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유비저


유비저란
  •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 ) 감염에 의한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오염된 흙이나 물에 노출, 흡입, 흡인, 경구 섭취 등을 통해 감염
  • 사람 간 전파는 매우 드물지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감염도 가능
  • 잠복기: 1일-21일이나 노출부터 증상까지 수년이 경과하는 경우도 있음
  • 호발대상: 동남아지역(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또는 호주 북부(특히, 우기) 여행객

증상
  • 국소감염: 국소 통증 또는 부종, 발열, 궤양, 농양
  • 폐감염: 기침, 흉통, 고열, 두통, 식욕부진
  • 혈행성 감염: 발열, 두통, 호흡곤란, 속이 거북함, 관절통, 근육통
  • 파행성 감염: 발열, 체중감소, 복통 또는 흉통, 근육통 또는 관절통, 두통, 간질

치료 및 예방
  • 치료: 항생제 치료를 하면서, 보존적 치료 병행. 필요한 경우 농양의 수술적 배액
    • 항생제 정맥주사: 10-14일 주사 ‣ ceftazidime 또는 meropenem
    • 경구용 항생제: 3-6개월 복용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doxycycline
    • 다른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시기가 늦어질수록 사망률이 증가하기때문에 빠른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매우 중요
  • 환자관리
    • 격리 필요 없음
    •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접촉주의
    • 치료종료 후 1개월간 헌혈 금지
    • 사람 간 전파는 매우 드물지만 감염된 환자 혈액이나 체액 접촉 주의
  • 일반적 예방
    • 유비저에 대한 백신 없음
    • 피부병변이 있거나 고위험군(당뇨, 만성신장질환자)은 흙 또는 토양에 고여 있는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
    •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긴 장화를 신고 작업해야 함
    • 의료기관 종사자는 유비저 환자 진료 시 마스크, 장갑, 가운 등을 착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