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및 변종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
야콥병이란
변형프리온 단백이 중추신경계에 축적되어 중추신경계의 변성을 유발함으로써 특정 신경학적 소견을 나타내는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산발성(sCJD): 자연 발생
의인성(iCJD): 오염된 수술도구의 침습적 의료행위, 감염조직(뇌, 척수액, 안구조직) 이식 등에 의해 발생
유전형(fCJD): 유전적 소인에 의해 직계 유전
변종(vCJD): 광우병에 걸린 소 유래 변형 프리온 경구 섭취
잠복기: 수개월~수년
증상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서서히 진행되는 혼동, 진행성 치매, 다양한 양상의 운동실조를 보이고 후기에는 근경련과 함께 여러 신경학적인 징후들을 보임
환자의 연령은 16세에서 80세 이상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지만 거의 대부분이 35세 이상의 환자들이며 질병경과가 빠르게 진행하여 3개월 내지 12개월이면 사망에 이르게 됨
변종크로이츠펠트-야콥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와 달리 초기에 우울증, 불안감, 초조감, 공격적 성향, 무감동증 등과 같은 정신 증상이 나타나서 지속됨
초기부터 기억장애나 지속적인 감각 장애 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명확한 신경학적 증상은 초기 증상 발생 후 평균 6개월 정도 뒤에 나타남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증상은 팔, 다리의 감각 이상 증상으로 통증을 동반하기도 하고 동반하지 않기도 함
빠르게 진행하는 운동실조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신경학적 징후이며, 모든 환자들에서 운동 실조증과 근경련, 무도증, 근긴장 이상증 등의 이상 운동증을 보였음
말기증상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의 증상과 유사하여 인지장애가 점차 진행하고, 운동불능, 무언증의 상태가 되며 증상 발현 후 평균 14개월에 사망에 이르게 됨
변종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보다 젊은 연령(20-30세)에서 발생함
치료 및 예방
치료: 치료제 없음
일반적 예방
퇴행성 뇌질환으로 발생하는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과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가족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대한 예방은 불가능하다.
광우병에 걸린 소고기의 신경 조직 섭취를 절대 삼가고 가급적 소고기의 신경 조직 섭취를 삼가도록 한다.
부검시, 감염병 전파 예방을 위해 화장할 것을 권고한다.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