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진행사항(정기)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투표자 추첨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참여자 대상 추첨 및 상품지급

2. 수집/이용 개인정보의 항목 : 이름, 연락처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지급 대상자 상품 지급 완료 즉시. (최대 2개월)

신청자 정보

작성자
최정
거주지
수영구
작성일
2019-04-30

제안사업

카테고리
시정참여형
제목
부산시 자치구별 빈집재생통합관리 SW서비스(SaaS) 플랫폼 구축
내용
○ 최종 목표
- 부산시 민선7기 “빈집 재생 활성화” 공약사업 연계(2018.07.22)
- 부산시 북항 재개발사업 연계 국내 최초, 빈집 재생을 활용한 청년창업 마을 시범구역 조성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중구지역 옛 명승 되찾기
- 빈집 재생 청년창업자, 어르신 인큐베이터 공간 제공 신규 일자리 창출
- 빈집 재생 저소득층, 신혼부부 반값 주택임대 서비스 주민생활 도시재생 환경 개선
- 자치구별 빈집재생부터 빈집임대 통합운영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SW서비스(SaaS) 플랫폼 구축 필요
○ 플랫폼 설치 규모 : 부산시 16개소 구∙군
- 부산시 : 빈집소유주현황+상태+활용계획 등 위탁운영관리
- 자치구 : 빈집소유주등록+빈집재생+청년창업+빈집임대 등 위탁관리
- 청년창업자 : 고객관리+직거래장터+창업자모임 웹/모바일 무상 서비스
- 부산시민 : 창업정보+임대정보 등 모바일 무상 서비스
○ 부산시, 유관기관 연계 빈집통합정보 서비스
- 부산시, 자치구, 각 유관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 부산시 민선7기 빈집 재생 활성화 사업이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통합서비스 플랫폼 구축 필요
○ 부산시, 빈집 활용 청년창업 일자리창출 지원(2020년, 30명)
- 창업진흥원 K-스타트업 지원 사업과 연계 추진
- 지역 향토대표기업 창업 교육을 통한 직영매장 수준의 청년창업
- 지역 점포 장인들의 기술 전수를 통한 가맹점 수준의 청년창업
- 개인 역량 IT직종, 쇼핑몰, 문화예술 공연, 수공예품 등 청년창업

○ 북항 재개발사업 연계 중구지역 부산의 핫플레이스 가칭 “동백꽃청년창업” 청년창업 시범마을 조성
- 중앙동 : 첨단 해양사업 IT 연구개발 분야(5개소)
- 동광동 : 고미술, 전시관, 문화 창작거리 분야(5개소)
- 광복동 : 수공예품, 향토 제품 쇼핑몰 분야(5개소)
- 남포동 : 문화관광, 외국인전용 숙박 분야(5개소)

○ 부산시, 민선7기 빈집재생 사업 연계 부산의 핫플레이스 가칭 ‘동백꽃하숙’ 어르신 창업 자치구별 체인점 운영(30개소)
- 한국 산업단지공단 근로자 기숙사 임차료 지원 사업과 연계 추진
- 중소기업 근로자, 외국인, 유학생 대상 저렴한 비용 하숙집 운영
- 자치구별 외국인 관광객 대상 게스트하우스 활용
사업내용(변경)
○ 2018. 7. 22 부산시 민선7기 “빈집 재생 활성화” 공약 사업과 북항 재개발사업과 연계한 빈집 재생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어르신창업, 저소득층, 신혼부부 반값 주택임대 등 부산시민 일자리창출과 빈집수리 도시재생, 주택문화 주민생활안전 목표

○ 부산시의 북항 재개발사업과 연계한 국내 최초, 빈집을 활용한 중구지역 청년창업 시범마을조성 세계화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도시 재생 시너지 효과 창출

○ 부산시, 빈집 재생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자체, 자치구, 유관기관 등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SW서비스 플랫폼 구축 필요
분야
도시분과
사업시작일자
2020-01-01  ~  2020-12-31
소요예산
₩300,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 2018. 7. 22 부산시 민선7기 “빈집 재생 활성화” 공약 사업과 북항 재개발사업과 연계한 빈집 재생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어르신창업, 저소득층, 신혼부부 반값 주택임대 등 부산시민 일자리창출과 빈집수리 도시재생, 주택문화 주민생활안전 목표

○ 부산시의 북항 재개발사업과 연계한 국내 최초, 빈집을 활용한 중구지역 청년창업 시범마을조성 세계화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도시 재생 시너지 효과 창출

○ 부산시, 빈집 재생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자체, 자치구, 유관기관 등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SW서비스 플랫폼 구축 필요
사업효과
○ 빈집 재생을 통한 부산지역경제 활성화 및 부산시민 서비스 강화
- 어르신, 청년창업 신규 일자리 창출(80개소)
- 주택수리 반값 임대 주거문화 도시환경 개선(30개소)
- 빈집 소유주 연결 도우미 지역별 부동산소개업자 일감 제공(20만원/1건)
- 빈집 수리 지역별 건축설비업자 일감 제공(주택수리 및 영구 관리)

○ 빈집 재생을 통한 부산의 핫플레이스 공간 창출
- 북항 재개발 지역의 청년스타트업 유치로 중구지역 옛 명승을 찾아서 세계 각국 젊은 인재들이 모여드는 가칭 “동백꽃청년창업하우스” 운영
- 부산시 민선7기 빈집 재생활성화 사업 연계 어르신 창업 가칭 ‘동백꽃하숙’ 자치구별 체인점 운영
기타
○ 부산 청년실업률 9.9% 역대 최악(자료 출처 : 부산일보)
○ 부산시내 빈집 수 총1만3960가구 안전, 위생, 치안문제 해결 공공비용 부담 큼
○ 빈집이 증가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LH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 매입 임대 주택을 빈집 상태로 방치, 국정감사 지적(자료 출처 : 부대신문)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검토자 연락처
검토부서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 2019.3월 12억2천만원의 예산으로 부산도시공사 및 한국감정원과
부산시 16개구·군 소재 빈집에 대한「빈집 실태조사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현재 용역수행 중이며
- 용역이 완료되면 부산시 소재 빈집의 위치, 소유주, 용도, 구조,

분과위원회 심사결과/민관숙의 결과

소관기관
도시안전
심사결과
총회미선정
검토의견
/민관숙의 결과
첨부파일

댓글달기 (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