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택시기사분중 60대이상 기사분을 대상으로 우선50대를 장애인택시(자비콜)에 설치하여
시범운행하면 좋을듯 합니다.
충격기(AED)한대가격이150만원정도 한다고 가정하면 일괄구매하면 더 싸개사지 않겠어요?
우선1억2천5백만원정도 예산을 잡아서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반응이 좋으면 확대운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회사택시도 참여하고 싶은 회사는 참여케하여 그럼 택시사업에도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노인분들은 이왕이면 AED설치된 택시를 타지 설치안된 택시 타겠습니까?
AED가 설치된 택시는 설치되었다고 붙히면 좋고요.
환자도 심장병 환자가 탈수있습니다.
운전자도 심장병 가지고있는 분이 있습니다.
서로 Win win하고 환자는 택시를 골라탈 수있고 좋쟎아요?
택시기사도 자기가 쓰러질경우 5분안에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뇌사상태에 빠질 수있습니다.
오히려 아파트보다는 택시에 더 유용할것입니다.
누가 AED있는 택시를 타고싶지 없는 택시에 타고 싶을까요(심장병환자)?
기본적으로 예산을 투입하여(반반해도 좋고요)시범운행하면 좋을듯 합니다.
사람이 살자고 닥터헬기도 투입하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돈은 쓸데 써야합니다.
전국에서 아마 심장충격기 설치된 택시는 없을껄요?
사업내용(변경)
AED 심장충격기를 장애인 택시에 설치함으로써 60세이상 노인분일경우 자기도 모르게 심장마비가 올 수있어 주위분이 5분이내로 뇌에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일입니다. 운전기사 졸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데 앞으로는 택시발전사업에 큰 도움이 될것같고 또한 심장병있는 노인분들도 AED설치한 택시를 골라탈 수있어 서로서로 win win 할 수있어 좋은것 같습니다 사람이 살자고 닥터헬기도 만들어서 운영하는것이고요. 더 나아가 택시사업에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장애인에게 할인되어 장애인이 많이 활용하는장애인택시(자비콜)에 설치
분야
교통분과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125,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AED 심장충격기를 장애인 택시에 설치함으로써 60세이상 노인분일경우 자기도 모르게 심장마비가 올 수있어 주위분이 5분이내로 뇌에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일입니다. 운전기사 졸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데 앞으로는 택시발전사업에 큰 도움이 될것같고 또한 심장병있는 노인분들도 AED설치한 택시를 골라탈 수있어 서로서로 win win 할 수있어 좋은것 같습니다 사람이 살자고 닥터헬기도 만들어서 운영하는것이고요. 더 나아가 택시사업에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장애인에게 할인되어 장애인이 많이 활용하는장애인택시(자비콜)에 설치
사업효과
장애인 복지 증진이 됩니다. 택시사업에 변화가 있을것입니다. aed설치택시는 설치표시를 택시에 부착하고 그러면 그것을 시민이 골라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럼 장사가 더 잘되고 좋겠지요
기타
워낙 비용이 비싼지라 선듯 하기가 쉽지 않을겁니다만 운전자들을 잘 설득해서 설치할 수있게 한다면 전세계에서도 택시에 AED설치하는 곳은 부산밖에 없을것입니다.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정현우
검토자 연락처
051-888-3994
검토부서
택시운수과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 검토내용 - 자동심장충격기(AED)는 공공의료보건기관, 구급차 등 다중이용시설의 공개된 장소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설치 후에도 설치된 시설 근무자가 관리자가 되어 사후관리 및 응급교육 등을 받아야 함 - 제안사업의 경우 택시는 의무설치장소, 시설에 해당하지 않으며, 장애인 콜택시는 개인택시회원 단체(자비콜)로 AED설치 후 사후관리를 할 수 없고 각 택시운송사업자가 관리자가 되어 사후관리를 해야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함(AED 관리지침상 市가 일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된 장소, 시설 근무자가 관리자로서 관리해야 함) - 또한 장애인 콜택시는 장애인 이동을 위한 사업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뿐 본업은 일반 시민을 운송하는 개인택시사업자이므로 택시 이용자의 일부가 장애인이라고 해서 개인 소유물인 택시 안에 市 예산으로 AED를 설치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음 ※ (참고)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의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및 관리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