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시민청원 와글와글 > 시민청원

시민청원

MBC라디오 “자갈치 아지매와 아파트 관리비”답변완료
분류
도시(주택)
청원기간
2022-03-14 ~ 2022-04-13
공감해요
작성자
소**
작성일
2022-03-14
청원번호
1833
첨부파일
부산시청 시민청원(2022. 3. 14).pdf (파일크기: 130 KB, 다운로드 : 348회) 미리보기
안녕하십니까.
2022년 3월 8일 방송된 '자갈치아지매' '공동주택관리법'을 듣고 공감이 되어 시민 청원을 올립니다.

[부산MBC 자갈치아지매 220308, 김가람의 바로 다 보이는 법] [공동주택관리법]
*방송 내용*
- 공동주택관리법이란?
- 관리소장이 하는 일은?
- 관리비 징수 업무는 어떻게?
- 관리비로 징수한 것은 어떻게 지출이 되는 건지
- 사업자 선정, 집행 방식은?
- 금액이 300만원 이하는 2곳 이상 견적서를 받아서 비교해서 계약, 그 외에는 입찰로 공정하게 경쟁해서 계약
- 법을 어기면?
- 관리업무와 관련된 계약서는 관리사무소에 가면 볼 수 있는지

******************************************************************

저는 100세대 미만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시민입니다.
2021년 11월 저희 관리사무소에서는 전산작업 오류로 11월 관리비에 한해 현금 납부를 전 세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기 납부한 당 월 관리비와 상이한 금액이 자동이체 출금 되었습니다. 현금 수납된 관리비를 환불받는 과정에서 관리소는 답변 회피와 의구심으로 일관했으며 한 달 만에 환불을 받았습니다.
관리업체나 전산업체는 이에 대해 명확한 답변도 없으며 자료 공개도 거부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구 아파트 입주민과 관리비 관련 정보를 공유하던 중
-전산용역과 관련된 시민청원을 알게 되었고 ‘자갈치 아지매 라디오 방송'도 듣게 되었습니다.

반복된 시민청원 내용에서 시민들의 분노와 관리비 투명화 청원이 무색하게 관리회사, 관리사무소, 관공서에서는 아무런 조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자갈치 아지매 방송 내용 중, 아파트에서 300만 원 이상은 수의계약을 못합니다.
그런데, 부산의 7,000여 세대를 관리하는 아파트 관리자는 61,941,600원에 전산용역업자와 수의계약을 체결해도 행정기관에서는 묵시하고 있는 것입니까.
(첨부파일의 전산 사업자선정 결과 공개 참조)

*-2,300세대의 아파트 관리자는 1년간 계약금액이 13,000,000원이 넘는데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는 계약금액을 한 달분인 1,090,909원으로 표시해서 마치 수의계약이 가능한 금액인 것처럼 꼼수를 부렸습니다. 그러나 관리감독을 해야 할 행정기관에서는 지금까지 대수롭지 않은 사안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일까요.-과거 10년 전 부산아파트 전산용역비가 비싸다는 KBS의 뉴스에도 불구하고 관리자들은 현재까지 일관된 묵시로 입주민 위에 군림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전산업체의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벌어졌으나 그 누구도 사과와 반성 등 사태를 수습과 재발방지 노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https://youtu.be/CFkJe50L38E [kbs 뉴스]



1. 부산시에 요청 드립니다. 현재까지 부산시 아파트 관리자들이 전산용역계약을 어떤 방식으로 한 것인지 전수조사를 해서 시민들에게 알려 주십시오,

-10년 전부터 현재까지 타 지역보다 높은 전산비용의 이유는 아파트 관리자들이 전산용역입찰과 계약을 제대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관리자들이 무감각한 위법 행위를 자행하고 있는 현실에서 시민청원을 해도 행정기관에서는 강력한 조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관리비 운용관련 계약의 부조리를 밝혀 더 이상 시민 위에 군림해서는 않됩니다. 또한,, 시민의 희생과 피해를 강요해서는 않됩니다.

2. 부산시에 바랍니다.
시민이 관리사무소에 정당한 요구를 하고 법에 따라 입주민을 위한 계약을 하고 있는지 감독할 수 있도록 시민들에게 공동주택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의 기회를 주십시오,

3. 부산시민 여러분, 자갈치아지매 말처럼 우리가 감독하고 감시해 나갑시다.
-개인정보 법에는 개인정보가 유출되면 지체 없이 알려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관련해 시민청원 내용 중 구청과 시청의 공문이 관리사무소로 발송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주변 관리사무소 어느 곳에서도 이에 관하여 입주민에게 공유하지 않았으며, 관리회사와 관리자는 거대 집단이 되어 무감각으로 진실을 포장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민 여러분,
부산시에서 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관리사무소를 내방해 계약서와 회계서류를 요청해서 우리가 감독합시다.
꼼수를 부리는 수의계약과 경쟁 입찰을 하지 않도록 우리 시민이 감독하고 감시해 나갑시다.

답변아이콘답변

○ 평소 시정발전에 가져주신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아파트 전산용역업체 선정 관련 시민청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 아파트 전산용역업체 선정 시 수의계약 사항과 관련하여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제1항제2호 규정에 따른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서
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를 선정하려는 경우에는 법 제25조 및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 지침」에 따라야 하며,
용역 금액이 3백만원 이하인 경우, 기존 사업자의 사업수행실적 평가에 따른 계약 등 수의계약이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쟁입찰을 하여야 합니다.

○ 첨부된 아파트에서 3백만원이 초과한 금액으로 수의계약한 사실이 기존 사업자의 사업수행실적 평가에 따른 계약인지, 법령 위반인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공동주택의 감독 권한이 있는 구‧군(건축과)에 청원내용을 알리고 공동주택 전산용역업체 선정 과정에서 법령 위반사항이 없는 지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고
위반사항이 있을 경우 관련 규정에 적합하게 처리 후 해당 아파트 주민들에게 공개토록 통보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아파트 관리비에 관한 정보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을 통하여 공개하고 있으니 참고바라며,
우리 시에서는 매년 아파트 관리주체와 입주자 등을 대상으로 바른아파트관리 주민교실을 운영하고 있고,
구‧군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하여 일시 중단 중이나 입주자대표회의 운영 및 윤리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교육 시에 입주민들이 관리비 집행과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알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 귀하의 청원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청원 답변과 관련하여 추가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 번호로 연락주시면 상세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자 : 부산광역시 주택정책과장[문의처: 주택정책과 ☎888-3544]

첨부파일

댓글달기 (총 89건)

문**
2022-04-13 12:08:42
내용

공감합니다

전**
2022-04-12 22:25:26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2 15:29:13
내용

타도시와 비교하지말고 부산시민을 위한 룰을 다른도시보다 앞서서 만들어가는 것은 귀감이 될수있다고 판단하며 반드시 처리해야할 일인 것 같습니다.

장**
2022-04-12 15:23:01
내용

공감합니다

한**
2022-04-12 14:13:34
내용

공감합니다

박**
2022-04-12 11:31:00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2 09:06:15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2 09:06:14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2 08:50:06
내용

공감합니다

고**
2022-04-12 08:05:02
내용

공감합니다

장**
2022-04-12 06:24:17
내용

부산시에서 적근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
2022-04-11 20:51:24
내용

공감합니다

송**
2022-04-11 19:24:01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4-11 19:18:40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4-11 19:13:23
내용

공감합니다.

박**
2022-04-11 17:21:11
내용

행정기관에서 관리 부탁합니다

금**
2022-04-11 16:06:25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1 14:53:36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1 14:49:42
내용

공감 합니다

전**
2022-04-11 14:46:21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4-11 14:31:30
내용

공감합니다

박**
2022-04-11 09:58:14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11 09:15:54
내용

공감해요

배**
2022-04-10 21:27:29
내용

관리사무소가 독단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닌듯.. 입주자 대표랑 짜고 치는 것 아닌지...???

박**
2022-04-10 21:10:34
내용

공감합니다

임**
2022-04-10 08:43:22
내용

공감합니다

정**
2022-04-08 20:53:42
내용

공감합니다.

유**
2022-04-08 18:24:15
내용

공감합니다.

C********************
2022-04-08 16:59:38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4-08 16:55:30
내용

널리널리 알립시다~~

장**
2022-04-08 16:48:12
내용

공감합니다. 적극적으로 나서주세요.

장**
2022-04-08 15:56:51
내용

공감합니다.

정**
2022-04-08 13:13:15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4-08 13:10:06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4-08 12:55:19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08 12:48:03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4-08 11:18:28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01 22:55:50
내용

부산시에서 부산시민의 정당한 요구에 응해야 하지 않을까요?

유**
2022-04-01 19:42:48
내용

이게 무슨…..꼭 널리 알려지길바랍니다. 바껴야합니다!!

조**
2022-04-01 17:12:48
내용

공감합니다

전**
2022-04-01 16:48:01
내용

공감합니다

황**
2022-04-01 16:40:52
내용

공감 꾹!

유**
2022-04-01 16:27:54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4-01 16:06:43
내용

공감 합니다

김**
2022-04-01 15:37:11
내용

공감합니다

임**
2022-03-30 10:40:25
내용

공감합니다.

견**
2022-03-30 10:07:43
내용

공감합니다

한**
2022-03-30 08:45:45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3-29 16:25:17
내용

공감합니다.

옥**
2022-03-29 16:16:48
내용

공감합니다.

황**
2022-03-29 16:11:42
내용

공감합니다

장**
2022-03-29 12:58:44
내용

공감합니다.

오**
2022-03-29 11:50:49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3-29 11:47:56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3-24 17:02:27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3-24 00:04:47
내용

공감합니다!

오**
2022-03-23 14:12:43
내용

공감합니다!!

한**
2022-03-23 14:03:04
내용

공감합니다

도**
2022-03-23 11:07:35
내용

공감합니다 다음 정부가 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황**
2022-03-23 11:01:50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3-23 10:50:58
내용

공감합니다

장**
2022-03-19 16:50:00
내용

공감합니다!!!!!!

박**
2022-03-19 15:40:06
내용

저도 장림 청원에서 왔습니다~ 지극히 공감합니다~

온**
2022-03-19 14:52:54
내용

장림 청원에서 왔습니다.공감합니다.

김**
2022-03-17 16:06:33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3-17 16:03:37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3-17 15:47:39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3-17 08:48:12
내용

공감합니다

최**
2022-03-17 07:39:42
내용

10년전 KBS 에서도 지적한 문제가 아직도 해소되지 않고 입주민의 희생을 야기하는 독점기업을 누군가 비호하는 세력이 있는것이 아닌지요? 시청에서는 이 문제를 안이하게 처리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한**
2022-03-16 19:30:20
내용

공감합니다

이**
2022-03-16 17:20:36
내용

공감해요

박**
2022-03-16 17:10:47
내용

공감합니다

전**
2022-03-16 17:06:12
내용

부산시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최**
2022-03-16 17:05:41
내용

공감이요.

한**
2022-03-16 11:46:52
내용

공감합니다

강**
2022-03-16 10:36:16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3-16 10:02:00
내용

공감

윤**
2022-03-16 09:50:43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3-15 13:14:28
내용

공감합니다. 투명하게 관리감독을 할 수 있게 부산시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김**
2022-03-15 12:21:03
내용

공감합니다

조**
2022-03-15 11:25:50
내용

통탄스럽기가 이를데가 없네요.... 부산시의 관리감독을 촉구합니다.

김**
2022-03-15 09:51:10
내용

공감합니다

안**
2022-03-15 09:47:57
내용

공감합니다

김**
2022-03-15 09:47:15
내용

공감합니다

황**
2022-03-15 09:43:16
내용

공감합니다~~~

정**
2022-03-15 09:42:20
내용

공감합니다

황**
2022-03-15 09:19:48
내용

공감합니다

오**
2022-03-14 22:56:12
내용

부산시에서 도움을 못준다면 윤석열당선인에게 사실을알려야할듯 하네요

한**
2022-03-14 20:31:21
내용

부산시의 도움이 절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