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장이 마련된 아파트와는 달리 주택이나 빌라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은 쓰레기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곳 대부분은 쓰레기 배출 해당 요일에 맞춰 거리에 쓰레기를 내놓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쓰레기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거리에 내놓은 쓰레기 인해 도로의 환경이 지저분해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쓰레기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주택촌이나 빌라촌에도 쓰레기장을 따로 마련하여 쓰레기 분리수거와 깨끗한 환경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이 사업을 제안한다.
사업내용(변경)
쓰레기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주택촌이나 빌라촌에 쓰레기장을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이 쓰레기 분리배출을 장려하고 깨끗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
분야
환경분과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10,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쓰레기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주택촌이나 빌라촌에 쓰레기장을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이 쓰레기 분리배출을 장려하고 깨끗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
사업효과
1) 철저한 쓰레기 분리수거 가능 2) 쓰레기 분리수거를 통해 환경보호에 기여 3) 깨끗한 도로 환경 조성 4)쓰레기 투기 감소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검토자 연락처
검토부서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 실행불가 - 우리 구에서는 생활쓰레기 분리배출 지도, 무단투기 예방 등을 위하여 1997년부터 각 집․상가 앞에 생활쓰레기를 배출, 문전 수거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음. - 생활폐기물 수집장이 별도로 있는 공동주택과 달리, 일반주택 및 공동주택의 경우 별도의 배출공간이 없어 주변의 미관을 해치고 무단투기를 유발하는 측면이 있는 실정이나, - 일정 구역 내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생활폐기물 수집 장소를 지정,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마다 적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인접지 주민의 동의를 구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 - 또한, 해당 장소의 무단투기 방지, 쓰레기 배출관리를 위한 관리 인력 및 예산도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사실상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