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폐흡충증
폐흡충증이란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에 의한 폐 기생충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제1중간숙주는 담수 패류이며, 제2중간숙주는 가재, 게 등 담수산 갑각류
감염된 사람 또는 야생동물의 대변으로 배출된 충란이 하천에 유입되면 제1중간숙주인 패류를 경유하여 피낭유충을 보유하고 있는 제2중간숙주인 자연산 참게나 민물가재를 설익혀 먹거나 게장으로 먹을 경우 전파
잠복기: 6주
증상
잠행성으로, 서서히 발현되며 오한과 미열을 유발
급성감염 시 피로감, 전신쇠약 등이 나타나며, 심한 기침, 객혈을 하며 갈색 무늬의 피가 섞인 가래가 배출됨
호흡곤란과 흉통이 있으며, 흉통은 운동을 하면 더 심해짐
합병증으로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늑막염, 기흉, 농흉 등이 발생할 수 있음
폐 폐흡충증: 심한 기침, 피 섞인 쇠녹물색의 가래, 흉통, 전신 쇠약
이소 폐흡충증: 복벽, 장벽, 간, 늑막 등에 통증
· 복부 폐흡충증: 복부 둔통, 압통, 경직, 간농양, 설사 등
· 뇌폐흡충증: 발작, 두통, 반신불수, 편마비, 시각장애, 뇌막염 등
치료 및 예방
치료
Praziquantel 25 mg/kg을 1일 3회(2~3일간) 복용
환자관리: 격리 필요 없으나 1개월 후 가래검사, 6개월 후 흉부X‒선 검사 필요
일반적 예방
담수산 게류, 참가재 등 제2중간숙주의 생식이나 덜 익은 조리 상태로 섭식 금지
담수산 게류로 담근 게장은 최소 7일이 지난 후에 먹도록 함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