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新闻

向着市民更幸福的2023年釜山出发

c-2_1

*韩文内容在下面。


提前了解2023年釜山市政


2023年釜山广域市将以“市民幸福城市”、“来生也想居住的城市”为目标,全力出发。釜山市长朴亨埈对新一年的市政重点目标表示:“2023年将会是釜山成为全球枢纽城市之列的元年。我们不仅全力申办2030釜山世博会,且申办世博会的核心工程——加德岛机场的建设以及釜山港北港的再开发也将加速进行,努力让市民们更进一步达成“市民幸福城市”、“来生也想居住的城市”等市级目标。”

首先,在申办2030釜山世博会方面,釜山市将全力以赴准备今年4月份国际展览局(BIE)在当地进行的实地考察。国际展览局实地考察团将由考察团长、事务总长、事务局相关工作人员等组成。具体考察内容包括对去年9月提交的申办计划书中的内容进行提问、考察博览会举办场地、与主要相关负责人面谈等。考察团对各个项目进行考察确认后,将考察报告提交于国际展览局。釜山市将同政府申办志愿团一道,全力参与礼宾、用地视查、申办陈述和欢迎欢送等工作,并将利用IT、元宇宙等尖端技术,突出釜山的优势。2030世博会申办国将于今年6月进行第4轮申办陈述。11月在BIE总会进行投票,选出2030年世博会举办地。釜山正在与沙特阿拉伯利雅得、意大利罗马进行激烈的角逐。

第二,为了实现全球枢纽城市、市民幸福15分钟城市,将扩建城市基础设施,增强高质量发展。具体积极推进的项目有:以空间创新,促进均衡发展;为达成15分钟城市,提早实行Happy挑战(至2024年选定5个区域代表生活圈,建成儿童复合文化空间、老年人HA-HA中心、绿地空间、强化共同体项目等);为打造欧亚关门城市,建设全球新海洋产业中心地;积极推进能反映社会经济条件的整顿工程;增强地区建筑业的竞争力,激活地区经济;扩建步行基础设施,实现步行15分钟幸福生活圈等。

第三,在提高地区经济活力方面,发展民生稳定与创新,使市民生活有看得见的改变。为此,将尽力推动“2023年釜山经济发展十大项目”,共同助力釜山发展成为国际化城市。十大项目为:2030世博会成功申办、全面促进加德岛机场尽早投入运行、形成量子信息技术生态环境基础、培育数字创新人才、全面推进Eco Delta Smart City国家示范城市、建设釜山区块链特别集群等。

第四,市民幸福福利及文化实现方面,以“日常生活中的文化创新城市”为目标,全力推进各种项目。具体项目有:构建世界最高水平的文化基础,实现文化流入生活城市;建设应对新未来的文化遗产城市;兴建专用公演设施以推动国际音乐城市的发展;为应对数字化转型,构建影像内容产业领先城市;打造日常体育活力天堂城市等。

釜山市的市政核心项目可在釜山市官方网站查看。


-----------------------------------------

▮2023년 부산시정 미리보기


2023년 부산광역시가 시민행복도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를 목표로 힘차게 출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새해 시정 목표에 대해 “2023년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원년 될 것”이라며 “세계박람회 유치에 핵심 기반인 가덕도신공항 건설, 부산항 북항 재개발 같은 미래비전 사업에 박차를 시민이 행복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겠다”고 밝혔다.

먼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부문에서는 오는 4월 예정된 국제박람회기구(BIE)의 현지 실사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BIE 실사단은 실사단장과 사무총장, 사무국 관계자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며, 지난해 9월 제출한 유치계획서에 담긴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박람회장 예정지 방문, 주요 인사 면담 등의 일정으로 진행한다. 실사단은 이들 각각의 항목에 대한 준비 상황을 확인하고 이후 실사 보고서를 BIE에 제출한다. 부산시는 정부 유치지원단과 함께 의전과 부지 시찰, 프레젠테이션, 환영·환송 행사 등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IT·메타버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부산의 강점을 살린 부각시킬 계획이다. 2030세계박람회 신청국들은 오는 6월 4차 PT를 진행한다. 11월 BIE 총회에서 투표를 거쳐 2030세계박람회 개최지가 최종 결정된다. 부산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등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둘째, 글로벌 허브도시, 시민행복 15분 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도시 인프라 확충과 질적 성장에 주력한다. 세부 사업으로는 ▷공간혁신으로 균형발전 추진 ▷15분 도시 조성을 위한 Happy 챌린지(2024년까지 지역 대표 생활권 5곳을 선정해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노년층을 위한 HA-HA센터, 녹지공간 조성, 공동체 사업 강화 등 추진) 확산 조기 실현 ▷유라시아 관문도시 조성을 위한 글로벌 신해양산업 중심지 육성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를 반영한 정비사업 활력 추진 ▷지역건설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보행 인프라 확충으로 걸어서 행복한 15분 생활권 조성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셋째, 지역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서는 민생안정과 혁신성장으로 시민 삶의 가시적 변화 창출을 끌어낸다는 목표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글로벌도시 도약을 위해 ‘2023년 부산 경제 도약 프로젝트 10’ 추진에 힘을 모은다. 프로젝트 10은 2030세계박람회 유치 성공,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 본격 추진, 양자정보기술 생태계 기반 조성, 디지털 창의 인재 양성,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본격 추진, 부산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 등이다.

넷째, 시민행복 복지‧문화 구현 부문에서는 ‘일상에 문화가 흐르는 문화창조 도시’를 목표로 ▷세계 최고 수준 문화 기반 구축, 일상 속 문화가 있는 도시 ▷새로운 미래에 대응하는 문화유산 도시 부산 ▷전문 공연시설 구축으로 국제 음악도시 조성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영상콘텐츠산업 선도도시 조성 ▷스포츠로 일상이 즐거운 체육천국도시 부산 실현에 전력을 다할 계획이다.


부산시의 시정 핵심사업은 부산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