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전시도록


근대의 기억 학교에 가다

발행년도
2011
발행기관
부산근대역사관
등록일
2023-03-06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근대의 기억 학교에 가다 사진1
상세설명
[목차]
프롤로그

일제강점기 교육사 연표

01.개항장 부산의 학교와 학생운동
학교를 세우다
항일학생운동 일번지

02.조선교육령과 황국 시민의 양성
제1차 조선교육령- 천황의 백성, 신민의 탄생
제2차 조선교육령- 일시동인一視同仁의 허虛
제3차 조선교육령- 황국신민화 교육
제4차 조선교육령- 초등학교의 시작

03.식민지 교육의 도구, 학교 행사
수학여행과 원족
학예회와 전람회
운동회와 체조

04.총후銃後의 학교, 동원되는 아이들
애국일과 국방헌금
저축절약과 결전생활
제복의 처녀도 총을 들다
학교근로보국대와 노력봉사
학도지원병

05.생도의 하루
입학과 졸업
등교와 학교생활
방과 후 여가활동과 교우회
기숙사 생활

논고
부산지역 근대교육과 학교생활의 변화 – 김형목(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조선교육령과 식민지교육 정책 – 강명숙(배재대학교 교직부 교수)

부록. 부산지역 학교 졸업기념 사진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