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건강관련 기관들을 한 건물에 모아 시민들이 원스톱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함
-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들인데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써야 될 예산 상당부분이 건물주에게 들어가고 있음
사업내용(변경)
- 시 마다 1개씩 있는 건강관련 기관이 부산 각지에 퍼져있어서 이용이 어려움. 따라서 이 기관들을 한자리에 모아 시민들의 이용 편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분야
복지분과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300,000,000
사업위치
전체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 시 마다 1개씩 있는 건강관련 기관이 부산 각지에 퍼져있어서 이용이 어려움. 따라서 이 기관들을 한자리에 모아 시민들의 이용 편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사업효과
- 시 마다 1개씩 있는 건강관련 기관이 부산 각지에 퍼져있어서 이용이 어려움. 따라서 이 기관들을 한자리에 모아 시민들의 이용 편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 건강 관련 센터들이 한 건물에 있으면 원스톱으로 이용가능 하므로 불필요한 이동으로 인한 시간적·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
- 건물주에게 들어가는 세금 상당부분을 아낄 수 있으며, 건강 지원 센터의 유지·보수·관리 인력 채용으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 회의장, 교육장, 체험실 등 많은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비용대비 편익이 매우 큼.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검토자 연락처
검토부서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 장기검토 중 - 부산시민 건강정보관(가칭) 건립 개요 ▹위치: 시민들의 접근이 용이한 교통 편의 지역 ▹규모: 부지 3,300㎡, 연면적 11,880㎡(지하1, 지상6) ▹시설: 건강체험실, 정보교육실, 종합상담실, 사무공간, 다목적홀 ▹내용: 건강체험(교육), 건강정보도서관, 건강관련 센터 집적화 운영 ▹예산: 198억 - 추진상황: 부산시민 건강정보관 설치 및 운영 기초 연구 착수(‘19.3월) □ 추진조건 ◯ 조건: 건강정보관 건립 예산확보 ◯ 대책: 사전 예방적 기능 및 최적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부산시민 건강정보관의 필요성을 중앙부처에 적극 개진하여 국비 확보 □ 사업효과 ◯ 미래세대의 건강증진 및 부산 건강지표 개선 ◯ 이용시민의 효율성․경제성 제고 및 예산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