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매독
매독이란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1기 또는 2기 매독환자의 성접촉시에 약 50%가 감염됨
증상
1기 매독: 경성하감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6주 후에 자연 소실됨
2기 매독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 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3기 매독
고무종: 피부, 뼈, 간 등을 침범함
심혈관 매독: 주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함
신경 매독: 무증상 매독, 뇌막혈관 매독, 척수로, 진행마비 등을 보임
잠복 매독
조기 잠복 매독: 감염 후 1년 이내로 감염성이 높은 시기임
후기 잠복 매독: 감염 후 1년 이상 경과한 경우
선천성 매독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조기 선천성 매독: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후기 선천성 매독: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 등을 보임
치료 및 예방
치료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통증 등 증상이 지속할 경우 대증치료
환자관리: 매독환자와 성적 접촉 또는 환자 검체와 노출된 경우 검사를 실시
일반적 예방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과의 성접촉을 피하고 콘돔 사용을 권고
선천성 매독을 예방하고 신생아의 예방적 치료를 위해서 모든 임산부를 대상으로 매독 혈청 검사 추천
의료진이 매독 환자에 직업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감염 상태와 노출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꼭 필요한 경우만 예방적 화학 요법을 제공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