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진행사항(정기)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투표자 추첨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참여자 대상 추첨 및 상품지급

2. 수집/이용 개인정보의 항목 : 이름, 연락처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지급 대상자 상품 지급 완료 즉시. (최대 2개월)

신청자 정보

작성자
부산청년정책네트워크(도시환경분과)
거주지
연제구
작성일
2020-05-01

제안사업

카테고리
지역참여형
제목
환경을 5G게, 쓰레기도 5G게
내용

<RFID or 5G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설 설치>
현황
- 2019년 환경부 주관 재활용품(플라스틱) 사용량 경감조치를 시행 중.
- 2020.2월 부로 변경된 재활용품 수거방법이 일반 시민들에게 홍보 중.
- 아파트 경비원의 업무 변경으로 재활용품 관련 업무 배제. 
- 음식물 쓰레기 무게 기반으로 RFID형식으로 사용 중이며, 교통카드,신분증으로 대체 중
방안
- 재활용품을 부피/무게를 측정하여, 월말에 세금고지서 형태로 각 가구마다 부과.
- 초기 RFID 방식을 도입하되,이후 무게/부피를 측정하여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
- 부피/크기별로 요금 부과 시, 불법투기가 적어지고, 자발적인 쓰레기 감소 노력 독려
(수거시설 이용 독려를 위한 방법 상정-투기 방지)
(수거 시설에 압축 기능이 있으면 좋을 듯. - 부피를 줄이는 방법)
 
 초기방안으로 65세 이하 1인 가구가 밀집된 곳이나 아파트 단지(시범단지)가 많은 곳,
RFID or 5G 형식의 재활용품 수거-처리시설 설치한다. (재활용품 경감/투기 방지 목적)

*고려해야 할 부분
-전국 최조 도입에 따른 구체적 방안 마련 모색, 부식 문제가 많은 철 이외의 재질 시설 설치
-무게,부피 감지 후 그에 맞는 요금 부과-> 음식물쓰레기 처리방안 벤치마킹
-노년층 고려 다양한 결제수단 : 기본은 휴대폰으로 하되 신분증 등의 수단 사용
-쓰레기 처리 요금 부과를 위한 수단이 만들어 질 시, 캐쉬백 적용 제도 고려ㄴ동백전은 제외 고민

사업내용(변경)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500,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위치2
전체
사업목적
재활용품 경감 및 분리수거 활성화/자발적 참여 유도
사업목적(변경)
사업효과
-재활용품 방치 및 무단투기로 길거리 미관 개선
-분리수거 참여율 증가 및 재활용품 감소
-체계적인 쓰레기 수거 과정
-개인적 쓰레기 처리 비용 감소
첨부파일

댓글달기 (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