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거주나 휴양 등으로 정글에 들어갔을 때 바이러스가 모기를 통해 원숭이에서 사람으로 전파
중간형 모기
모기(숲모기 속)에 의해 원숭이에서 사람에게로 또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파: 주로 정글 경계지역에서 살거나 일하는 사람들에게 전파
도시형 모기
주로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
혈액을 통한 전파 (수혈감염, 감염자의 혈액채취 시 주사바늘 찔림 사고 등)
잠복기: 3~6일
전염기: 증상발현 이후 혈액에서 17일까지 황열 바이러스가 확인되며, 발열 직전과 증상발현 이후 3~5일간 모기에 대해 감염성이 있음
증상
대부분의 경우 감염기간은 짧고 완전히 회복함
대유행시기에는 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황달과 심한 출혈을 유발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일 수 있음
경증의 경우 갑자기 발열, 두통이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좋아짐. 일부에서는 체온에 비하여 서맥(맥박이 느린 것)을 보임
중증의 경우 섭씨 40도에 이르는 고열이 갑자기 나타나고, 심한 두통, 오심, 구토, 복통, 근육통을 동반하여 황달과 출혈성 경향을 보이며, 이런 증상이 3일 정도 지속 된 후 수시간 내지 하루정도 열이 없는 시기가 오고, 다시 열이 나면서 환자상태가 악화됨. 이때 신부전, 간부전이 동반되고 피를 토하게 되며, 중추신경계가 영향을 받으면 뇌막염, 뇌염의 증세를 보이고 경련이 나타날 수 있음
대개 후유증 없이 회복되지만 드물게 심근손상, 부정맥, 심부전 등을 보일 수 있음
치료 및 예방
치료: 대증치료
환자관리
환자 혈액 및 체액 격리
황열 환자 및 병력자의 경우 치료종료 후 1개월간 헌혈금지
예방
황열 백신: 예방접종이 최상의 예방법이며, 유행지역 대부분 국가에서 입국 전에 황열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 예방접종 이후 2주(14일) 동안은 헌혈 금지
노출 회피: 유행지에서 외출할 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유행지에서 외출할 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기피제를 사용하고 긴소매, 긴바지를 착용하여 노출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