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급성호흡기감염증)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이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감염 경로 및 역학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물건을 통해 간접 접촉
비말 전파
바이러스 혈증 없이 후두, 기관, 기관지 등 큰 상부 호흡기 상피세포에서 주로 증식하여 상기도감염증을 주로 일으킴 * 상기도 세포 손상으로 인해 2차 세균이 침투하여 세균 기관지염이 발생 가능
연중 발생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봄, 여름, 가을에 주로 발생
잠복기: 2-6일
전염기: 증상이 있는 질병기간동안 (바이러스는 2-3주 후에도 배출될 수 있음)
혈청형에 따른 특성
1형 및 2형은 크룹을 야기하며 상기도 및 하기도 호흡기 질환을 유발, 특히 1형은 소아의 주요 발생 원인
3형은 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폐렴 발생과 관련되어 있음
4형은 경증에서 중증의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
증상
발열, 기침, 콧물, 가래, 인후통이 흔하고, 천명(쌕쌕거림), 근육통, 구토 등도 발생
6∼24개월에서 가장 위험이 높으며, 성인의 감염 위험은 낮음
1형은 발열과 컹컹 짖는 듯한 기침이 특징인 크룹(croup, 급성후두기관지염)의 흔한 원인
3형은 세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감염을 일으킴
2형~4형은 위장관 감염증: 구토, 설사 등
발열이 5일 이상 지속되면 중이염, 폐렴 등 2차 세균 감염을 의심해야 함
치료 및 예방
치료
대증 치료: 수액 보충, 해열제 등 보존적 치료
예방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 없음
환자관리
표준주의 및 비말주의 준수
영유아의 호흡기 감염병인 경우 접촉주의 추가
감염증 증상이 있는 기간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제한하고 휴식
일반적 예방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기침 예절 실천 준수하기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기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하루에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감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기
장난감, 식기와 물컵 등 함께 사용하지 않기
손이 자주 닿는 표면과 물건(예. 장난감, 문손잡이. 전등스위치 키보드 등) 소독하기
유증상기간동안 되도록 직장, 학교, 공공장소 방문 제한하고 집에서 휴식하기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