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신증후군출혈열


공수병이란
  •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 오줌, 타액 등을 통해 바이러스를 체외로 분비, 이것이 건조되어 먼지와 함께 공중에 떠다니다가 상처난 피부 또는 눈, 코, 입 등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
  • 사람 간 감염사례는 극히 드뭄
  • 잠복기: 1~2주(최대 8주)
  • 호발시기: 연중 발생가능하나 대부분 10~12월에 집중
  • 호발대상: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 군인, 농부, 실험실 요원 등

증상
  • 대체로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등 5단계의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나 최근에는 비정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증가함
  • 발열기(3일~5일): 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오한, 허약감, 근육통, 배부통, 오심, 심한 두통, 안구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이 나타남
  • 저혈압기(1~3일): 환자의 30~40%에서 나타나며 해열이 되면서 24~48시간 동안 저혈압이 나타나고 이중 절반 정도에서 쇼크가 나타나며, 이 시기에 배부통, 복통, 압통 등이 뚜렷해지고 출혈반을 포함하는 출혈성 경향이 나타남
  • 핍뇨기(3~5일): 60%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무뇨(10%), 요독증, 신부전, 심한 복통, 배부통, 허약감, 토혈, 객혈, 혈변, 육안적 혈뇨, 고혈압,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 등을 보임
  • 이뇨기(7~14일):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로 인한 심한 탈수,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음
  • 회복기(3~6주) : 전신 쇠약감, 근력감소 등을 호소하나 서서히 회복됨

치료 및 예방
  • 치료: 의사의 진단에 따라 질병 경과에 따른 내과적 대증치료 실시
  • 예방: 고위험군 예방접종
  • 일반적 예방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특히 10∼12월)
    • 쥐와의 접촉을 피하고 설치류의 배설물, 타액 등의 접촉을 최소화
    • 설치류의 증식을 억제하고 주위환경에 쥐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차단
    •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을 즉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할 것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