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메가시티란?
- 메가시티(Megacity)
-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도시권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경제규모를 갖춘 인구 1,000만명 이상
거대도시
※ 대도시(Metropolitan City) :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로 국가적, 지역적으로 정치·경제·문화 등의 중추가 되는 도시
※ 소도시(City) : 인구 5만명 이상의 사회, 경제, 정치적 활동의 중심지
-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
-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공동문제 해결 및 글로벌 도시 경쟁력제고를 위해 생활·경제·문화·행정공동체를 형성하여 부산·울산·경남이 함께 생활하고 성장하는 초광역 단일
경제권 구축전략
- 지방자치법 전면개정에 따른 특별지방자치 단체 설치 규정은 부울경 메가시티의 법적 근거이자 실행력 확보 수단이 될 것임
※ 특별지방자치단체
: 2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특정목적을 위하여 광역적으로 사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설치되는 특수형태의
지방자치단체(公法人)
※ 동북아시아 7대 메가시티
- 한국 : 수도권(서울)
- 중국 : 징진지(베이징), 창장(상하이), 주장(홍콩)
- 일본 : 긴키(오사카), 주부(나고야), 간토(도쿄)
세계의 대도시권 간 글로벌 경쟁체제 심화
- 메가시티 확산 추세(‘18년 33개→’30년 43개)에 따라 도시간 경쟁 심화
-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도시 경쟁력 제고 전략으로 메가시티 추진
과도한 수도권 집중, 비수도권 지역과의 불균형 심화
- 인구, 지역내총생산, 연구개발비 등 수도권 집중도 가속화

한국판 뉴딜과 연계한 동남권 지역뉴딜 전략 수립 필요
- 한국판 뉴딜 본격화에 따른 동남권 뉴딜 대응 전략 수립
- 기존 정책의 실천력 강화
- 디지털, 그린 뉴딜 등 동남권 차원 공동대응체계 구축 및 사업발굴

부울경이란?

글로벌 메가시티로 준비된 부울경
- 역사문화적 동질성
- 삼국시대 이후 동일한 행정구역
- 임진왜란, 한국전쟁 등 격전지를 함께 지켜낸 호국공동체
- 부마민주항쟁 등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
- 공동생활권 형성
- 동남권의 밀접한 산업연계
- 조선-자동차 최종재 생산기업 및 공급기업
- 조선, 자동차, 기계, 건설 등 공급사슬 중심의 폐쇄적 네트워크
- 미래자동차 관련 동남권 소재 기업 자본집약도 전국 평균 이상
다운로드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자
자료관리 담당자
- 자치분권과
- 박태원 (051-888-1814)
- 최근 업데이트
-
2021-09-09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