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진행사항(정기)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투표자 추첨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참여자 대상 추첨 및 상품지급

2. 수집/이용 개인정보의 항목 : 이름, 연락처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지급 대상자 상품 지급 완료 즉시. (최대 2개월)

신청자 정보

작성자
손진현
거주지
남구
작성일
2019-04-30

제안사업

카테고리
시정참여형
제목
순수365 친환경 페트병 제작
내용

한 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페트병 수는 약 500억 개. 1초에만 1590여 개의 병이 쓰이고 버려진다. 그냥 버려지면 수백 년 썩지 않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지만 깨끗이 재활용되면 그 자체로 돈이 돼, 페트병은 두 얼굴의 플라스틱으로도 불린다.

1. 페트병 라벨 문제

국내에 판매되는 페트병의 라벨은 크게 두 가지 형태를 띤다. 접착제가 붙어 있는 접착식 라벨’, 그리고 접착제 없이 절취선대로 뜯으면 병과 바로 분리되는 비접착식 라벨이다. 시중에는 접착식과 비접착식이 대략 64 비율로 판매되고 있다. 전국 페트병 재활용처리업체는 22곳이다. 이곳들에선 매일 페트병에 남은 접착제 자국을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이 섞인 양잿물을 펄펄 끓인다. 시사저널 취재 결과, 이들 22곳이 양잿물을 끓이는 데 드는 가스비와 폐수처리비만 해도 한 해 수억원에 달했다. 그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도 불가피하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양잿물 끓이는 데 사용되는 가스가 미세먼지로도 배출될 것이며, 폐수의 양 또한 상당히 많을 것이라며 환경부 규정이 되레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끓는 양잿물을 이용해 접착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페트병을 변질시켜 재활용 가치를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출처: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340)

부산시에서 만드는 순수365 병입의 경우 일본의 페트병처럼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접착제 대신 라벨 절취선을 추가하여 환경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2. 페트병 뚜껑 문제

페트병을 제대로 분리수거 하기 위해서는 통과 뚜껑, 라벨을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라벨은 비닐, 통은 페트병,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배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뚜껑과 아래 붙어있는 부분까지 함께 제거를 해야 하나 그 방법이 어렵고 위험합니다. 사진과 같이 함께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제작 바랍니다.

(사진출처: https://blog.naver.com/alwayswithmm/221361538825)

 

사업내용(변경)
분야
환경분과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30,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상세위치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이하 정수사업소
사업목적
- 환경오염 예방, 재활용 예산 절감, 친환경 이미지 고취 등
사업목적(변경)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검토자 연락처
검토부서
검토결과
적합
검토의견
○ 덕산정수사업소에서 공급하는『순수 365』의 경우 ’18년까지는
접착식 라벨을 사용하였으나, 환경부 정책에 맞추어 ’19년 입찰을
통하여 6월 이후부터 출고되는 병입수의 경우 접착제 없는 신축성
라벨과 절취선을 삽입하여 출고가 됨을 알려드리며, 뚜껑의 경우는
환경부 정책에 맞추어 기존 뚜껑 소진 후에 통 뚜껑으로 제작 교체할
예정임.
□ 사업비(’19년도 예산편성 현황)
○ 병입수 페트병(라벨포함) : 238백만원
○ 병뚜껑 : 28백만원

분과위원회 심사결과/민관숙의 결과

소관기관
환경분야
심사결과
총회미선정
검토의견
/민관숙의 결과
첨부파일

댓글달기 (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