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뉴스기사를 보게되었는데,
///'첫째, 시민 편의성 제고를 위해, 먼저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할 계획이다. 부산을 4개 권역(북·서·중·동부산권)으로 나누어 도시철도와 시내버스가 과도하게 연속으로 중복되는 노선을 대폭 조정하여 대중교통 환승체계를 강화함으로써 도시철도 중심의 시내버스 노선으로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민간이 운행을 기피하는 비수익 노선 등에 대해서는 업체 간 경쟁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하고 재정지원도 줄일 수 있는 노선입찰제를 시범도입할 예정이다'///
몇 개의 다른 기사들을 더 찾아보니 사실인 것 같아 이와 관련하여 질문 겸 청원을 드립니다.
먼저 도시철도와 시내버스가 중복되는 노선을 대폭조정하여 도시철도 중심으로 만든다는게 버스노선이나 운행차량 수를 줄이고 지하철로 환승하도록 한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본디 버스는 몇 노선을 제외하고는 수요에 따라 노선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많은 시민들이 이 노선의 버스를 이용하는것이 편리하다고 느껴 이용하는 것인데
이것을 줄여 환승하게 만든다는 것이 어떻게 시민 편의성 제고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중복된다면야 없애도 상관없겠지만 그런것도 아니고..
물론 이용률이 낮아 운행을 기피하는 지역에 차를 늘린다는 것은 복지 차원에서 적극 공감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많이 타는 차 빼서 이루어져야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 혁신안이 버스 운영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요금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거나 많이 이용하는 노선의 차량을 증차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철도를 통행량이 많은 큰 도로들을 따라서 건설했으니 중복이 되는건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지하철 자체도 출퇴근 시간에는 사람 가득차서 가뜩이나 불편한데 이걸 또 지하철로 환승하게 만들면 어떻게 감당할지 의문입니다.
사람들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도 분단위로 집중되어 증차로 해결하는것도 한계가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진정 시민들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정책이라면 무작정 노선을 자르고 줄이고 하는것보다는 시민들의 수요(노선 이용량)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이론이 아닌 실제적 접근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입장이 되어 노선을 변경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부족한 지하철 인프라로 한순간에 서울시 정책(도시철도 중심 정책) 따라가려 하는 것 보다는, 시간을 두고 지하철 인프라가 충분히 성숙할때 까지 지하철 노선을 꾸준히 늘려
자연스럽게 서울형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진정 미래를 내다보는 현명한 정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참고해주시고 정책에 반영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달기 (총 15건)
- 이**
- 2019-09-10 14:23:18
- 내용
-
부산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대중교통 정책을 펼쳐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부산은 버스와 도시철도가 공존공생하는 교통정책이 올바르다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다시 강조드리지만 시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주세요. 현장에 답이 있습니다.
- 강**
- 2019-09-02 03:46:07
- 내용
-
도시철도와 5개역 이상 중복되어 노선 폐지.단축.변경 예상 노선들 목록입니다. 1, 2, 5-1, 10, 11, 15, 17, 20, 22, 24, 26, 27, 29, 31, 33, 39, 40, 41, 42, 43, 46, 50, 51, 52, 57, 59, 61, 62, 63, 66, 67, 68, 77, 80, 81, 82, 83, 83-1, 85, 88, 103, 108, 110, 110-1, 111, 113, 121, 123, 124, 126, 127, 129-1, 131, 133, 134, 138, 138-1, 141, 144, 148, 155, 160, 167, 168, 169, 186, 200, 307, 1000, 1001, 1002, 1003, 1004 입니다. 상술한 노선들은 오거돈시장이 추진하는 도시철도 중심 버스노선 대개편의 숙청당할 가능성이 높은 노선입니다. 해당 노선을 이용하시는 승객분들은 적극적으로 부산시 교통국에 항의 부탁드립니다.
- 송**
- 2019-08-29 11:41:05
- 내용
-
정말..이것이..시민을 위한것인지 모르겠네요.. 가만히 책상에 앉아서 일하시면서..제발..시민을 위한것이라면..부산버스노선을 전부 다 한번씩 타보시고 시행을 하면 되겠네요..
- 김**
- 2019-08-28 15:36:59
- 내용
-
시민의 편의성 제고보다 무조건적인 효율성, 전 정권 역점사업에 대한 반대를 위한 반대는 절대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김**
- 2019-08-28 10:09:11
- 내용
-
황폐해져가는 부산경제에 눈에 띄는 어떤성과를 내보이기는싶고 책상머리에 앉아서 짜낸게 버스없애기입니까? 제발 탁상공론만 하지말고 한번만이라도 길거리에나와서 시민들이 어떻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지 부산이 서울같은 지하철 중심이 맞는것인지 확인쫌하고 나랏녹을 드세요. 시청앞의 상황만 보지마시고 부산 전체의 도로상황이나 지형을 생각해보세요. 버스없애기는 현 시장님의 안나오는 성과 쥐어짜서 만들어 내려는 수단으로밖에 안보입니다. 각성하세요.
- 김**
- 2019-08-28 09:27:39
- 내용
-
공무원들분등도 생각이 있겠죠...시민의 말만 듣도 아!맞네...라고 생각하시지는 않는거죠..... 대중교통의 편리함은 다들 아실꺼라 믿습니다... 시장님은 관용차! 전직원들은 개인자동차내지는 통합버스로 출근..... 힘드심을 모르는분들이시잖아요......시민을 생각한다면 뭐가 옳은 답인지를 아실껍니다..
- 김**
- 2019-08-27 20:02:03
- 내용
-
멀쩡한 버스노선 조정 하는게 시민편의 인지 의문이네요
- 이**
- 2019-08-27 16:07:37
- 내용
-
매일 버스를 이용하는 한 사람으로써 대중교통은 자주 빨리 오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대중교통 이용 하는 선택에 대해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있는 것이지 왜 줄이는 정책을 펴는지 이해 할 수 없습니다.
- 이**
- 2019-08-22 21:42:14
- 내용
-
시민의 세금으로 일을 하는 시장님. 시민의 혈세를 받아가면서 시민의 목소리에 귀을 기울여 들으세요.버스를 타고 시정업무 를 보십니까?아님 지하철타고 시정업무를 보십니까?관용차를 타고 다니시면서 답답한 소리 하십니다.
- 임**
- 2019-08-19 12:37:28
- 내용
-
버스는 골목골목으로 가는 노선이 있어서 노약자들이나 교통약자들이 이용하기 원할하며 지하철의 경우 역까지 나와야한다는 불편함이 그냥보이는데 왜굳이 버스를 까는게 이해가안되며 철도는 왜이렇게 챙기는지 철도는 공무원이라서 챙긴다면 버스도 공영제로 만들면 안되는가요? 선진국으로 갈수록 철도보다는 버스에 투자를 많이하는 실정인데 이건머 역행수준이네요. 여튼 위에글에 적극 공감합니다.
- 구**
- 2019-08-19 12:28:20
- 내용
-
지하철 노선중심이면 지하철역하고 어중간하게 떨어진 사람은 어찌가라는건지. 택시비 지원해줄려나?
- 한**
- 2019-08-19 11:24:26
- 내용
-
지하철이든 버스든 자기에게 필요한 것을 이용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왜 노선을 변경하면서까지 지하철을 이용하도록 하는지 모르겠네요 지금까지 시에서 하라고 안해도 필요한 사람은 다 환승을 하고 있는데 말입니다 그리고 버스에서 지하철 환승은 무료도 아니고 100원의 환승요금이 있고 2구간에서는 어른은 300원, 학생은 400원의 환승요긍이 생기는것도 물론 알고 계시겠지요 왜 필요하지 않은 환승을 해야되고 요금도 더 부담해야 하는지 명확한 설명도 없는데 이런 사실을 아는 승객들은 모두가 반대할 겁니다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최**
- 2019-08-19 08:56:04
- 내용
-
복지위한 노선 조정이었고 복지를 위한 시내버스 준공영제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지자체의 재원이 부담되어 노선을 축소하고 변경 한다면 차라리 요금을 인상시키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이**
- 2019-08-19 08:13:04
- 내용
-
민간이 운행을 기피하는데 어떻게 업체간 경쟁을 시킨다는 건가요? 수익도 적은 노선을 서로 경쟁해서 할려구 할까요?
- 정**
- 2019-08-17 04:23:32
- 내용
-
시민의 발인 버스를 시민의 의견은 무시 하고 시 단독으로 결정 하는것은 잘 못된 결정이고, 부산의 도로 여건은 타시도 와 다른데 무조건 도시철도 중심으로 하겠다는 발상이 잘못된것 입니다.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의 편리성을 재고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