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풍진


풍진이란
  • 풍진 바이러스(Rubivirus rubellae)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감염경로
    • 비말 전파, 직접 접촉, 수직감염(태반을 통한 태아 감염)
    • 전염기간: 증상 발현 후 1주일 동안 비인두를 통해 바이러스 배설. 단, 선천성 풍진증후군에서는 최대 1년까지 체액을 통해 배출됨
  • 잠복기: 12~23일(평균 14일)
  • 전염기: 발진 7일 전부터 7일 후까지(선천성 감염의 경우 출생 후부터 최대 1년까지 바이러스 배출)

증상
  • 임상적 특성
    • 선천성 풍진증후군(CRS): 임신 초기에 모체가 풍진에 이환되어 발생
      • ‧ 모체 감염이 임신 초기에 가까울수록 태아 기형이 더 광범위하고 그 정도 또한 심함
      • ‧ 선천성 백내장・녹내장, 선천성 심장기형 (동맥관 개존증, 말초 폐동맥 협착 등), 선천성 청력소실, 풍진 망막병증, 자반증, 비장비대, 황달, 소두증, 정신지체, 뇌수막염, 뇌염 등
    • 후천성 풍진: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
      • ‧ 림프절 비대(통증): 귀 뒤, 목 뒤, 후두부
      • ‧ 발열과 발진(홍반성 구진): 홍역, 성홍열 등의 발진과 비슷
      • ‧ 발열, 피로, 결막염, 비카타르 등
  • 합병증: 관절염, 혈소판 감소증 등
  • 진단
    • 선천성 풍진
      •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ivirus rubellae 분리
      •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 모체 항체가가 없어지는 시기(생후 약 9개월) 이후에도 항체 지속 검출
    • 후천성 풍진
      •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ivirus rubellae 분리
      •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치료 및 예방
  • 치료
    • 보존적 치료: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
  • 관리
    • 환자 격리: (선천성 풍진) 입원 시 적용, 접촉주의, (후천성 풍진) 비말주의(격리기간: 발진 발생 후 7일간)
    • 접촉자 관리: 증상 발생 모니터링, (임신부) 항체 검사를 포함한 진료 및 상담시행
  • 예방: 예방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