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A형간염


A형간염이란
  •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감염경로
    • 분변-경구 경로로 직접 전파
    • 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한 간접 전파
    •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나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
    • 성접촉을 통한 감염
  • 역학
    • Hepatitis A 바이러스가 장관을 통과해 혈액으로 진입 후 간세포 안에서 증식하여 염증을 일으킴
    • 잠복기: 15∼50일(평균 28일)
    • 전염기간; 증상 발현 2주 전부터 황달이 생긴 후 1주일까지

증상
  • 임상적 특성
    • 발열, 식욕감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권태감,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등
    • 6세 미만 소아에서 대부분 무증상(70%)이고, 약 10%에서 황달이 발생하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70% 이상 황달이 동반되며 증상이 심해짐
    • 수주∼수개월 후 대부분 회복하며, 만성간염으로 진행하지 않음
  • 전염기간: 증상 발현 2주 전부터 황달이 생긴 후 1주일까지
  • 치사율: 0.1~0.3%이나, 50세 이상에서 1.8%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 치료: 안정, 고단백 식이요법
    • 전격 간염 또는 구토로 인해 탈수된 환자는 입원치료 필요
    • 전격성 간부전으로 진행시 간이식
  • 관리
    • 증상 발생(황달 발생, 간수치 상승) 후 1주일간 의학적 판단에 따라 격리
    • 설사가 멈추고, 황달 발생 후 7일까지 격리하고, 음식 취급, 보육, 환자 간호, 학교 출석, 보육시설 출석을 금지
    • 무증상 감염인(병원체보유자) 관리: 황달, 간수치 상승 등 증상이 없어 입원하지 않은 무증상 감염인의 경우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보육교직원, 요양시설 종사자, 조리종사자, 의료종사자는 1회 대변 검사에서 음성 확인 후 직장 복귀
  • 예방
    • 일반적 예방
      •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 안전한 음식 섭취: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 ‧ 위생적인 조리하기
    • 예방접종
    • 노출 후 예방 : 노출 후 2주 이내에 A형간염 예방접종 시행 또는 면역글로불린 투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