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한센병
한센병이란
나균(Mycrobacterium leprae)에 의해 발병되는 만성 감염병이며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 병변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감염경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피부와 상기도가 주된 침입경로로 알려져있음
피부로는 정상피부의 접촉으로 인한 침입은 불가능하며 접종해야만 침입이 가능함
잠복기: 보통 2~5년 발생, 일부 몇주 또는 20~30년 발생
증상
임상적 특성
반점이나 침윤,말초 신경의 비후 또는 지각신경마비 등 활동성임상 증상
균이 주로 피부와 말초신경에 병변을 일으키고 뼈, 근육, 안구, 고환 등을 침범함
임상 증상으로 나종형(lepromatous)나와 결핵양형(tuberculoid)나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임
‧ 나종형 나(lepromatousleprosy): 소결절, 구진, 반점, 미만성 침윤이 대칭적으로 분포하며, 광범위하게 나타남. 비강점막 침범으로 코가 주저앉고, 비출혈, 홍채염, 각막염 등을 보임
‧ 결핵양 나(tuberculoidleprosy): 단일 또는 몇 개의 경계가 명확한 피부 병변이 나타나며, 감각이 없어지거나 저하되고 비대칭적으로 분포하는 심한 말초신경염을 동반함
‧ 경계군 나(borderlineleprosy): 나종형 나와 결핵양 나 중간의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남
진단
특징적 임상 증상 확인, 분자생물학적 검사법에 의한 나균 확인, 조직 검사상 한센병 육아종 소견 확인, 병변의 도말 검사(항산성 염색)에서 항산균 확인
치료 및 예방
치료
답손(DDS), 리팜피신(RMP), 클로파지민(Clofazimine) 등의 약을 병용하여 치료함
조기 진단, 조기 치료 등의 조건이 갖추어 질 때 후유증을 비교적 적게 남길 수 있음
서비스 구분별 다제요법(MDT)의 원칙
‧ 다균형 활동성 환자 투약은 균 양성 시기의 투약과 균 음전 이후 2년의 추가 투약을 실시
‧ 희균형 활동성 환자 투약은 활동성시기의 투약(약 2년)과 활동성 시기 종료 후 6개월의 추가투약을 실시
‧ 과거에 Dapsone 단독 투약 등을 받은 치료자로서 현재 비활동성인 자의 투약은 재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MDT종결을 위한 확인적 투약 목적으로 다균형은 2년, 희균형은 6개월의 마무리 치료를 실시
관리
신환자 진단 시 한센병 전문진료기관으로 치료연계 및 접촉자 관리 (마지막 접촉 시점으로부터 최소 5년간 매년 검진 권장)
예방
아직도 한센병관리에 일괄적으로 권고할 만한 백신은 없음
죽은 나균 또는 배양된 무독성 나균 등으로 BCG와 혼합하여 시험하고 있으나, 효과 있는 백신개발은 미지수임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