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야토병
야토병이란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감염에 의한 질환
고위험병원체로 생물테러 감시체계에 속한 감염병
감염 경로
(매개체 물림) 감염된 진드기, 사슴 파리(deer fly), 이, 벼룩 등이 주요 매개체
(동물 접촉) 감염동물에 물리거나 감염동물 사체를 피부나 점막으로 직접 접촉; 감염 동물의 뼈에 찔리거나 가죽 벗기기, 육류 취급 과정에서 감염
(섭취) 불충분하게 조리된 감염동물의 섭취 및 오염된 식수 섭취
(흡입) 병원체에 오염된 에어로졸이나 먼지 흡입; 토양, 곡물, 건초 및 분진 흡입 등
잠복기: 1일~14일(일반적으로 3일~7일)
증상
전파 경로에 따라 경증부터 중증까지 임상증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음
주요 증상
피부궤양성림프절형: 가장 흔한 형태로 75~85% 차지. 감염된 자리에 피부 궤양이 발생하고, 국소 림프절 부종(특히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및 발열, 오한, 두통, 전신피로 등 동반
림프절형: 발열, 국소적 림프절병증이 있으나 피부궤양은 없음
안구림프절형: 눈의 통증, 염증과 귀 앞쪽의 림프절염을 동반
구강인두형: 경부 림프절염을 동반한 인두염, 구강궤양, 편도염 발생
폐렴형: 야토병 중 임상적으로 가장 심하고 기침, 흉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 발현 에어로졸, 먼지 흡인하거나 다른 유형의 야토병 합병증으로 발생
장티푸스형: 국소 증상이나 징후 없이 발열, 오한, 두통, 기침, 근육통, 피로, 때로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전신증상을 동반, 미치료시 30~60%의 높은 치사율, 림프절 부종이 동반되지 않아 진단이 어려움
치명률
전체적인 야토병의 사망률은 약 2~8% 내외로 알려져있지만, 장티푸스 또는 폐렴 야토병일 경우 치명률이 높을 수 있음
조기에 적절히 항생제로 치료받는 경우에 사망률은 1% 미만임
치료 및 예방
치료
국내 상용화된 항생제 중 야토병 적정 항생제 선택 치료
(감염예방) 피부병변과 접촉 시 피부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
예방
접촉자, 노출자 예방적 항생제 투여
야토병 감염예방 수칙: 야외활동 시 진드기 등 곤충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동물 취급 주의, 식수 및 식품 섭취 주의, 감염 환자의 체액, 가검물 등과의 접촉 주의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