
        ■ 상거래질서 확립  
        ○ 가격표시제 이행 대상업체 관리 및 지도단속 : 년중실시  
        ○ 상가 및 관광지역 유통업체 가격표시제 중점 추진 : 구·군별 1개소 이상  
        ○ 위조상품 유통근절 홍보 및 합동단속 실시 : 분기 1회  
      
      ■ 투자유치기반 조성  
        ○ 기업용토지 알선중개소 설치 : 투자통상과內, 수요자와 공급자 연결  
        ○ 기업체 외자유치 I-Matching 추진 : 100개 기업목표  
        ○ 외국인학교 지원 : 영어권 2개교(부산외국인학교, 부산국제학교)  
        ○ 투자유치 마케팅 강화 : TFT투자유치팀 파견 및 국내설명회 개최 등  
       
        ■ 해외시장개척 지원  
        ○ 해외 시장개척단 파견 ⇒ 3회 26개사, 100백만원  
        ○ 국제 전시회·박람회참가지원 : 5회 48개사, 150백만원  
        ○ 해외바이어 초청 상담회 : 4회 63명, 70백만원  
        ○ 해외 통상자문위원 활용 강화 : 13명  
        ○ 해외무역사무소 기능 강화 : 전문 마케팅요원 증원(1명) 등  
       
        ■ 중소기업 수출역량 제고  
        ○ 전문 마케팅요원 양성 : 통상실무강좌(1회 40명) 등  
        ○ 수출상품 해외광고 지원 등 : KOREA TRADE지(5회 40개사) 등  
        ○ 유망중소기업 발굴 수출기업화 : 신용보증료(50개사), 바이어 발굴 등 지원  
        ○ 인터넷 무역 활성화 : 수출 유망업체 50개사 선발, StoreFront 구축  
       
        ■ 통상교류 확대  
        ○ 한·일해협 경제교류 강화 : 8개 시·도·현(한국4, 일본4), 초청상담회  
        ○ 부산·기타큐슈 경제협력 추진 : 상호 초청상담회, 박람회 등  
        ○ 시범교류 : 2개 도시(독일 함부르크시, 베트남 호치민시)  
        ○ 중국시장 산업협력방안 모색 : 시장조사(3∼8월), 추진전략 수립  
      
      
      ■ 정관면 정주생활권 개발('99∼2004)  
        ○ 사업개요 : 기장군 월평·두명·임곡리 일원, 사업비 4,196억원  
        ○ 사업내용 : 상수도관 매설 6㎞, 교량설치 4개소, 도로정비 6.2㎞ 등  
        ○ 2002계획 : 상수도 1.3㎞, 교량설치 1개소, 도로정비 1.6㎞, 6.3억원  
       
        ■ 농업기반시설 개발·정비  
        ○ 농업용수보강 : 취수장 1개소, 수혜면적 275ha, 사업비 17억원  
        ○ 수리시설·개보수 : 대정동 등 5개 지구, 사업비 19억원  
        ○ 암반관정 개발 : 기장군 일원 8공 개발, 사업비 3.2억원  
        ○ 저수지 개·보수 : 16개소(강서구 2, 기장군 14), 사업비 56억원  
       
        ■ 감천항 공영수산물도매시장 건설  
        ○ 사업개요 : '95∼2004, 부지 121천㎡, 사업비 1,848억원  
        ○ 추진상황 : 부지매립 및 안벽·호안 공사 착수(2001. 10)  
        ○ 2002계획 : 부지매립, 안벽·호안공사 ⇒ 계획공정 27%(국비 220억 확보)  
       
        ■ 감천항 수산물유통가공단지 조성  
        ○ 사업개요 : '95∼2004, 냉동ㆍ냉장시설 13개소(능력 370천톤), 공동이용시설 6개소, 사업비 2,731억원, 
                     사업주체-수협
       
        ○ 추진상황 : 금년도 계획 냉동·냉장시설 2개소 완공  
            ▷ 총 냉동·냉장공장 6개소 및 공동이용시설 2개소 준공·운영중  
        ○ 2002계획 : 2002년 냉동·냉장시설 1개소 건설(민자, 400억원)  
       
           
      
        
      ■ 기초생활보장대상자 보호  
        ○ 기본급여 지급 : 6대급여 3,349억원  
            ▷ 생계급여 1,124, 주거급여 160, 교육급여 105, 의료급여 1,960  
        ○ 자활급여 지급 : 775천명 165억원  
            ▷ 자활근로(631천명), 지역봉사(79천명), 재활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45천명)  
       
        ■ 자활자립 자금융자 지원  
        ○ 생업자금 : 연리 5%, 1,200∼2,500만원 한도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주민  
        ○ 전세자금 : 연리 3%, 2,100만원 한도  
            ▷ 저소득 전세입자중 전세금 3,000만원 이하인 자  
        ○ 생활안정자금 : 연리 5%, 2,000만원 한도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주민  
       
        ■ 저소득층 자활사업 추진  
        ○ 자활사업 기반 확충(2개 사업)  
            ▷ 복지전문요원 확충 : 386 → 521명(1인당 200가구 → 105가구)  
            ▷ 자활후견기관 지정 확대 : 14 → 18개소, 25억원  
        ○ 자활근로사업 : 4,032명(조건부수급자), 161억원  
        ○ 자활공동체 확대(12 → 25), 지역봉사사업 504명 2.8억원  
        ○ 자활·사회적응프로그램 운영 : 630명, 1.4억원  
       
        ■ 시민생활안정 특별지원  
        ○ 긴급구호 : 40백만원(수시발생 생계곤란 주민, 가구당 50만원이내)  
        ○ 기초생활보장 특별지원 : 54억원(생계·연료비, 자녀교통비 등)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노숙자보호 강화  
        ○ 노숙자 쉼터 운영 : 9개소 550명  
        ○ 지원계획 : 14억원(급식비, 운영비, 자활사업비, 의료비 등)  
        ○ 보호대책 : 취업알선, 공공근로 참여, 재활프로그램 운영 등  
       
        ■ 쪽방거주자 지원  
        ○ 쪽방거주자 현황 : 250명정도 추정(6개구)  
        ○ 지원대책 : 기초생활보장번호 부여, 푸드뱅크연계 급식 지원  
        ○ 상담소 운영 : 2개소, 1.4억원(생활불편 해소, 근로알선, 시설입소 안내 등)  
       
        ■ 무료급식소 운영  
        ○ 운영현황 : 55개소 11억원  
        ○ 이 용 : 결식노인·아동·저소득서민 등 1일 평균 6,100명 이용  
      
      
        
      ■ 공공근로사업 추진  
        ○ 사업개요 : 396억원, 연 1,017명(1일 평균 4,687명)  
        ○ 사업유형 : 4개 유형   ○ 공공생산성, 환경정화, 정보화, 공공서비스  
        ○ 2002중점 : 국제행사대비 공항로, 성화봉송로 등 환경정비사업 등  
       
        ■ 공공투자사업 조기 발주  
        ○ 대상개요 : 투자사업 180개 사업 7,064억원(사업비 1억원 이상)  
        ○ 2002계획 : 4월까지(60%) → 상반기중(85%) → 9월까지(90%)  
       
        ■ 고용촉진 및 취업알선  
        ○ 고용촉진 훈련 : 58개 직종, 110개 기관, 2,215명, 28억원  
            ▷ 산업수요와 연계 취업률과 자격취득율이 우수한 훈련기관 지정('01.12)  
        ○ 대졸취업연수생 고용 : 890명(3∼8월, 6개월간), 30억(1인 월 55만원)  
        ○ 청년실업자 취업후견인제 : 공무원 600명(6∼5급) 후견  
        ○ 대졸여성 전담 취업알선창구 개설 : 시청 1층, 여성단체와 연계  
        ○ 채용박람회 개최 : 연4회 (1, 3, 7, 12월), 시청 대회의실 및 로비  
            ▷ 시, 노동청, 중기청, 인력은행간 협조체제 강화로 취업률 제고  
       
        ■ 취업정보센터 기능 강화  
        ○ 센터현황 : 총 17개소(시·구·군별 1개소)  
        ○ 2002계획 : 고용안정정보망(Work-Net)의 읍·면·동까지 확대추진  
      
        
      ■ 노후생활안정 지원  
        ○ 경로연금 지급(26천명 117억원), 교통수당 지급(227천명, 98억원)  
        ○ 무의탁노인 지원 : 10,000세대, 12억원   ⇒ 세대당 120천원  
       
        ■ 노인 일자리 마련  
        ○ 경로근로사업 : 700명, 노인특성에 맞는 특색사업, 6.3억원  
        ○ 노인 일거리 마련사업 : 노인지역봉사 지도원 320명, 0.8억원  
        ○ 노인공동작업장 운영 : 16개소, 경로당중심 추진  
        ○ 노인취업알선센터 운영 : 8개소(시 3, 노인회 5)  
       
        ■ 노인 건강증진  
        ○ 건강진단 실시 : 저소득층 노인 4천명, 유질환자 입원치료 등  
        ○ 치매상담신고센터 확대 운영 : 34 → 39개소  
        ○ 영세치매노인 보호비 지급 확대 : 200 → 600명, 15백만원  
        ○ 독거노인 보호 : 119 자동신고시스템 확대 5,178 → 6,158세대  
       
        ■ 노인복지시설 기능 확충  
        ○ 복지시설 확충 : 13 → 17개소(양로 5, 요양 7, 치매요양 5)  
        ○ 시설 개보수 및 장비보강 : 시설개보수 5개소, 장비보강 4개소  
        ○ 노인복지회관 운영(7개소) : 노인강사뱅크제 운영 등  
        
       
      
        
      ■ 장애인 자립기반 조성  
        ○ 재가장애인 생활안정지원 : 수당 지급(1∼3급, 1인당 월45∼95만원) 등  
        ○ 자립자금 지원 : 가구당 12백만원 한도, 100세대 12억원  
        ○ 곰두리공판장 판매촉진 : 학교, 관공서, 단체 등 우선구매 협조  
        ○ 장애인채용박람회 : 정기적 개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공동  
       
        ■ 장애인 생활시설 운영지원  
        ○ 의료생계지원 : 약품비, 간병인 간호수당, 생계비 등 105억원  
        ○ 취업재활훈련 : 12개 보호작업장 408명, 7억원  
        ○ 생활환경개선 : 9개소, 개보수, 장비구입 등 기능보강 7.4억원  
       
        ■ 재활시설 운영·지원  
        ○ 장애인복지관 지원 : 4개소 16.5억원, 상담지도, 의료·사회·재활 등  
        ○ 장애인프로그램 보급 : 30개소 3.6억원, 사회복지관 연계 주간보호사업 등  
        ○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운영 확대 : 7개소 → 8개소, 1.7억원  
       
        ■ 뇌경변 장애인복지관 건립('02∼'03) : 금곡동 240평(지하 1, 지상 4), 29억원  
        
       
      
        
      ■ 아동·보육사업 추진  
        ○ 아동복지시설 운영비 지원 : 23개소, 123억원  
        ○ 저소득층 아동 보육료 등 지원 : 1,189개소 260억원  
        ○ 특수보육시설 확충 : 15개소(영아전담 5, 방과후 전담 10)  
       
        ■ 아동학대 예방사업 추진  
        ○ 신고체계 확립 :「1391」긴급전화 24시간 운영, 상담·현장조사 등  
        ○ 예방교육실시 : 구·동, 학교 및 보육시설, 일반시민, 세미나 등  
        ○ 홍보강화 : 모니터 요원(300명) 활용, 홍보물 제작(지하철 등) 등  
       
        ■ 소외계층 생활지원  
        ○ 소년소녀가정, 급식아동 지원 : 1,111명, 생계비 등 12억원  
        ○ 아동 그룹홈사업 추진 : 3개소, 운영비 등 0.5억원  
        ○ 불우이웃결연사업 추진 : 후원자 8,300명, 후원금 14억원  
       
        ■ 모·부자가정 자립지원  
        ○ 양육비·학비보조 : 8,300세대 19억원  
        ○ 자립격려금 지급 : 모범가정 200세대, 0.6억원, 11월중  
        ○ 교교생 교통비 지원 : 1,100명, 0.5억원(모부자복지기금)  
       
        ■ 소외여성복지시설 내실운영  
        ○ 시설지원 : 운영비 13개소 16억원, 기능보강비 12억원  
        ○ 입소자 부가적 지원 : 김장비 등 0.6억원  
      
      
       ■ 여성정책 개발·추진  
        ○ 부산여성발전종합계획(2000∼2004) 적극 추진 : 6개분야 76과제  
        ○ 여성발전기금 조성 : 5억원       ⇒ 조성목표
        : 2005년까지 50억원  
        ○ 여성정책자문위원회 운영 활성화 : 분과별 여성정책과제 연구  
        ○ 여성정책토론회 개최 : 여성지도자, 전문가 등 300명, 7월  
       
        ■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 위원회 여성참여율 확대 : 17%('99) → 25('00) → 31('01) → 32('02)  
        ○ 여성단체 운영 지원 : 3개 협의회·63개 단체, 0.45억원  
        ○ 여성사회교육기관(131개소)·강사은행(85명) 지원 : 간담·연찬 등  
       
        ■ 양성평등 촉진  
        ○ 남녀차별 시정창구 운영 : 남녀 차별적인 제도·규정 발굴 정비  
        ○ 남녀고용평등주간 운영 : 4월, 여성고용촉진 세미나, 모범기업 시상  
        ○ 여성주간(7.1∼7.7) 운영 : 기념행사, 토론회, 유공자 시상 등  
        ○「평등부부 賞」시상 : 매년 7월, 5쌍   ⇒ 민주적 가정모델 개발  
       
        ■ 여성 상담서비스 확대  
        ○「여성1366」전용회선 확대 : 45 → 50회선, 인력 300 → 400명  
        ○ 여성복지상담소 기능보강 : 통폐합(사직상담소+동부상담소), 기능보강 1개소  
        ○ 상담자원봉사자 양성 : 보수교육 2회 300명, 신규양성 300명 등  
       
           
      
        
      ■ 문화·체육 수련활동 체제 구축  
        ○ 수련시설건립 : 2개소   ⇒ 유스호스텔 1, 서구수련관 1  
        ○ 어울마당, 자연체험활동, 시범수련활동, 여름문화학교 등 운영  
       
        ■ 국제화·정보화시대 주도능력 배양  
        ○ 청소년 해외탐방 : 고교생 50명, 6일간 해외탐방  
        ○ 국제교류 확대 : 3개국(일본, 중국, 러시아) → 4개국(캐나다 추가)  
       
        ■ 청소년 복지증진 및 자립지원  
        ○ 공부방(37개소), 비정규학교(15개교) 운영·지원  
        ○ 청소년육성기금 조성 및 운용 : 30억원 목표(기조성 28억원)  
        ○ 청소년종합상담실 운영 : 1개소, 년간 2만여건 상담  
       
        ■ 청소년보호 및 역할강화  
        ○ 청소년 부모교육 : 년 100회 2천여명  
        ○ 청소년공간 운영 : 청소년 쉼터(1개소), 자원봉사센터 운영(1개소)  
        ○ 중퇴청소년 지원 : 심성교육(년2회), 학교복귀(년300명) 등 지원  
        ○ 청소년 유해환경 정화  
            ▷ 민간유해 감시단 운영 : 55개단(학교 36, 단체 19)  
            ▷ 청소년 긴급전화「1388」운영 : 24시간 상담 등  
            ▷ 청소년 통행금지·제한구역관리 : 5개소(금지 3, 제한 2)  
      
      ■ 시민건강증진사업 활성화  
        ○ 현장건강관리사업 추진 : 이동순회(가족보건복지협회), 방문간호(보건소)  
        ○ 저소득층 여성가장 건강검진 : 5,000명, 0.5억원, 골다공증, 고혈압 등  
        ○ 희귀·난치성질환자 지원 : 만선신부전증, 근육병 등 537명 340억원  
        ○ 암관리사업 : 암검진 33,732명(자궁암, 유방암, 위암 등)  
        ○ 구강보건사업 및 시력검진 : 불소도포·양치(329천명), 시력검진(25천명)  
        ○ 모자건강관리사업 : 예방접종(PDT, 소아마비, B형간염 등) , 임산부 건강진단  
       
        ■ 의약관리 정착  
        ○ 의약기능 보강 : 의약분업 정착, 진료예약제, 「1337」불편신고전화 운영  
        ○ 지역정신보건사업 추진 : 전문간호사 양성 23명, 정신보건센터 운영 1개소  
        ○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 전문치료병원 2개소 50병상, 치료보호심사 월 1회  
       
        ■ 방역 및 전염병 예방관리  
        ○ 분무소독 추진 : 취약지 1,419개소(영세민 밀집지역, 쓰레기장 등)  
        ○ 법정전염병 신고체계 확립(EDI) : 전염병정보망(http://dis.mohw.go.kr)구축  
        ○ 만성전염병 예방(결핵 예방접종 28,273명 등), AIDS감염자(155명)관리  
       
        ■ 식품접객업소 위생수준 향상  
        ○ 위생수준 향상 : 시설개선 융자 60억원, 화장실 개선 저리(3%) 융자  
        ○ 안전식품 공급 : 식품수거검사(26개 식품군 217품목), 위생감시원(125명)운영  
        ○ 다중이용시설 문화시민 에티켓 보급 : 40,070개 업소(음식업, 숙박업 등)  
            ▷ 홍보물(4종)·비디오(2종) 제작 보급, "이달의 친절왕" 등 우수업소 발굴 시상  
        ○ 부산의 먹거리 관광상품화 : 향토전통음식 6→9종, 특색식품 10→17종  
       
           
      
      ■ 녹색환경 추진 기반 조성  
        ○ 환경아시아드 준비 : 5개분야 38개과제 추진, 시민참여 프로그램 개발  
        ○ Local Agenda 21 활성화 : 추진협의회 조직확대, 공모·기획사업 추진  
        ○ 환경교육·홍보 강화 : 환경시범학교 육성, 주부 환경네트워크 구축  
       
        ■ 자연생태계 보전  
        ○ 지역자연환경조사 : 1단계(동부산권), 2단계(도심권), 3단계(서부산권)  
        ○ 자연보호과제 확대발굴 : 연안 낚시터 정화, 계곡수 무단인용억제  
        ○ 을숙도생태공원 조성 : 234천평, 준설토적치장(5만평) 조기 복원  
        ○ 도심하천·바다 살리기 : 온천천, 대천천, 동천, 수영강 등 단계별 추진  
        ○ 낙동강하구 생태학습관 운영 : 2개소(을숙도, 신호하수처리장) 시설개수 활용  
       
        ■ 지속가능한 지역 개발  
        ○ 지역환경성 사전평가제 도입 : 대상사업 선정 및 관련제도 마련  
        ○ 지속가능발전위원회(BCSD) 설치 : 환경·개발·경제 등 통합관리  
        ○ 환경지표개발 : 지역의 환경적 건전성 측정지표 30∼40개  
       
        ■ 기업체 환경애로 해결 및 지원  
        ○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센터(RRC) 지원 : 산·관·학 협의체 구축  
        ○ 환경기술지원팀 운영 : 년간 100개업체 현장방문 지원, 구·군은 홈탁터 운영  
        ○ 환경기술자문단 구성 : 분야별 전문가 참여, 환경기술지도·자문  
      
       ■ 대기환경개선기반 확립  
      
        
            | 
          
            
              
                | 
                   항 목
                  | 
                
                   환경기준
                   (단위)
                  | 
                
                   '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아황산가스
                  | 
                
                   0.03ppm/년
                  | 
                
                   0.014
                  | 
                
                   0.010
                  | 
                
                   0.010
                  | 
                
                   0.010
                  | 
                 
              
                | 
                   이산화질소
                  | 
                
                   0.05ppm/년
                  | 
                
                   0.019
                  | 
                
                   0.023
                  | 
                
                   0.027
                  | 
                
                   0.022
                  | 
                 
              
                | 
                   오 존
                  | 
                
                   0.06ppm/8h
                  | 
                
                   0.022
                  | 
                
                   0.022
                  | 
                
                   0.027
                  | 
                
                   0.022
                  | 
               
                 
             
           | 
         
       
      ○ 대기환경개선 : O3, NO2 저감대책추진, 매연·먼지 10% 줄이기 운동전개  
        ○ 자동감시체계구축 : 자동측정소 확대(13→ 14개소), 굴뚝자동측정기 부착(10기)  
      ■ 대기오염 저감대책  
        
      ■ 수질환경개선  
        ○ 낙동강특별법 하위법령 제정 대비 : 연구기능 강화 및 공조체계 구축  
        ○ 폐수배출업소 관리 : 2,911개소, 민·관합동단속반 운영  
        ○ 자율환경관리제 도입 : 1·2종사업장 20개업체 참여, 3종사업장 확대 실시  
        ○ 지하수 종합관리계획 수립 : 지하수현황 정밀조사 및 정보체계 구축  
       
        ■ 생활주변 오염원 관리  
        ○ 토양오염원 : 120개지점 측정망 운영, 오염복원사업 추진(2개소)  
        ○ 실내공기질 : 지하생활공간 → 실내공기질까지 확대 관리  
        ○ 악취발생원 : 1,022개소, 탈취시설 보강, 하절기 점검강화  
      
      
        
      ■ 과학적·체계적 수질관리  
      
        
            | 
          
            
              
                | 
                   환경기준
                  | 
                
                   '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3.0PPM
                  | 
                
                   2.8
                  | 
                
                   2.7
                  | 
                
                   3.0
                  | 
                
                   3.0이하
                  | 
               
                 
             
           | 
         
       
       회동수원지 환경기초시설 설치 : 오수처리시설 및 차집관로, 중계펌프장(1개소)  
        ○ 원수·정수 수질감시 : 상류 4개시·도 합동검사, 법정항목(47개)외 추가(100개)  
       
        ■ 상수도시설 현대화  
        ○ 덕산정수장(2단계)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99∼2003) : 50만톤, 446억원, 2003완공  
        ○ 명장정수장 정수시설 개량(2000∼2005) : 17만톤, 382억원, 시설물 설치  
        ○ 화명정수장 기설여과지개량(2000∼2004) : 32지(24만톤), 131억원  
        ○ 물금정수장 취수구 정비(2000∼2003) : 취수구 3개 통합정비 등  
        ○ 취·정수시설물 개량·정비(2000∼2004) : 3개 사업  
            ▷ 매리배전선로 지중화(2000∼2003) : 6.5㎞, 39억원  
            ▷ 덕산정수장 3개 관리실 통합시스템 구축(2000∼2004) : 71억원  
            ▷ 화명정수장 중앙관제시스템 구축(2002∼2004) : 52억원, 실시설계 용역  
        ○ 상수도종합상황실 시스템 구축(2002∼2005) : 85억원, 실시설계 용역  
      ■ 수돗물 공급체계 개선  
        ○ 노후관 개량('84∼2003) : 총 8,435㎞ 개량(8,238㎞ 97.7% → 8,364㎞ 99%)  
        ○ 구역고립화 및 누수방지(2000∼2005) : 478개 구역(58 → 96개소)  
        ○ 배·정수지 확충('99∼2011) : 총 72개소(51→ 58개소 추진)  
        
       
       
      
        
            | 
          
            
              
                | 
                   구 분
                  | 
                
                   '99년
                  | 
                
                   2000년
                  | 
                
                   2001년
                  | 
                 
              
                | 
                   하수도 보급률(%)
                  | 
                
                   71.9
                  | 
                
                   72.5
                  | 
                
                   76.6
                  | 
                 
              
                | 
                   하수관거보급률(%)
                  | 
                
                   63.0
                  | 
                
                   63.8
                  | 
                
                   64.9
                  | 
               
                 
             
           | 
         
       
      ■ 하수처리장 건설 ⇒ 총 17개소 건립계획  
      
        ○ 가동중 : 7개소 175.4만톤/일 처리 ⇒ 하수보급률 76.6%  
            ▷ 기 준공처리장 : 남부(34만톤), 수영1·2(55만톤), 장림1(33만톤), 해운대(6.5만톤)  
            ▷ 2001년 준공처리장 : 장림2(28.5만톤), 녹산(16만톤), 신호(2.4만톤)  
       ○ 건설중 : 5개소 39.5만톤/일 처리   ⇒ 하수보급률 93.7%  
            ▷ 강동 - 1.5만톤/일, 454억원 : 종합시운전, 2002.9월 준공  
            ▷ 중앙 - 12만톤/일, 1,603억원 : 관로매설·구조물공사, 2004년 준공  
            ▷ 기장 - 3만톤/일, 583억원 : 부지조성·지하구조물공사, 2004년준공  
            ▷ 영도 - 9.5만톤/일, 839억원 : 공유수면 매립·토목공사, 2005년 준공  
            ▷ 동부·반송 - 13.5만톤/일, 1,070억원 : 실시설계·공사착공, 2005년 준공  
       ○ 검토중 : 5개소-장림3(155천톤/일), 지사(30), 가덕(80), 정관(45), 남부2(120)  
       
        ■ 민자유치 하수처리장 건설  
        ○ 대 상 : 2개소(영도, 동부) 23만톤/일, 1,909억원  
        ○ 사 유 : 당면 투자재원 부족 해소, 민간 창의성 도입  
        ○ 방 법 : BTO방식, 15년 무상사용  
       
        ■ 하수처리장 운영개선  
        ○ 장림처리장 방류수 수질개선 : 질소·인 제거 고도처리시설 설치  
            ▷ 장림 2단계(2001.10월 완공), 장림 1단계(2002.3월 착공∼2004.4월 완공)  
        ○ 장림처리장 하수·분뇨병합처리 : 현행 해양투기 분뇨처리 방법 전환  
            ▷ 1일 3,500톤 처리규모, 위생처리장 1차 처리후 장림처리장으로 이송처리  
        ○ 하수도부문 도시정보시스템(UIS) 구축(1999년∼2002년)  
            ▷ 대상(5,178㎞) → 작업완료(1,442㎞), 2002년추진(3,736㎞)  
        ○ 장림처리장 고도처리 대체물질 개발 : 2002년 실용화  
      
       
      
        
            | 
          
            
              
                | 
                   구 분
                  | 
                
                   단위
                  | 
                
                   '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발생
                  | 
                
                   총 량
                  | 
                
                   톤/일
                  | 
                
                   3,934
                  | 
                
                   4,077
                  | 
                
                   4,050
                  | 
                
                   4,040
                  | 
                 
              
                | 
                   1인
                  | 
                
                   Kg/일
                  | 
                
                   1.03
                  | 
                
                   1.06
                  | 
                
                   1.06
                  | 
                
                   1.05
                  | 
                 
              
                | 
                   처리
                  | 
                
                   매 립
                  | 
                
                   톤/일
                  | 
                
                   1,464
                  | 
                
                   1,453
                  | 
                
                   1,341
                  | 
                
                   1,280
                  | 
                 
              
                | 
                   소 각
                  | 
                
                   "
                  | 
                
                   590
                  | 
                
                   525
                  | 
                
                   510
                  | 
                
                   510
                  | 
                 
              
                | 
                   재활용
                  | 
                
                   "
                  | 
                
                   1,425
                  | 
                
                   1,496
                  | 
                
                   1,540
                  | 
                
                   1,550
                  | 
                 
              
                | 
                   사료퇴비
                  | 
                
                   "
                  | 
                
                   455
                  | 
                
                   603
                  | 
                
                   659
                  | 
                
                   700
                  | 
               
                 
             
           | 
         
       
      ■ 쓰레기 감량 적극추진  
        ○ 쓰레기 배출 억제 : 1인당 1일배출량 1Kg이하로 강력 추진  
        ○ 소각장·매립장 반입량 감량 : 전년도 대비 △4% 추진  
        ○ 1회용품 규제 강화 : 전 업소로 대상 확대, 장바구니 보급 병행  
        ○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 : 물기제거 및 분리배출 전용 용기 보급  
       
        ■ 쓰레기 문전수거 확대  
        ○ 시전역 확대시행 : 9개구(2001년)→14개구(강서·기장 자율시행)  
        ○ 구·군 인센티브 부여 : 문전수거 전환에 따른 추가경비 20%, 2년간 지원  
       
        ■ 쓰레기 자원화·재활용 확대  
        ○ 음식물쓰레기 전량 자원화 조기달성 : 2003년까지(법상 2005년까지)  
        ○ 음식물쓰레기 광역처리시설 확충 : 생곡매립장내 일200톤 규모, 민자유치  
        ○ 일반폐기물 재활용 확대 : 1,540톤/일 → 1,550톤/일  
       
        ■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관리  
        ○ 차기매립장 조성 : 주민최종합의(2001.9월), 자원종합단지로 조성  
        ○ 종료매립장 사후관리 : 석대·을숙도 매립장, 오염방지대책 강구  
        ○ 명지소각장 건설 : 일 400톤 규모, 2003년 완공 추진  
        ○ 해운대소각장 운영 : 주변 공원조성, 폐열 이용 전력생산 극대화  
        ○ 소형소각로 폐쇄 : 356개소 대상, 자진 폐쇄 유도  
      
      ■ 국제행사대비「푸른부산가꾸기」추진  
        ○ 사업개요 : 총 21개 분야 73개 사업, 412억원, 2001∼2002  
        ○ 추진상황 : 11개 분야 35개 사업, 246억원, BEXCO 주변 녹화조경 등  
        ○ 2002계획 : 10개 분야 38개 사업, 166억원, 단위사업별 공사 발주, 8월까지 완료  
            ▷ 가로수 조성, 교차로 녹화조경, 중앙분리대 녹화조경, 화단녹지대 조성, 쌈지공원 조성, 
          초화식재 및 장식 등  
       
        ■ 산림 보호·육성  
        ○ 소나무 재선충 방제 : 10개 구·군 항공방제, 3,525ha 및 피해목 벌채(17천본)  
        ○ 금정산 휴식년제(2001∼2005) : 제2권역(범어사∼부산대∼금정구일원) 실시  
        ○ 산불방지 : 대책본부 운영, 입산통제구역 지정(35,066ha), 감시원 배치(2,055명)  
        ○ 산림조림 : 기장군 외 10개구 25ha 45천본  
        ○ 산림내 숲 가꾸기 : 310ha 15천명, 공공근로사업(산림청)  
       
        ■ 시민 휴식공간 확충·정비  
        ○ 편의시설 재정비 : 공중화장실 개축 및 보수 6개소 등  
        ○ 송정 및 광안근린공원 조성 : 송정 400평 6억원, 광안 520평 6억원  
        ○ 공원시설 확충 : 태종대유원지 및 동백공원 관광시설 확충 등  
        ○ 유료공원, 유원지 환경정비 : 초화식재, 편의시설 보수 등(시설관리공단)  
       
        ■ 어메니티 부산 100경 홍보  
        ○ 100경 인터넷 소개 : 3개 외국어(영·일·중) 번역  
            ▷ 인터넷 주소 : http://visit.busan.kr(문화관광정보시스템)  
        ○ 100경 홍보물 제작 : 팜프렛, 소개책자, 엽서 등  
      
      
        
       
      ■「도시환경 한차원 높이기 운동」 전개  
        ○ 대청결운동 추진 : 대청결의 달(D-1개월), 주간(D-7일전) 운영  
        ○ 환경순찰대「두리아」발대, 직원「Road-checking」으로 시민불편 해소  
        ○ 광고물정비 시범가로 지정 정비 : 17개소, 경기장주변 등  
        ○ 가로변「프랑카드·현수막 없는 달」운영 : D-30부터 대회종료익일까지  
        ○「도시간판문화」마인드 제고 : 마스터플랜 수립, 교육강화  
      
        
      
       ■ 주거환경개선  
        ○ 사업개요 : 주택개량 39,750동, 기반시설정비 1,173건(4,323억원)  
        ○ 추진상황 : 주택개량 19,851동(49.9%), 기반시설정비 927건(79%)  
            ▷ 지구지정 및 개선계획 : 140개 지구중 134개지정 및 130개 지구 개선계획 완료  
        ○ 2002계획 : 주택개량 2,000동, 기반시설정비 138건(951억원)  
            ▷ 지구지정 : 6개 지구, 개선계획수립 : 10개 지구  
       
        ■ 재개발 사업  
        ○ 사업개요 : 111개 지구 11.42㎢ ⇒ 2001.1월 기본계획 확정  
            ▷ 기존 - 5개 지역 18개 지구 0.24㎢, 신규 - 106구역 11.18㎢  
        ○ 추진상황 : 기존(5) 착공, 구역변경 등 추진, 신규(9) - 용역중  
        ○ 2002계획  
            ▷ 기존구역 : 온천2-1, 2-2완료, 부민, 좌천범일1·8추진, 미추진지 독려  
            ▷ 신규구역 : 구역지정 및 사업착수(9), 대상지 추가선정(6)  
       
        ■「부산다운 건축」Master Plan 수립  
        ○ 추진방향 :「부산다운 건축」의 추진목표와 추진방향을 명확히 제시  
        ○ 2002계획 : 경관계획수립 등 용역(2∼12월). 3억원  
       
        ■「21C 부산의 미래상」모형 제작  
        ○ 사업개요 : 부산의 미래모습을 입체적으로 제작, 모형·설명시스템·전시대로 구성  
            ▷ 규 모 : 81㎡(9×9m), 제작비 : 12억원, 설치장소 : 시청 1층 로비  
        ○ 2002계획 : 제작발주 용역(3월), 모형제작완료 및 설치(2003.3월)  
      
        
        
      
      ■ 지하철 건설  
        
       
        ○ 2호선('91∼2002) : 양산 호포∼ 해운대 좌동 39.1㎞, 2조 5,341억원  
            ▷ 1단계(호포∼서면, 22.4㎞) - '99.6월 개통, 2단계(서면∼금련산 8㎞) - '01.8월 개통  
      
            ▷ 2단계(금련산∼좌동 8.7㎞), 6,641억원 : 아시안게임 이전(9월) 개통  
            ▷ 양산선 : 호포∼북정, 11.1㎞, 4,094억원, 2001.12 착공, 2008년 완공  
      
        ○ 3호선('96∼2008) : 대저∼미남교차로∼수영·반송 29.5㎞, 2조 1,173억원  
            ▷ 수영선 : 대저∼수영, 18.3㎞, 1조 6,625억원, 2005년 완공  
            ▷ 반송선 : 미남교차로∼반송, 11.2㎞, 4,548억원, 2008년 완공  
       
        ■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93∼2010)  
        ○ 추진목적 : 부산∼울산간 교통난 완화 및 동남권 개발 촉진  
        ○ 기본계획 : 부전∼울산간 65.7㎞ 단선국철 → 복선전철화, 2조 2,380억원  
        ○ 2002계획 : 보상,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징수 등에 관한 조례 제정, 광역교통시설특별회계 설치  
       
        ■ 경전철 건설  
        ○ 기본계획 : 11개 노선(김해·영도·초읍·용호·가덕·기장·정관·동부산·하단·산복도로·다대포)  
        ○ 추진계획 : 김해선(정부시범사업), 영도선 등 10개 노선(민간투자사업)  
        
      
       ■ 고속도로 및 일반국도 건설  
      
        
      
      ■ 해안순환도로 건설  
        
        
       
        
      
      ■ 민간투자사업 추진  
        ○ 부산∼거제간 연결도로('98∼2007) : L=32.2㎞, 2조 636억원  
            ▷ 2002계획 : 실시설계 착수(2월), 민자구간 공사착공(상반기)  
        ○ 황령 3터널 및 접속도로 건설('01∼2007) : L=4.1㎞, 2,181억원  
            ▷ 2002계획 : 협약서 체결(1∼6월), 실시설계 착수(6∼12월)  
        ○ 산성터널 및 접속도로 건설('02∼2007) : L=8.77㎞, 4,850억원  
            ▷ 2002계획 : 기본설계용역(20억원) 및 민간투자사업자 지정 준비  
        ○ 해안순환도로 포함사업(2개사업)  
            ▷ 북항대교 및 영도통과 고가도로 건설, 명지대교 건설  
       
        ■ 주요 도로·교량 건설  
        ○ 공항로 확장('93∼2002) : L=11.4㎞, 1,932억원  
            ▷ 2002계획 : 제3공구 공사 준공 및 공항로 전구간 개통(5월) 
      
        ○ 연산R∼사직터미널간 도로 확장('97∼2002) : L=3.89㎞, 2,245억원  
            ▷ 2002계획 : 전구간(상징가로) 준공(5월)  
        ○ 사직∼초읍간 도로 개설('94∼2002) : L=2.55㎞, 960억원  
            ▷ 2002계획 : 전체공사 준공(3월)  
        ○ 구포고가교 철거 및 도로 확장('97∼2002) : 도로정비 L=731m 등 123억원  
            ▷ 2002계획 : 2단계 고가교 철거완료(3월), 평면도로 정비 및 공사준공(4월)  
        ○ 낙동강 하구둑 교량 확장(2001∼2003) : L=510m, B=18→30.6m, 152억원  
            ▷ 2002계획 : 공사발주(1월), 공사착공(3월), 준공(2003.12월)  
        ○ 노포IC 건설('02∼2004) : 유·출램프(1.7㎞), 요금소 1식 등, 83억원  
            ▷ 2002계획 : 고속도로와 연결 승인, 실시설계용역 완료  
        ○ 번영로∼충렬로간 연결램프 설치('01∼2003) : 고가램프(0.65㎞) 등, 140억원  
            ▷ 2002계획 : 실시설계용역(3억원), 도시계획시설결정 등 행정절차 이행  
        ○ 부산과학산업단지 진입도로('96∼2003) : L=6.75㎞, 1,085억원  
            ▷ 2002계획 : 1공구(3㎞)·2공구(3.75㎞) 연약지반 처리 및 구조물 설치  
      
      ■ 교통 DB 구축  
        ○ 사업개요 : 버스노선, 교통량 등 교통관련 정보 DB화, 9억원, 2001∼2003  
        ○ 추진상황 : 교통DB관리시스템 구축 용역('01∼'02.3)  
        ○ 2002계획 : 시스템구축 완료(3월), 교통 DB2차년도 사업추진  
      ■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구축  
        ○ 사업개요 : 시전역 및 울산, 김해, 양산 등 연결도로, 80억원, 2001∼2002  
        ○ 제공정보 : 기본정보(구간소통 등), 부가정보(사고·공사 등), 지도정보 등  
        ○ 2002계획 : 시스템구축 완료(4월), 시험운영(5월), 서비스제공(6월)  
       
        ■ 가변교통안내전광판 설치  
        ○ 추진목표 : '01년(38개소) → '03년(60) → '05년(75) → 2010년(100)  
        ○ 설치장소 : 주요 간선도로 및 도시고속도로 입구 등 교통량 과다지역  
        ○ 2002계획 : 민자유치 12개소, 시 자체설치 9개소  
       
        ■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S) 도입  
        ○ 추진목표 : 2010년까지 전도시고속도로 및 유료도로 시행, 260억원  
        ○ 추진상황 : 사례분석 및 교통카드 사용검토, 광안대로 시범운영 검토  
        ○ 2002계획 : 시 ETCS 도입방향연구 및 광안대로 구축방안 용역  
       
        ■ 교통카드시스템 운영범위 확대  
        ○ 추진목표(이용률) : '01년(60%) → '03년(65%) → '05년(70%) → 2010년(80%)  
        ○ 추진상황 : 모든 유료터널 적용, 공영주차장 시범구축, 개인택시 시범운영  
        ○ 2002계획 : 공영노외주차장 및 법인택시 시스템 구축, 사용범위 확대(울산·경남 등)  
       
        ■ 택시정보화 사업 추진  
        ○ 사업개요 : 개인택시 및 법인택시 24,347대, 400억원(민자), 2001∼2002  
        ○ 추진상황 : 개인택시 13,096대 구축(2001년)  
        ○ 2002계획 : 법인택시 11,251대 확대 구축 및 상용서비스 실시(9월)  
      
      ■ 시내버스 고급화  
        ○ 사업개요 : 시내버스 색상·디자인 개선, 저상·청정버스 등, '96∼2010  
        ○ 추진상황 : 냉·난방화(완료), 색상·디자인 개선(28%), 청정연료(20대)  
        ○ 2002계획 : 색상·디자인 개선 500대, 청정연료버스 보급 40대  
       
        ■ 대중교통 환승요금할인제 도입  
        ○ 추진개요 : 한 종류의 교통카드로 버스·지하철 연계이용, 인센티브 부여  
        ○ 환승할인 : 1단계(지하철→시내·마을버스), 2단계(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 상호간)  
        ○ 2002계획 : 계획수립(6월), 도입준비 및 시범운영(7∼12월), 본격시행(2003)  
       
        ■ 버스정보안내시스템 도입  
        ○ 추진목표 : 2005년(중앙로) → 2010년(수영로 등 주요구간, 전 시내버스 실시)  
        ○ 추진상황 : 교통정보수집시스템 구축·운영에 관한 협약체결('01.8)  
        ○ 2002계획 : 중앙로(남포동∼부산역) 시범운영, 리무진·특급버스 등 시범실시  
       
        ■ 시내버스 노선안내도 설치  
        ○ 사업개요 : 역·터미널·공항·관광지 등 주요교통요충지 1,200개소  
        ○ 추진상황 : 정류소명칭 및 디자인 확정, 주요 간선로 200개소 설치  
        ○ 2002계획 : 1,000개소   ⇒ 1,200개소 설치 완료(5월)  
        
       
      
      ■ 서면권역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  
        ○ 사업개요 : 서면권역 A=2,010,000㎡(608,000평), 2002∼2003  
        ○ 추진방법 : 단계별 구분시행  
            ▷ 1단계(서면교차로 중심) : 시설관리 및 교통체계개선사업 중심으로 시행  
            ▷ 2단계(서면교차로 외곽 중심) : 용역결과에 따라 교통수요관리중심으로 시행  
       
          ○ 2002계획 : 교통혼잡관리구역 지정을 위한 조례 마련 등  
            ▷ 기초자료 조사 및 조례 제정 : 2002.1∼6월  
            ▷ 용역발주 및 시행 : 2002.7∼2003.5월  
       
        ■ 광안대로 개통대비 교통소통대책  
        ○ 사업개요 : 광안대로 접속지점인 영남제분앞·49호광장과 수영컨테이너 배후도로 등에 대한 연계상태 
                     점검  
        ○ 단기대책 : 2002.9월 광안대로 개통시 까지  
            ▷ 광안대로 시점부 : 가로용량 증대, 광안대로 위빙해소, 교차로 교통체계 개선  
            ▷ 광안대로 종점부 : 접근도로(수영3호교 등) 조기 개설, BEXCO주변 주차장 확보 등  
        ○ 장기대책 : 2005.12월 센텀시티 준공시 까지  
            ▷ 광안대로 시점부 : 49호광장∼메트로시티 연결도로(L=900m) 개설  
            ▷ 광안대로 종점부 : 수영1호교 확장 재가설, 수영강변도로 조기건설 등  
       
        ■ 동래 롯데백화점 앞 교통소통대책  
        ○ 교통현황 : 백화점 개점후 교통량 급증으로 중앙로 교통체증 발생  
            ▷ 낮 시간대 : 9,382대 → 10,470대로 1,088대 증가(약 12%)  
            ▷ 저녁시간대 : 9,484대 → 10,455대로 971대 증가(약 10%)  
        ○ 단기대책 : 교통수요관리대책 수립, 전면부 1차로 추가 확보방안 검토 등  
        ○ 장기대책 : 명륜동사거리 지하차도 축조(도로확장 L=1.06㎞, 지하차도 건설 L=480m) 2003∼2005, 765억원
       
      
      
      ■ 교통수요관리 활성화  
        ○ 승용차자율10부제(참여율 40%) 및 카풀제(목적지 → 환승지점 카풀) 정착  
        ○ 기업체 교통수요관리 활성화 : 참여율 40% 목표, 교통량감축 제도개선  
        ○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 환승 할인요금제 도입, 버스노선 조정 등  
       
        ■ 선진국형 주차제도 조기 정착  
        ○ 공공용지 활용 주차장 건설 : 3개소 274면, 32억, 2010년까지 59개소 10,000면  
        ○ 주차정보통합시스템 구축 : 시스템 구축(5개구), 2003년까지 시전역(강서·기장 제외)  
        ○「내 집 마당 주차장」만들기 : 주차장설치및관리조례정비(보조금지원), 2010년까지 5,000면  
        ○ 공영주차장 무인자동화시스템 구축 : 전 공영주차장, 2010년까지 200개소  
       
        ■ 교통문화 및 서비스 수준 향상  
        ○「교통문화 대혁신 운동」추진  
            ▷ 2월중 선포   ⇒ 버스·택시서비스 헌장
        채택 등  
        ○ 교통체계 개선(TSM)사업 : 시 전역(교통혼잡 및 사고 잦은 지점)  
            ▷ 추진목표 : 6개소(2001) → 25개소(2003) → 45개소(2005) → 100개소(2010)  
        ○ 인간중심의 교통환경 개선 : 5개유형, 13개보행환경개선사업 추진  
            ▷ 횡단보도 교통사고 제로화 운동 등 지속 추진  
        ○ 교통문화연수원 건립·운영 : 금곡동 7,000평, 81억원, 2000∼2002  
            ▷ 2002계획 : 3월 개원, 택시운전기사 친절·외국어 교육 등 연 6만명 교육  
       
        
        
       
      
        
      ■ 선진 문화도시를 위한「문화의 대중화」추진  
      
       
  ○ 문학관 신규 조성  
            ▷ 요산 김정한 선생 : 생가복원, 3.7억원, 부지매입(4월), 준공(11월)  
            ▷ 향파 이주홍 선생 : 문학관 조성, 3.2억원, 내부수리(5월), 준공(9월)  
        ○ 토요 상설공연장 확충 : 현 2개소 → 3개소(서면)로 확대운영  
        ○ 중고생 문화체험 실시 : 매주 500명, 시립박물관·문화회관 연계  
        ○ 시립예술단 전용버스 구입 :「찾아가는 예술단」공연 지원  
        ○「사랑티켓」지원 확대 : '01. 30백만원 → '02. 60백만원  
       
        ■ AG·WC대비「2002 부산방문의 해」운영  
      
        
        ○「월드컵 관광특수 대책」조기 수립 ⇒ 실무팀 및 범시민추진위원회 구성  
            ▷ 홍보·상품개발·수용태세 정비 등 중점 추진  
            ▷ 부산경기 대상국을 중심으로 하되 울산 등 인접도시 대상국도 집중분석  
        ○「2002 부산방문의 해」분위기 조성 및 시책 추진  
            ▷「2002 해맞이 부산축제」기점으로 다양한 홍보 실시  
            ▷「2002부산 방문의 해」부산에서 만납시다, Visit Busan 2002, Welcome To Busan  
      ※ 국내 외국팀 15개국, 부산 32천명 방문 702억원 소비 전망(KDI)  
      ■ 국제교류 거점확보를 위한「부산의 세계화 전략」시행  
           
        ○「월드컵 부산경기대상국」교류 추진  
            ▷ 남아공 :「위스틴케이프주」자매도시와 응원단 공동 구성 등  
            ▷ 프랑스 : 부산 개최계기로「마르세이유」시와 자매결연 추진  
            ▷ 기타국 :「민간 국제교류단체」와 연계 지원  
        ○ AG·WC 연계 국제이벤트 개최  
            ▷ 세계범선대회 : '02. 6. 8∼6.12, 다대포, 15개국 30여척, 1억원  
            ▷ 로보컵 주니어 대회 :「로보컵 2002 세계대회」부대행사로 개최(5월)  
            ▷ ASIAN WEEK 2002 : 20개국 38개도시, 초청대상 도시섭외(2002. 3∼4월)  
        ○ 동북아 컨벤션중심도시 기반조성 : 컨벤션뷰로 설립, 지원협의회 구성 등  
        ○ 관광인프라 조성 : 아·태도시관광진흥기구(TPO) 창설, 중·일·러거리조성 등  
      
      ■ 문화기반시설 확충  
        ○ 문화회관 : 서부산(32억원, 7월개관), 해운대(20억원, 9월착공)  
        ○ 도 서 관 : 기장·사상·수영도서관 2002년 중 개관  
        ○ 공 연 장 : 달맞이 길 야외공연장(3월), 시민회관 개보수(4월)  
        ○ 문 화 원 : 7개 문화원을「1구 1문화원」으로 확대  
        ○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구축 : 남구도서관 등 6개 도서관, 20억원  
            ▷ 도서관리, 멀티미디어 서버 등 각종 장비 보급 및 소프트웨어 지원  
       
        ■ 문화예술 창작활동 지원  
        ○ 무대 공연예술 활동지원 확대 : '01년 6억원 → '02년 8억원  
        ○ 2002부산비엔날레 : '00년 5억원 → '02년 17억원(국비 10, 시비 7)  
        ○ 문예진흥기금 지원 확대 : '01년 5.7억원 → '02년 6.5억원  
        ○ 전국단위 문화예술행사 참가 지원 : 무용·연극제 등 2회 27백만원  
        ○ AG, 월드컵 문화행사시 지역 문화예술인 최대한 참여  
       
        ■ 지역전통 문화유산의 보존·전승  
        ○ 부산을 빛낸 인물 발굴  
            ▷ 20세기 이전인물 : 선 정(상반기), 원고집필(하반기)  
            ▷ 20세기 이후인물 : 공청회(상반기), 인물선정(하반기)  
        ○ 전통문화 유적의 관광자원 활용  
            ▷ 국립부산국악원 건립 : 부산권역의 전통예술 진흥(실시설계 10억원)  
            ▷ 부산근대역사관 조성 : 용두산공원과 연계한 관광벨트화(20억원)  
        ○ 공원별 전통 예술장르 공연 : 연중 실시(매주 토요일)  
            ▷ 용두산 공원 : 관광객 중심의 전통민속 공연  
            ▷ 금 강 공 원 : 가족중심 국악마당 공연  
      
      
      ■ 영상위원회 운영 강화  
        ○ 영화촬영 유치 및 지원 : 2001년 52편 → 2002년 60편  
            ▷ 광역권 지원체계 본격 가동 및 BFC 소식지 발간(분기 1회)  
        ○ 국제교류 및 연대활동 강화  
            ▷ 부산국제필름커미션박람회 참가기관 확대 : '01년 27개 → '02년 30개 기관  
            ▷ 로케이션스 글로벌 엑스포 참가 : LA, 4월  
        ○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 등 각종 영화제 개최지원(5회)  
       
        ■ 영상산업 인프라 구축  
        ○ 부산영상벤처센터 조성 : 센텀벤처타운 내, 40억원, 20개업체 유치, 3월 개관  
        ○ 영화촬영스튜디오 확충 : 스튜디오 2실 및 부대시설, 30억원(국비)  
        ○ 영화영상진흥기금 조성 : 400억원 조성('01년 20억원 조성 → '02년 30억원)  
       
        ■ 영화·영상산업 지원  
        ○「시네마테크 부산」활성화 : 영상고등학교 현장실습장 제공 등  
        ○「영화투자 펀드」참여 : 1구좌 5억원(「부산-KTB시네마 1호」)  
            ▷ 총 100억원(20개 구좌), KTB 네트워크·영화진흥위원회 등 참여  
        ○ 부산영화 제작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비 지원 : 3∼5편, 3억원  
        
       
      
      ■ 해맞이 부산축제 개최  
        ○ 사업개요 : 해운대 일원(12.31∼1.1), 관광특수 겨냥 관광상품화, 1억원  
        ○ 주요내용 : 아시안게임 성공적 개최를 위한 기원행사, 시민의 종 타종 등  
       
        ■ 5대 축제의 특화육성  
        ○ 부산기장멸치축제(5.17∼5.21) : 전국「30대 인센티브 축제」로 도약  
        ○ 부산국제락페스티발(6.1∼6.3) : 다대포해수욕장, 월드컵 문화행사로 개최 
      
        ○ 부산바다축제(8.1∼8.4) : 광안리 등 6개 해수욕장, 해양종합관광축제로 육성  
      
        ○ 부산국제영화제(10월예정) : 아시아를 탈피하여 세계적 영화제로 부상  
      
        ○ 부산자갈치축제(10.10∼10.14) : 전국「4대 인센티브 축제」로 정착  
       
        ■ 2002 부산비엔날레 개최  
        ○ 사업개요 : 시립미술관 등 시내일원, 30억원, 2002.9.15∼11.17(64일간)  
        ○ 주요내용 : 현대미술전, 바다미술제, 조각프로젝트 등, 문화관광브랜드로 육성  
       
        ■ 제2회 부산세계합창올림픽 개최  
        ○ 추진개요 : 2002.10.19∼10.27(9일간), BEXCO 등, 70개국 545개팀 25천명  
        ○ 준비계획 : ICOC와 BCOC 역할분담, 국내 60개팀 선발, 행사장(6개소) 확보  
       
        ■ 지역문화축제 평가시스템 강화  
        ○ 평가대상 : 지역성, 역사성으로 특화 경쟁력 있는 축제 육성  
        ○ 평가방법 : 평가기준 마련, 통폐합 추진 및 차등지원  
        ○ 지원규모 : 2억원(축제별 5∼30백만원)  
        
      
      
        | 
             5. 관광기반 조성 ⇒ 200만명 외래관광객 유치 
         | 
         
       
      ■ 관광 수용태세 선진화  
        ○ 중저가 숙박시설 지정운영 : 13,643실(AG, 월드컵 숙박시설 지정 운영)  
        ○ 관광안내소 확대 운영 : 10 → 13개소  
            ▷ AG경기장, BEXCO, 초량외국인 편의시설  
        ○ 기존 안내소 운영내실화 : 10개소(문화유산해설사 활용)  
            ▷ 관광지 외국어 통역 안내원 배치 : 태종대 등 13개소, 30명, 중국어 보강  
        ○ 로마자표기법 정비 : 일제조사('01, 12월중), WC 前까지 정비(한자병기 병행)  
       
        ■ 관광시장 확대  
        ○ 2002 부산국제관광박람회 개최(9.5∼9.8) : BEXCO, 30개국 400부스  
            ▷ 참가업체 확대(130→150) 및 부대행사 내실화  
        ○ 아·태도시 관광진흥기구(TPO) 창설 : 사무국 설치·운영('02.1월), 2억원  
            ▷ 창설(안) 의제채택 후 출범(8월, 福岡)  
       
        ■ 외래관광객 유치활동 전개  
        ○ 국내·외 박람회 참가, 부산관광 홍보관 설치운영 : 5회(국내 4, 국외 1)  
        ○ 초청 FAM TOUR 실시 : 1회(한국관광공사 해외 지사장)  
        ○ 해외관광객 유치를 위한 여행사 인센티브 실시(6개사, 10백만원)  
        ○ 부산「시티투어」운영지원 : 예약제 → 상시운영 전환, 업체선정('02.1월), 운행('02.3월)  
      
      ■ 국제관광 교류 협력강화  
        ○ 동남권 관광협의회 운영 : 공동 관광가이드북 제작 등  
        ○ 부산·상해 관광교류 실무협의회 : '02.4월, 공동관광설명회 개최 지원 등  
        ○ 한일해협 연안 관광교류 협의회 : 2회[동경('02.9월)·서울('02.11월)]  
        
      
      
      ■ 광역권 관광개발  
        ○ 동부산권 : 사계절 체류형「국제해양복합관광단지」로 개발(2011년)  
            ▷ 테마파크, 역사문화촌, 호텔, 골프장 등 복합관광 시설  
        ○ 남해안 관광벨트개발 사업 추진  
            ▷ 총 8개 사업 중 2002년 중 동부산그린시티 등 4개사업(169억) 추진  
       
        ■ 지역특성에 맞는 관광자원 개발  
        ○ 수상관광호텔 건립 : 5,500톤 선박, 민자 255억원, '02. 4월 준공  
        ○ 광안대로 관광명소화 : 전망휴게소·경관조명등 설치 등  
        ○ 관광 루트 개발 : 2개소  
            ▷ 국제관광루트(부산∼상해∼福岡), 광역관광루트(부산∼울산∼경남)  
        ○ 해운대 관광특구 확대지정 : 센텀시티 0.92㎢, 문화관광부 현지실사('02. 1월)  
        ○ 관광개발(주) 민영화 추진 : 심의위원회 구성 후, 방법·시기 등 결정  
       
        ■ 관광산업 지원  
        ○ 크루즈 관광산업 활성화 : 스타크루즈 운항재개 협의  
        ○ 부정기 크루즈 유치 : 해외 주요크루즈사(34개) 부산관광 홍보물 제공 등  
        ○ 카지노업 신규허가 증설 추진 : 문화관광부 등 정책건의  
       
        ■ 특화 관광시설 확충  
        ○ 해운대 달맞이길 관광도로 : 도로정비 2㎞(미포6거리 일원), 20억원  
        ○ 초량 외국인편의시설 건립 : 종합안내소 등, 12억원, 8월개관  
        ○ 부산문화관광테마거리 조성 : 40계단·광복로 도로정비 등, 20억원  
      
      ■ 컨벤션 지원체계 강화  
        ○ 협의체 구성 : 컨벤션지원협의회(시·관광협회, CIQ 등) 및 실무위원회  
        ○ 분야별 분과위원회 발족 : 4개 분야(숙박, 교통, 물자, 행정)  
       
        ■ 컨벤션산업 육성 지원  
        ○ 컨벤션산업육성에관한조례 제정 : 2002년 상반기  
        ○ 국제회의도시지정(문광부), 전시산업 지원책(산업자원부) 건의  
       
        ■ BEXCO 운영 지원  
        ○ 시 및 정부차원의 지원 : 전기료 감면(가정용⇒산업용), 직원·시설 보강 등  
        ○ 마케팅 지원 : 컨벤션뷰로 활용, 컨벤션 유치 및 현장활동 지원  
       
        ■ 컨벤션 유치 여건조성  
        ○ BEXCO 주변 활성화 : 호텔 및 센텀시티 조기 건설, 부대여건 강화  
            ▷ 지하철 2호선 개통, 광안대로 준공 등 접근성 개선  
        ○ 대규모 국제행사의 성공적 개최 : AG·WC 개최, ICCA 부산 총회(2003) 등  
        ○ 김해공항 해외직항로 확대 : 12개 도시 → 21개 도시, 2010년까지 48개 노선  
        ○ 국제여객항로 신·증설 : 신설(3개 노선), 증설(1개 노선)  
      
       ■ 국제교류 활성화  
        ○ 해외 자매도시 결연 확대 : 현재 16개 → 19개도시(3개도시 확대)  
        ○「국제 교류센터 설치」운영 : 자매도시 전시관, 컨벤션뷰로 등, '02. 4월 개관  
        ○ 해외 자매도시 시장초청 : AG기간 중, 협력체계 강화  
       
        ■「BuShaFu」출범  
        ○「부산상해후쿠오카」국제교류 협의체 구성 : 2002년 상반기 출범  
        ○ 관광산업부터 시작하여 문화·경제·과학분야로 교류 확대  
        ○ 2002계획  
            ▷ 2002. 1∼2 : 3개 도시 시장회의(부산)  
            ▷ 2002. 3∼4 : 공동 관광설명회 개최(상해)  
            ▷ 2002년 말 : 공동관광사업 개발(관광루트 개발 등)  
       
        ■ 국제회의 참가  
      
      
        
          | 
             구 분
          | 
          
             시기
          | 
          
             장 소
          | 
          
             참가도시
          | 
     
        
          | 
              세계 대도시 회의 참가
            | 
          
              5월
            | 
          
             서 울
            | 
          
              35개국 65개 도시
            | 
     
        
          | 
              제5회 아·태도시서미트
            | 
          
              8월
            | 
          
             후쿠오카
            | 
          
              13개국 25개 도시
            | 
     
        
          | 
              환황해 도시회의
            | 
          
              9월
            | 
          
             인 천
            | 
          
              3개국 10개 도시
            | 
     
        
          | 
              동북아 자치단체 연합
            | 
          
              "
            | 
          
             하바로프스크
            | 
          
              5개국 35개 도시
            | 
     
        
          | 
              한일해협 시도현지사 회의개최
            | 
          
              "
            | 
          
             BEXCO
            | 
          
              한·일 8개 도시
            | 
         
     
       
      ■ 도시 홍보 강화  
        ○ 종합 시정세일즈 실시 : 2회(5, 11월) 5개 도시, AG홍보 등  
        ○ 자매도시간 홈페이지 교류를 통한 도시홍보 강화  
       
           
      
       ■ 국제행사대비 선진문화 시민의식 제고  
        ○「손님맞이 3대운동」활성화 : 친절·질서·청결 생활화  
        ○ 기초생활 10대과제 실천운동 추진 : 다짐대회(17회), 홍보대사(160명), 서명활동(27만명)  
        ○「도시환경 한차원 높이기 운동」전개 : 대청결 운동, 현수막 없는 달 운영 등  
       
        ■「참여시정, 열린시정」실천  
        ○ 현장행정 추진 : 주요 사업장 등 틈새방문 강화, 현장 고충건의 상담  
        ○ 시정 현장설명회 : 주요 현안사업장 견학, 시청가 견학코스 상설화  
        ○ 시정참여 촉진 : 시정브리핑 활성화, 대학정책협의회(13개교), 교육행정협의회 운영  
       
        ■ 자치행정 지원  
        ○ 시·구(군)간 현안협의 강화 : 구청장·군수간담회, 부구청장 회의 정례화  
        ○ 시정현안 설명회 : 1월중, 16개 전구·군 순방, 각계각층 대화 및 건의사항 수렴  
        
       
      
      ■ 시정운영시스템 혁신  
        ○ 추진개요 :「일하는 방식」,「민생개혁과제」,「안해도 좋은 일」찾아 개선  
        ○ 2002계획 : 개선과제 지속 추진, 우수혁신사례 전파, 회의관리시스템 운영 등  
      ■ 행정규제 정비  
        ○ 추진개요 : 기업활동과 시민생활에 불편부담을 주는 행정규제 정비  
        ○ 추진상황 : 정비대상 266건중 258건 정비(폐지 174, 완화 84)  
        ○ 2002계획 : 규제개혁위원회를 통한 규제신설 억제, 규제의 지속발굴·정비  
       
        ■ 도시혁신과제 연구  
        ○ 추진개요 : 분권과 혁신을 통해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인「지역혁신체제」구축  
        ○ 2002계획 : 정책제안보고서를 토대로 실천가능한 정책제안 도출·개선발전  
       
        ■ 성과지향적 조직운영  
        ○ 목표관리제 운영 : 4급이상, 주요업무에 대한 목표 설정, 목표평가, 연봉반영  
        ○ 사업전담관리제(PM) 운영 : 3년이상 소요되는 100억원 이상사업, 관리자 지정 36명  
        ○ 개방형직위 도입 : 1∼4급 직위중, 전문성이 요구되는 10개 직위 검토  
        ○ 성과중심의 평정 : 5급이하 공무원, 실적가점제 등 정착  
       
        ■ 중앙권한의 지방이양 추진  
        ○ 추진개요 : 현지성이 강한 중앙사무 등의 지방이양  
        ○ 추진상황 : 4개 분야 134건 이양건의, 심의중  
        ○ 2002계획 : 이양사무 추가 발굴, 실질적 이양을 위한 인력·예산 확보  
      
       ■ 자치재정 기반 확충  
        ○ 지방세수 확충 : 2002징수목표 1조 4,595억원('01 당초대비 5.1%증가)  
        ○ 체납세 징수 : 체납액 2,546억원(2001.9월), 정리목표 312억원  
        ○ 세외수입 증대 : 목표 1,963억원(2001 당초대비 28.6% 증가)  
        ○ 공영택지 매각 : 매각대상 693천평 14,323억원, 매각계획 128천평 3,257억원  
       
        ■ 정부지원금 확충  
        ○ 2003 국고보조금 확충 : 2002년 확보액 이상(2002년 1조 4,988억원)  
        ○ 2003 교부세, 양여금 확충 : 2002년도 확보액 수준(2002년 2,058억원)  
       
        ■ 지방채 및 기금 관리  
        ○ 지방채(2조 3,998억원-'01.6) : 과다하게 집중된 채무상환금 분산 등 경직성 완화  
        ○ 기금운용(2002계획) : 지역개발기금 832억원, 일반기금 4,701억원 운용  
       
        ■ 시민편의위주 재정 구현  
        ○ 재정관리 투명성 제고 : 재정상황 부산시보 및 홈페이지 게재  
        ○ 지방세 인터넷납부 활성화 : 자동차세, 재산세, 종토세 등 정기분 전세목  
        ○ 등기소 세정현장민원실 확대 : 7 → 9개 등기소, 취·등록세 납부서 발부 등  
        
      
      ■ 정보화기본계획(Digiport-21) 적극 추진  
        ○ 사업개요 : 5개분야 33개 실행과제 74개사업, 사업비 3,286억원  
        ○ 추진체계 : 정보화추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운영  
        ○ 추진상황 : 56개사업(2000∼2001), 완료 12, 정상추진 37 등  
        ○ 추진계획 : 2005년까지 연차별 실행계획 추진에 만전  
       
        ■ 행정정보화  
        ○ 전자문서 광역유통체계 구축(2001∼2002) : 전자결재 및 문서유통 (중앙↔시·도↔산하기관) 확대, 54억원  
            ▷ 2002계획 : 문서관리시스템 운영(8월), 전 행정기관 전자문서 유통실시(구·군 7월, 전국 12월)  
        ○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 시스템 개발·운영(9월)  
        ○ 재정진단시스템 구축 : 시스템 개발·운영(9월)  
       
        ■ 시민생활정보화  
        ○ 무인민원발급기(KIOSK) 확대 보급 : 21대 → 71대  
        ○ 디지털 격차 완화 : e-korean교육 등 시민정보화교육 시행(년 10만명)  
        ○ 정보화 마인드 확산 : 정보이용 성공사례 발표회 개최(5월)  
        ○ IT관련 세계영상회의 개최 : 첨단기술이용 세계 정보화리더와 화상회의(4월)  
       
        ■ 도시기반정보화  
        ○ 도시정보시스템(UIS) 구축('99∼2002) : 3개 구·군, '02.12월 사업완료  
        ○ 부산 지역인터넷연동센터(R-KIX) 설립 : 지역IX 1개소(정통부)  
            ▷ 장비 - 정보통신부, 공간(30평) - 부산시, 운영 - 한국전산원  
      
      ■ 시정홍보 강화 ⇒ 시정이미지 제고  
        ○ 언론매체 : 보도자료 제공, 현안사업에 대한 브리핑 및 기자설명회 등 활성화  
        ○ 인쇄·영상 : 부산시보·부산이야기, 부산홍보 CF, 시정뉴스 등 제작 홍보  
        ○ 사이버 : 홈페이지 기능보강, AG·WC를 계기로 부산이미지 세계화  
       
        ■「부산 홍보관」설치·운영  
        ○ 사업개요 : 부산의 과거·현재·미래를 보여주는 공간 조성, 시청 1층 183평  
        ○ 2002계획 : 현상공모(1∼2월), 준공 및 개관(6월)  
      
      
       ■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감사제도 운영  
        ○ 추진방향 : 자체감사시 열린감사제 운영으로 위법부당행위 예방  
        ○ 추진계획 : 감사계획·결과 공개, 인터넷신고제 도입, 시민감사관제 운영 등  
       
        ■ 공직비리 사전예방  
        ○ 민원처리 인터넷 공개시스템 운영 : 각종 인·허가 등, 행정의 투명성 확보  
        ○ 대형건설공사 사전예방감찰 : 30억원이상, 시공→공사중→준공 단계별 감찰  
        ○ 시민생활저해요인 예방감찰 : 시설물관리(1,2,7,11월), 환경·녹지(3,4월), 건설·건축(10,11월)  
       
        ■ 청렴하고 깨끗한 공직윤리관 확립  
        ○ 추진방향 : 재산등록 및 퇴직자 취업관리강화로 비리발생 사전예방  
        ○ 추진계획 : 공직윤리관 교육, 재산등록사항 전산화, 퇴직자 취업실태조사  
      
      ■ 재난·재해 예방태세 확립  
        ○ 재난종합상황실 운영 : 24시간근무, 상황파악 및 초동대처  
        ○ 재난·재해기금적립 : 98억원(재난관리기금 20 재해대책기금 78)  
        ○ 방재역량 강화 : 실제·도상연습 및 월1회『안전점검의 날』운영  
       
        ■ 재난위험시설물 안전관리  
        ○ 재난위험지정 시설 : 115개소(D급 107, E급), 월 1회 점검  
        ○ 중점관리대상 시설 : 4,438개소(A급 1,367 B급 2,605 C급 466)  
        ○ 점검계획:정기점검반기 1회, 정밀점검건축물 3년기타 2년 1회  
       
        ■ 교량·터널 안전관리  
        ○ 대 상 : 113개소(교량 102, 터널11)  
        ○ 점 검 : 정기점검-반기 1회, 정밀점검 - 2년 1회,정밀진단 - 5년1회  
        ○ 2002계획 : 63억원, 구포교 등 60개소 안전점검 및 보수  
       
        ■ 재해위험지 정비  
        ○ 대 상 : 15개소(상습침수지 11, 붕괴위험지 2, 노후시설 2)  
        ○ 2002계획 : 329억원, 반여 상습침수지등 6개소 펌프장등설치  
       
        ■ 생활민방위 구축  
        ○ 민방위 시설·장비 확충 : 비상급수시설 18개소, 경보시설 유지관리  
        ○ 방제훈련 실시 : 55회, 실제상황에 근접한 실질적 훈련 실시  
        ○ 화생방방호태세 확립 : 화생방분대 편성 928개대 11천명, 방독면 2만개 등  
      ■ 119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 사업개요 : 119 신고접수 등 6개 사업, 119억원, 2001∼2004  
        ○ 추진계획 : 3단계 구분 실시(3개년 계속사업)  
            ▷ 1단계 사업 : 정보화 기반구축('01.8∼'02.6), 40억원(국비 50%)  
            ▷ 2단계 사업 : 확대도약 단계('02.6∼'03.4), 52억원(국비 50%)  
            ▷ 3단계 사업 : 고도화 단계('03.4∼'04.2), 27억원(국비 50%)  
       
        ■ AG·WC 대비 소방안전 대책  
        ○ 경기장 등 대회관련 시설물 소방점검 마무리 : 1회 2,494개소  
        ○ 테러 등 돌발사태 대비 합동소방훈련 : 주경기장 등 150개소  
        ○ 소방지휘본부 설치·운영 : 대회기간 중, 주경기장, 숙소 등 16개소  
        ○ 대회기간중 화재특별(갑호) 경계근무 : 시 전역, 53개대 비상대기반 운영  
       
        ■ 월동 소방안전대책  
        ○ 추진기간 : 2001. 11. 1∼2002. 2. 28(4개월)  
        ○ 중점시책 : 불조심 강조의 달(11월) 운영, 소방안전감시단 운영(220명), 다중이용시설 및 대형화재 취약대상 
                     중점관리(6,976개소)
       
        
         3. 21C 釜山發展 中·長期課題  
        
      
        
         
      ■ 주요과제 ⇒ 5개 사업 선정  
        ○ 도심부적격시설(군부대 등) 이전  
        ○ 신공항 건설  
        ○ VLFS(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개발  
        ○ 대체상수원(광역상수도, 해저담수화 등) 개발  
        ○ 미래환경종합대책 수립(수질, 대기질, 녹지, 중수도 등)  
       
        ■ 추진전략  
        ○ 총괄관리체계 구축 : "21C 미래전략사업팀" 구성  
            ▷ 5개 사업별 추진팀 구성 : 팀장 - 관련국장, PDI·정책개발실 연구원  
        ○ 추진상황 점검 및 대책회의 운영 : 대책회의(수시), 추진상황점검(월1회)  
        ○ 사업관리 : 카드화하여 시정의 중·장기 현안과제로 지속관리  
      
        
       
      ■ 4대 SOC개발사업  
        ○ 항만 : 부산신항 및 배후부지·배후철도·배후도로 건설, 기존 부산항(다대포항, 감천항 등) 개발  
        ○ 공항 : 김해공항 기능 확충, 해외직항로 확대, 진입IC건설, 신공항건설  
        ○ 철도 : 경부고속철도, 경전철(김해선), 경전선·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역세권 개발, TKR·TSR개통준비 등  
        ○ 해운 : 크루즈·국제여객부두 확충, 국제해운노선 확대(신·증설)  
       
        ■ 추진전략  
        ○ 4대 SOC 개발사업 통합관리 ⇒
        기획관실(총괄관리)  
        ○ SOC개발 전략회의 운영 : 관련 부서장 등  
        ○ 개발수요, 기능적 연계, 시너지효과 극대화 방안 강구 등  
        ○ 추진상황 평가 및 점검 : 점검 - 월 1회, 평가 - 분기 1회 ⇒ 도출된 문제점은 대책회의 등을
        통해 개선방안                                                                                       마련  
      
        
       
      ■ 수도권집중 실태  
        ○ 수도권 인구 일극 집중 : 수도권 인구비중 46.3%, OECD국가중 최고  
        ○ 생산과 일자리 편재 : 제조업 56.6%('99), GRDP 46.2%('99), 경제력 52.6%('00)  
        ○ 지식기반격차 : S/W업체 82.7('99), 벤처기업 71.2%('00), 대학 41%('99)  
        ○ 삶의 질 격차 : 공공청사 84.8%('99), 예금 67.9%('99), 대출 62.2%('99)  
       
        ■ 정부동향  
        ○「지역균형발전특별법」제정을 2001년도 20대 국정과제로 발표(2001.1.19)  
        ○「특별법(안)」마련(여·야·정 정책협의회), 12월 임시국회 법안상정  
       
        ■ 발전과제  
        ○ 실효성 있는「국토균형발전특별법」 조기 제정  
        ○ 인사권·재정권 등 지방분권 확대   ⇒ 인력과 재정 동시 이양  
        ○ 대기업 본사·중앙부처 지방이전 및 특별지방행정기관 지자체 이관  
       
        ■ 추진전략  
        ○ 단기적으로는 지역 시민단체, 비수도권 연대를 통해 실효성 있는 특별법 제정 촉구 및 특별법 제정에  
      우리시의 의견 적극 반영
       
        ○ 장기적으로는「21세기 지역포럼」,「전국지식인연대」등을 중심으로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중장기  
      전략수립 및 대정부 권고안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