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진행사항(정기)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투표자 추첨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참여자 대상 추첨 및 상품지급

2. 수집/이용 개인정보의 항목 : 이름, 연락처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지급 대상자 상품 지급 완료 즉시. (최대 2개월)

신청자 정보

작성자
이재민
거주지
기장군
작성일
2019-04-17

제안사업

카테고리
지역참여형
제목
버스정류장 옆이나 공원 안에 설치형 쓰레기통 설치
내용
약 500개의 버스 정류장 옆마다 쓰레기통 설치
약 30개의 공원 안에 각각 1개~3개의 쓰레기통 설치
사업내용(변경)
길거리 쓰레기로 인한 불쾌감과 오염을 막기 위함
분야
환경분과
사업시작일자
2020-03-02  ~  2020-04-30
소요예산
₩28,000,000
사업위치
기장군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길거리 쓰레기로 인한 불쾌감과 오염을 막기 위함
사업효과
길거리 쓰레기로 인한 안좋은 풍경을 없애고 불쾌감을 없앨 수 있으며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박영진
검토자 연락처
0517094531
검토부서
산림공원과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 현재 버스정류장 및 공원입구 등 총 29개소에 가로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음.
○ 쓰레기통을 추가 설치할 경우 오히려 쓰레기 무단투기가 더 빈번히 발생할 우려가 있음.
□ 검토내용 : 기장군에서는 문화관광안내소 설치를 위해 다방면에서 검토 중에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기장읍성을 중심으로 한 기장문화관광안내소 설치는 기장을 찾아오시는 관광객들의 수요에 알맞게 설치되어야 하는 사업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시기적으로 기장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장읍성 복원사업이 마무리되고 설치된다면 문화관광안내소의 역할을 보다 더 충실히 이행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도시공원 중 생활권공원(어린이공원, 근린공원등)은 근린생활권의 지역생활권 거주자가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길지 않은 시간동안 방문하는 곳으로 쓰레기통을 설치할 경우 가정용 쓰레기 무단투기 및 위생, 악취 발생 문제 등 우려 되는 부분이 있고 최근 제주시의 경우 관내 근린공원 및 어린이 공원 내 설치된 쓰레기통을 철거함에 따라 공원 내 발생 쓰레기가 2/3이상 줄어들고 공원 이용객의 대다수가 공원이 한결 깨끗하고 쾌적하였다는 반응을 보였다는 기사내용 [제주도민일보, 2016.11.25.] 또한 있음에 따라 공원 내 쓰레기통 설치는 불가함.

분과위원회 심사결과/민관숙의 결과

소관기관
지역회의
심사결과
총회미선정
검토의견
/민관숙의 결과

댓글달기 (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