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감염병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내용

B형간염


B형간염이란
  •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질환

감염 경로 및 역학
  • 산모에서 신생아로의 주산기 감염
  • B형간염 바이러스 전염력을 가진 자와 성적 접촉
  •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았을 때
  • 사용 중 상처를 일으킬 수 있는 오염된 도구(주사바늘, 면도기 등)
  •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체액이 묻은 바늘이나 칼에 상처를 입었을 경우
  • 잠복기: 60~150일(평균 90일)
  • 전염기: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인 경우 전파 가능

증상
  • 급성 B형간염
    • 황달, 흑뇨, 식욕부진, 오심, 근육통, 심한 피로, 우상복부 압통 등이 나타나나 무증상 감염도 있을 수 있음
    •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간기능 검사 상 이상이 회복되고 바이러스가 제거되지만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HBsAg 양성을 보이는 경우 만성간염으로 이행함
  • 만성 B형간염
    • 피로, 전신권태,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황달, 식욕부진 등
    • 합병증: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부전, 간세포암 등

치료 및 예방
  • 치료
    • 급성 B형 간염: 안정, 고영양 식이 등 대증요법
    • 만성 B형 간염: 안정, 식이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 등
    • 환자 관리
      • B형간염 환자의 별도 격리 불필요
      • 혈액 및 체액 노출 예방을 위한 표준주의 준수
      • 접촉자 관리: 감염자의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상태, 노출자의 백신접종력, 노출자의 B형간염 표면항체(anti-HBs) 상태에 따라 면역글로불린 투여 및 백신 접종 시행
    • 예방: 예방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