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2건 (5/9page)
-
사실상 엔데믹으로… 부산시,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감염병관리과 | 조현우 | 051-888-3334 | 2024-04-30◈ 5.1.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 수준 '경계'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관심'으로 하향 ◈ 그간 유지됐던 일부 방역 조치를 모두 권고로 변경해 자율적 방역 실천으로 전환하고, 의료지원 체계도 계절독감과 동일한 수준의 일반의료체계 편입을 목표로 하되,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검사비와 치료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정 ◈ 2020.2월 구성됐던 시 코로나19 재난안전대책본부도 4년 2개월여간의 운영 종료
-
부산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관리 강화한다!감염병관리과 | 김경숙 | 051-888-3354 | 2024-04-30◈ 4.29.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와 16개 구·군 역학조사관과 감염병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관리를 위한 현장대응 교육 및 토론기반 모의훈련 실시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현장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하절기 감염병 집단발생을 대비한 빈틈 없는 대응체계를 수립할 것으로 기대
-
부산시, 공공방역기동반 대상 역량강화 및 안전교육 실시감염병관리과 | 이종면 | 051-888-3325 | 2024-04-30◈ 4.30. 15:00 시청 대강당에서 16개 구·군 보건소 담당자와 공공방역기동반, 주민자율방역단, 방역협회 관계자 등 300여 명을 대상으로 개최 ◈ ▲임용 동의대 임상병리학과 교수와 ▲임재의 한국방역협회 부산지회 홍보차장이 모기 매개 감염병의 역학적 특성과 서식 환경, 방역약품·장비의 올바른 사용법 등을 설명
-
지역사회 내 백일해 환자 집단 발생… 부산시, 백일해 총력 대응 나서감염병관리과 | 김준호 | 051-888-3351 | 2024-04-19◈ 지난 15일 최초 환자 발생 신고를 받고, 관련 조사를 통해 추가 환자가 발생함을 신속 확인… 4.18. 15:00 기준 총 19명의 백일해 환자 발생 ◈ ▲감염병 발생 대응체계 신속 가동 ▲관계기관 현장회의 개최를 통한 협력체계 구축 ▲16개 구군 보건소 협조 요청 등을 통해 추가 확산 방지에 총력 다하고 있어 ◈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 “기침예절 실천,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실내환기, 호흡기
-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부산시, 모기 예방수칙 준수 등 당부감염병관리과 | 서복숙 | 051-888-3355 | 2024-04-08◈ 일본뇌염에 특화된 치료제가 아직 없어 예방접종, 모기 예방수칙 준수 등 모기물림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 모기 예방수칙은 ▲기피제, 모기장 등 모기 회피 용품 사용 ▲외출 시 밝은색의 긴팔, 긴바지 착용 ▲야외에서 풀숲, 물웅덩이 주변은 되도록 가지 않을 것 ▲땀이 나면 샤워하고 땀이 묻은 옷은 세탁 ▲짙은 향수나 화장품 사용 ▲과도한 음주 자제 등 있어
-
부산시, 4월 15일부터 코로나19 고위험군 추가접종 실시감염병관리과 | 박은희 | 051-888-3724 | 2024-04-05◈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시민 ▲5세 이상 면역저하자 중 '23-'24절기 백신 기접종자 대상… 사전 예약 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 문의 후 당일 방문하면 접종 가능 ◈ 접종백신은 현재 유행 중인 변이에 맞춘 XBB.1.5 화이자·모더나·노바백스 백신 ◈ 한편, 이번 추가접종 대상 외 그동안 '23-'24절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시민도 근처 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어
-
부산시, 감염병 안전도시 구현 나선다!… 전국 최초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사업 추진감염병관리과 | 홍석주 | 051-888-3952 | 2024-04-02◈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감염관리로 건강한 고령사회 조성 및 감염병 안전도시 구현 나서 ◈ 단기계획으로 올해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실무협의체 구성, 현장컨설팅 진행, 감염관리 교육 및 모의훈련, 우수기관 시범사업 등 추진 ◈ 올해 하반기에는 중기(2025~2027) 로드맵(계획) 수립… 「부산형 감염관리, 손씻기 실천 인증제」를 핵심사업으로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지속체계 구축할 계획
-
부산시, "지역거점 뎅기열 예방관리사업" 본격 추진감염병관리과 | 정상균 | 051-888-3325 | 2024-03-29◈ 뎅기열로 인한 중증환자 발생에 대비해 신속하고 유기적인 진단·치료 체계 구축 ◈ 뎅기열 의심환자가 지역거점 보건소 방문하면, 검체를 채취해 뎅기열 진단이 가능한 보건환경연구원으로 검체를 이송하고 치료가 가능한 지정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연계 ◈ (지역거점 보건소) 동래구·사상구보건소 (지정 의료기관) 대동병원·좋은삼선병원
-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참진드기 서식 실태조사 실시감염병조사팀 | 송은주 | 051-309-2816 | 2024-03-27◈ 4~11월, 매달 네 곳(삼락생태공원, 백양산, 어린이대공원, 기장군 축사)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 참진드기 서식 실태조사 실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야외활동이 많은 중장년층과 면역력이 약한 사람 경우 감염 위험성 높아 ◈ 채집된 참진드기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검출 시 방역 조치 이뤄질 수 있도록 방역 기관에 신속히 통보 예정
-
부산시, 역학조사관 배출을 위한 교육의 장 마련감염병관리과 | 김건희 | 051-888-3352 | 2024-03-22◈ 3.20. 14:00 시청 대회의실에서 진행… 시, 구군 임명 (수습)역학조사관 참여 ◈ 역학조사관 교육과정 수료(예정)자 3명이 교육과정 수료 경험과 그 비법(노하우) 공유하고, 시 지자체 최초로 역학조사관 전문직위 부여받은 사례 소개 ◈ 역학조사관 지속 배출을 통해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및 대응 체계 구축 적극 도모
-
부산시, 결핵예방 대시민 홍보 릴레이 캠페인 전개감염병관리과 | 이은주 | 051-888-3322 | 2024-03-20◈ 제14회 결핵예방의 날(3.24.)과 결핵예방 주간(3.18.~3.24.) 맞아 시, 16개 구․군 보건소, 대한결핵협회 부산광역시지부에서 함께 참여 ◈ 3.18.~3.25. 시내 각 지역에서 릴레이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개최… 결핵예방 수칙과 '2주 이상 기침하면 결핵검사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긴 리플릿과 홍보물 배부 ◈ 결핵예방 수칙과 결핵 예방·관리의 중요성 알리고 결핵에 대한 경각심 고취 기대
-
부산시, 의료인 대상 홍역 발생 대응 교육 실시감염병관리과 | 이명주 | 051-888-3356 | 2024-03-07◈ 3.5. 의사, 간호사 등 시내 병의원 의료인 220명 대상 비대면 홍역 발생 대응 교육 실시 ◈ 최근 국내 홍역환자 지속 발생에 따라, 홍역 발생·유행에 대비하고 지역사회 홍역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의료기관의 홍역 조기 발견, 신속 대응 요령 등 교육 ◈ 이번 교육으로 의료기관의 홍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조기 인지 및 신고 역량이 강화돼 지역사회 홍역 전파 차단이 더욱 신속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