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양왜성을 방문한적이 있는데 거기에 마을의 중심에 작은도서관이 있어서 마을주민들과 찿아오는관광객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보여서 우리 기장의 기장읍성주위남문에도 작은 도서관이 하나 있었으면 합니다.
사업내용(변경)
주민과 기장을찿는관광객 주위 학생들과의 소통공간.주민공간으로 활용
분야
기획행정
사업시작일자
~
소요예산
₩3,000
사업위치
기장군
사업목적(변경)
사업내용2
주민과 기장을찿는관광객 주위 학생들과의 소통공간.주민공간으로 활용
사업효과
잠시 쉬어갈수 있는 중간매개체역활과 지역의 활성화
기타
기장도서관과 평생학습과에서 책은 기증받는것으로 추진
부산시 검토결과
검토자
전민주
검토자 연락처
051-709-4102
검토부서
행정지원과
검토결과
부적합
검토의견
1. 공공도서관은 중복·유사시설 유무, 이용자 및 봉사권역 조사하여 접근성 및 교통 편리성, 시설 건립규모의 적정성, 운영·유지비 확보 방안 등을 고려하여 건립하여야 함. 2. 기장읍성은 인근 주변지역에 대라다목적도서관(557m), 기장도서관 (1.1㎞), 기장군청 내 디지털도서관 (1.6㎞)이 위치하고 있어, 인근 주민 들이 다양한 문화혜택 및 지식서비스 문화공간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기장읍 교리 234-1번지 일원에 (가칭) 기장 빛· 물·꿈 종합 사회복지관 내 도서관이 설치될 예정으로,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향후 인구추이 등을 감안하더라도 기장읍성 도서관 설치는 중복의 우려가 있어 장기검토가 필요함. 3. 또한 작은도서관은 마을회관 등의 주민공동시설에 설치기준 면적 33㎡ 이상, 열람석 6석이상, 도서 1,000권이상 비치요건을 충족하여야 설치 가능하나, 기장읍성 성터에는 주민공동시설이 없고 마을단위 자율 운영이 불가하여 다른 방안검토가 필요함. ※ 기장군은 기장의 기록문화를 발굴·수집·보존하여 기록문화 자원화 및 대중화를 도모하고자 2018년부터 기장기록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므로 향후 기장향토기록 특성화자료를 공공도서관내에 비치하고 기록문화 대중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 문화를 홍보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