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급성호흡기감염증)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이란
  •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감염 경로 및 역학
  •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물건을 통해 간접 접촉
  • 비말 전파
  • 바이러스 혈증 없이 후두, 기관, 기관지 등 큰 상부 호흡기 상피세포에서 주로 증식하여 상기도감염증을 주로 일으킴 * 상기도 세포 손상으로 인해 2차 세균이 침투하여 세균 기관지염이 발생 가능
  • 연중 발생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봄, 여름, 가을에 주로 발생
  • 잠복기: 2-6일
  • 전염기: 증상이 있는 질병기간동안 (바이러스는 2-3주 후에도 배출될 수 있음)
  • 혈청형에 따른 특성
    • 1형 및 2형은 크룹을 야기하며 상기도 및 하기도 호흡기 질환을 유발, 특히 1형은 소아의 주요 발생 원인
    • 3형은 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폐렴 발생과 관련되어 있음
    • 4형은 경증에서 중증의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

증상
  • 발열, 기침, 콧물, 가래, 인후통이 흔하고, 천명(쌕쌕거림), 근육통, 구토 등도 발생
    • 6∼24개월에서 가장 위험이 높으며, 성인의 감염 위험은 낮음
  • 1형은 발열과 컹컹 짖는 듯한 기침이 특징인 크룹(croup, 급성후두기관지염)의 흔한 원인
  • 3형은 세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감염을 일으킴
  • 2형~4형은 위장관 감염증: 구토, 설사 등
  • 발열이 5일 이상 지속되면 중이염, 폐렴 등 2차 세균 감염을 의심해야 함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 치료: 수액 보충, 해열제 등 보존적 치료
    • 예방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 없음
  • 환자관리
    • 표준주의 및 비말주의 준수
    • 영유아의 호흡기 감염병인 경우 접촉주의 추가
    • 감염증 증상이 있는 기간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제한하고 휴식
  •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기침 예절 실천 준수하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하루에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
    •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감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기
    • 장난감, 식기와 물컵 등 함께 사용하지 않기
    • 손이 자주 닿는 표면과 물건(예. 장난감, 문손잡이. 전등스위치 키보드 등) 소독하기
    • 유증상기간동안 되도록 직장, 학교, 공공장소 방문 제한하고 집에서 휴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