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841호 전체기사보기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큰 그림 나왔다

해양수산기관장 포럼·부일 해양CEO 아카데미 등서 ‘발전 전략’ 제시

내용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인프라 - 24시간 운영 공항 확보, 스마트 자동화 항만 운영(제2신항), 부산(부산역, 송정역) 기종점 TSRㆍTCR연결. 산업 - 전통산업: 항만물류ㆍ싱가포르 수준 부가가치 창출 16조(부산 6조), 수산ㆍ글로벌 수산기업 500개사(현재 200개사, 매출 1천억이상), 조선해양ㆍ조선기자재→해양플랜트 기자재, 특수선박. 서비스산업: 동북아 국제크루즈 모항도시: 크루즈 4척(연간200만명), 해양신산업: 해양금융 중심지 : 선박금융 150조원, 해양과학기술 메카: 해양슈퍼컴, 해양로봇 등,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 해양안전, 해양자원 등. 남북 경제 협력: 수산ㆍ가공단지, 선박수리, 해기사양성 등. 문화 - 도심 수변문화 재창조(동천~북항), MICE 세계 5위권 진입(현212회, 8위), 연안정비 및 문화시설 확충. 중추기능: 해양자치권 및 정책기능 확보, 해운전문인력양성(연간 700여명, 총1만명 이상 배출), 글로벌 네트워크 : 세계해양포럼의 위상 강화(다보스포럼), 동북아 해양금융중심도시 브랜드 구축: 동남아(싱가포르), 동북아(부산)

 

■24시간 운영 관문공항 확보  

■자동화 항만 제2신항 구축

■중국· 시베리아횡단철도 연결  

■해양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2030년까지 위상 정립 목표

 

부산광역시가 민선 7기 도시비전인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한 큰 그림을 마련, 해양수산 관련 기관과 각종 분야별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8월 28일 시청에서 해양수산 관련 기관장 초청 조찬 포럼을 열어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을 주제로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토론을 벌였다. 

 

허윤수 부산발전연구원 해양환경실장이 이날 발표한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 발전 전략'은 △해양수도의 개념 △부산의 장단점 △부산이 지향하는 해양수도 △전략별 주요 추진과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상 등을 두루 담고 있다. 

 

이 발전 전략에 따르면, 부산은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 해양자치권 등 중추기능 확보로 2030년까지 동북아 해양수도로 우뚝 선다는 뚜렷한 목표를 세웠다. 싱가포르·상하이·홍콩처럼 해양을 기반으로 한 산업과 사회·문화활동이 활발한 도시로서 글로벌 영향력까지 갖춘 명실상부한 동북아 해양수도의 위상을 정립하겠다는 것.

 

이를 위해 부산시는 민선 6기까지의 하드웨어 중심의 해양수도 정책을 뛰어넘어 해양산업과 인프라 강화는 물론, 물류허브·국제해양금융·해양자치권 같은 중추·정책기능 확보, 해양 전문인력 양성, 해양문화 활성화 등 소프트웨어 정책까지 망라하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한 인프라 강화로 '더블 항만(부산신항+제2신항)'과 '더블 공항(김해공항+24시간 운영 관문공항)', '더블 철도(중국횡단철도 TCR+시베리아횡단철도 TSR)'를 구축하는 '트라이포트 더블' 전략을 추진한다.

 

스마트 자동화 항만으로 제2신항을 개발하고, 김해공항과 별도로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관문공항을 확보하며, 부산역과 송정역을 기종점으로 TCR과 TSR을 연결해 동북아 물류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산업 강화를 위해서는 항만물류·수산·조선해양 등 전통산업을 고도화하고 해양신산업 육성, 국제크루즈 등 서비스산업 특화, 남북경협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전통산업인 항만물류산업에서 현재 6조 원 가량인 부가가치를 싱가포르 수준인 16조 원 규모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수산업은 현재 200개 사에 그치고 있는 1천억 원 이상 매출 기업을 500개 사로 늘린다는 복안. 조선해양산업은 현재의 조선기자재 중심에서 해양플랜트 기자재와 특수선박 분야로 전환하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신산업 육성을 위해 해양로봇과 해양슈퍼컴퓨터 개발 등을 통해 부산을 해양과학기술의 메카로 도약시키고, 선박금융을 150조 원 규모로 키워 명실상부한 해양금융 중심도시로도 우뚝 세울 방침이다.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 해양안전, 해양자원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해양신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도 노력한다.

 

해양서비스산업 측면에서는 국제크루즈 4척을 운영, 연간 200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동북아 국제크루즈 모항도시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

 

해양산업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해 수산·가공단지 조성, 선박 수리, 해기사 양성 같은 분야로 경협 범위를 넓힌다.

 

동북아 해양수도로서 부산이 정책·중추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앙권한의 지방이양을 통한 해양자치권 확보, 해양항만산업 육성기구 설립, 해양중심지 추진위원회 설치, 해사전문법원 설립, 글로벌 네트워크 기능 강화 등에 나선다. 해양전문인력 양성에 힘을 기울여 연간 700여 명, 총 1만 명 이상을 배출하고, 세계해양포럼의 위상을 스위스 다보스포럼 수준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해양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심 수변문화 재창조, 부산국제영화제 재도약, 해양 관련 전시컨벤션(MICE) 활성화 등을 꾀한다. 동천과 북항을 연계하는 도심 수변문화를 재창조하고 현재 세계 8위의 지역 MICE산업을 5위권에 진입시키며, 연안정비와 문화시설 확충에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부산시장은 지난 8월 29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부산일보 '제4기 부일 해양CEO 아카데미' 개강식에 참석, '해양, 부산이 꿈꾸는 시민행복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했다. 이 자리에서도 △남해안 광역경제권 구축 △유라시아 관문도시(트라이포트) 완성 △고부가가치 해양산업 육성 △글로벌 해양네트워크 강화 등을 골자로 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발전 전략을 밝혔다.

 

부산시는 최근 잇따라 제시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한 추진 전략에 대해 각계각층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설계도를 확정해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8-09-0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841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