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 사상충증


사상충증이란
  • 피하나 림프관에서 기생하는 사상충(Wuchereria bancrofti, Brugia malayi, Oncocerca volvulus, Loa loa, Dirofilaria immitis, Brugia timori, Mansonella perstance, Mansonella azzardi) 감염에 의한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매개충(반크롭트사상충-모기, 말레이사상충-모기, 회선사상충-먹파리, 심장사상충-모기)이 흡혈 시 전파
  • 잠복기: 1~12개월

증상
  • 반크롭트사상충증과 말레이사상충증은 사지 특히 하지에 빈발하나, 반크롭트사상충증은 체간, 음낭 등 생식기와 비뇨기계 기관에도 기생하여 음낭수종과 유미뇨 발생 가능
  • 반크롭트사상충, 말레이사상충, 회선사상충은 림프관염, 피부염 등 염증을 초래함
  • 회선사상충증은 피하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숙주가 충체 있는 부위를 섬유조직으로 둘러싸 종양을 만드는데 뼈가 피하에 바로 인접한 부위에 발생
  • 폐 악구충증: 초기에 피하 부종, 호산구증가증, 원인불명의 편측성 흉막 삼출액 등이 나타나며, 기침, 흉통, 자연기흉
  • 위장관계 악구충증: 장벽이 두꺼워지고 내강이 좁아져서 폐색에 의한 급성 복증

치료 및 예방
  • 치료
    • 림프사상충증의 치료에는 구연산디에틸카바마진(Diethylcarbamazine citrate, DEC)와 doxycycline을 고려 가능
    • 조직사상충증의 치료에는 DEC, ivermectin, doxycycline 등의 약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심한 부작용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어 전문가의 자문에 따라 치료 추천
  • 환자관리: 모기가 환자를 물어 감염되지 않도록 미세사상충혈증 환자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함
  • 일반적 예방
    • 유행지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알고 매개곤충에 물리지 않도록 하여야 함
    • 유행지에서 감염원이 되는 환자 및 보유숙주 등을 치료하여 매개곤충의 감염을 차단하고 매개곤충을 효과적으로 구제하여 새로운 감염의 발생을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