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5건 (4/8page)
-
부산시, 「산후조리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 발생 대응 안내서」 제작·배부감염병관리과 | 김준호 | 051-888-3351 | 2024-06-18◈ 산후조리원은 신생아 등 감염취약군 밀집 장소로, 감염병 집단 발생시 중증도 발전 위험 높아 ◈ 이에 부산시, 산후조리원 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이하 RSV) 발생 대응 안내서 제작·배부 ◈ 6.14. 구·군 보건소 감염병 전담 대응인력 대상 역량강화를 위한 지침 내용 교육 실시
-
부산시, 메르스 ․ 수막구균감염증 관리 강화감염병관리과 | 김건희 | 051-888-3352 | 2024-06-14◈ 의료기관 대상 의심환자 신고 체계 안내, 유관기관 연계해 격리·치료체계 구축, 접촉자에 대한 적극적인 격리·수동 감시 등 추진 ◈ 이슬람 성지순례 시기(6.14.~19.)에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 방문자들은 귀국 후 2주 이내 메르스 감염 의심 증상 발생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즉각 신고 당부
-
부산시, 의료인 대상 백일해 진단 및 관리 교육 실시감염병관리과 | 이명주 | 051-888-3356 | 2024-05-24◈ 5.22. 의사, 간호사 등 시내 병의원 의료인 135명 대상 비대면으로 실시… 백일해 대응 요령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해 지역사회 백일해 전파차단과 유행에 대비하고자 마련 ◈ 교육은 최수한 부산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백일해의 역학·발생 현황 ▲백일해 임상양상·합병증 ▲백일해 진단·치료 ▲발생 신고·관리 등의 내용으로 진행 ◈ 이번 교육으로 의료진의 백일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조기진단과 신고 역량이
-
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체계구축 협력 강화 업무협약」체결감염병관리과 | 홍석주 | 051-888-3952 | 2024-05-14◈ 5.13. 14:30 시청에서 업무협약 체결… 시 시민건강국장, 시사회복지협의회장 서명 ◈ ▲시는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등을 위한 현장 자문과 교육・훈련 등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정책적 지원 ▲시사회복지협의회는 돌봄서비스 공백 최소화에 상호 협력 ◈ 시의 감염관리 정책과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연계한 감염관리 체계구축을 한층 강화해 감염병으로부터 사회복지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이용자 건강 보호 기대
-
부산시, "감염병 위기 대응에 관한 업무 협약" 연장감염병관리과 | 김건희 | 051-888-3352 | 2024-05-10◈ 시내 9개 의료기관과 체결한 협약을 2026.5.12.까지 2년 연장… 협약 종료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감염병 위기 상황에 계속해서 적극 대응하고자 추진 ◈ ▲감염병의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병 환자 발생 시 환자 선별·치료 적극 협력 ▲상호 연락체계 구축해 감염병 진단·치료 정보 지속 교환 등
-
사실상 엔데믹으로… 부산시,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감염병관리과 | 조현우 | 051-888-3334 | 2024-04-30◈ 5.1.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 수준 '경계'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관심'으로 하향 ◈ 그간 유지됐던 일부 방역 조치를 모두 권고로 변경해 자율적 방역 실천으로 전환하고, 의료지원 체계도 계절독감과 동일한 수준의 일반의료체계 편입을 목표로 하되,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검사비와 치료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정 ◈ 2020.2월 구성됐던 시 코로나19 재난안전대책본부도 4년 2개월여간의 운영 종료
-
부산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관리 강화한다!감염병관리과 | 김경숙 | 051-888-3354 | 2024-04-30◈ 4.29.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와 16개 구·군 역학조사관과 감염병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관리를 위한 현장대응 교육 및 토론기반 모의훈련 실시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현장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하절기 감염병 집단발생을 대비한 빈틈 없는 대응체계를 수립할 것으로 기대
-
부산시, 공공방역기동반 대상 역량강화 및 안전교육 실시감염병관리과 | 이종면 | 051-888-3325 | 2024-04-30◈ 4.30. 15:00 시청 대강당에서 16개 구·군 보건소 담당자와 공공방역기동반, 주민자율방역단, 방역협회 관계자 등 300여 명을 대상으로 개최 ◈ ▲임용 동의대 임상병리학과 교수와 ▲임재의 한국방역협회 부산지회 홍보차장이 모기 매개 감염병의 역학적 특성과 서식 환경, 방역약품·장비의 올바른 사용법 등을 설명
-
지역사회 내 백일해 환자 집단 발생… 부산시, 백일해 총력 대응 나서감염병관리과 | 김준호 | 051-888-3351 | 2024-04-19◈ 지난 15일 최초 환자 발생 신고를 받고, 관련 조사를 통해 추가 환자가 발생함을 신속 확인… 4.18. 15:00 기준 총 19명의 백일해 환자 발생 ◈ ▲감염병 발생 대응체계 신속 가동 ▲관계기관 현장회의 개최를 통한 협력체계 구축 ▲16개 구군 보건소 협조 요청 등을 통해 추가 확산 방지에 총력 다하고 있어 ◈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 “기침예절 실천,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실내환기, 호흡기
-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부산시, 모기 예방수칙 준수 등 당부감염병관리과 | 서복숙 | 051-888-3355 | 2024-04-08◈ 일본뇌염에 특화된 치료제가 아직 없어 예방접종, 모기 예방수칙 준수 등 모기물림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 모기 예방수칙은 ▲기피제, 모기장 등 모기 회피 용품 사용 ▲외출 시 밝은색의 긴팔, 긴바지 착용 ▲야외에서 풀숲, 물웅덩이 주변은 되도록 가지 않을 것 ▲땀이 나면 샤워하고 땀이 묻은 옷은 세탁 ▲짙은 향수나 화장품 사용 ▲과도한 음주 자제 등 있어
-
부산시, 4월 15일부터 코로나19 고위험군 추가접종 실시감염병관리과 | 박은희 | 051-888-3724 | 2024-04-05◈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시민 ▲5세 이상 면역저하자 중 '23-'24절기 백신 기접종자 대상… 사전 예약 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 문의 후 당일 방문하면 접종 가능 ◈ 접종백신은 현재 유행 중인 변이에 맞춘 XBB.1.5 화이자·모더나·노바백스 백신 ◈ 한편, 이번 추가접종 대상 외 그동안 '23-'24절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시민도 근처 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어
-
부산시, 감염병 안전도시 구현 나선다!… 전국 최초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사업 추진감염병관리과 | 홍석주 | 051-888-3952 | 2024-04-02◈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감염관리로 건강한 고령사회 조성 및 감염병 안전도시 구현 나서 ◈ 단기계획으로 올해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실무협의체 구성, 현장컨설팅 진행, 감염관리 교육 및 모의훈련, 우수기관 시범사업 등 추진 ◈ 올해 하반기에는 중기(2025~2027) 로드맵(계획) 수립… 「부산형 감염관리, 손씻기 실천 인증제」를 핵심사업으로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지속체계 구축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