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폴리오


폴리오란
  •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이완성 마비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감염경로
    • 분변-경구 또는 사람 간 전파
      • ‧ 인체가 유일한 숙주로 대개 경구를 통해서 전파. 환경이 잘 정비된 나라에서는 인두, 후두 감염물로 전파
  • 잠복기: 3~35일(비마비성 폴리오: 3~6일, 마비성 폴리오: 평균 7~21일)
  • 전염기: 증상 발생일 11일 이전부터 6주 이후까지
  • 전염력
    • 가족 내 접촉 시 감수성이 있는 소아의 전체, 성인의 약 90% 이상에서 혈청전환이 확인될 정도로 전파력이 강함
    • 환자에서 증상 발생 전후로 7~10일 기간 동안에 전염력이 가장 크며, 발병 후 대변으로 3~6주까지 바이러스가 배출될 수 있음

증상
  • 임상적 특성
    • 급성 이완성 마비
    • 90~95%는 불현성 감염, 1% 미만에서 마비성 회백수염 발병
      • ‧ 부전형 회백수염(4~8% 정도): 발열, 권태감, 인후통, 근육통, 두통 등을 보이나 대체로 3일 이내에 소실됨
      • ‧ 비마비성 회백수염(1~2% 정도): 발열, 권태감이 먼저 나타난 후 수막염 증상이 나타남
      • ‧ 마비성 회백수염(1% 미만)
        • ① 발열, 인후통, 구역, 구토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다가 수일간의 무증상기를 거친 후 비대칭성의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가 나타남
        • ② 척추형 회백수염: 경부, 복부, 체간, 횡격막, 흉곽, 사지 근육의 허약 등
        • ③ 구형 회백수염: 뇌신경 지배 근육의 허약, 호흡・순환 장애 등
        • ④ 구척추형 회백수염: 척추형과 구형 회백수염의 증상이 모두 나타남

치료 및 예방
  • 치료
    • 보존적 치료: 대증치료, 급성기 마비와 같은 합병증 발생주의・관찰·환자관리
  • 관리
    • 환자 격리
      • ‧ 입원 후 매주 채취한 대변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배양검사 결과가 2회 연속 음성일 때까지 격리
    • 접촉자 격리
      • ‧ 환자 마지막 접촉 후 3일 이상 지난 시점에서 24~48시간 간격으로 2회 연속 채취한 대변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배양 음성으로 확인될 때까지 격리
  • 예방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