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추진전략
모든 어린이집, 저녁 7시 30분까지 열겠습니다.
- 19:30까지 전 어린이집 개방 운영: 전담교사ㆍ초과수당 지원, 돌봄 공백 해소
- 국공립등 공공형 보육시설 확충: ’22년까지 30개소 추가 확충(이용률 42%)
- 1구 1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 ’24년까지 5개소 추가 설치(10→15개소)
부모가 부담하는 차액보육료 전부, 시가 조건없이 책임지겠습니다.
- 차액보육료 지원: 모든 아이 차액보육료 100% 지원으로 부모 부담 ZERO
- 영유아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0~5세 영유아 대상, 74,000여명
- 가정양육수당 지원: 초등학교 미취학 86개월 미만 아동(어린이집, 유치원 미이용시), 월100~200천원
* ‘22년 이후 출생아는 만 2세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
- 영아수당 지원: ’22년 이후 출생한 만0-1세 아동(어린이집 미이용 시), 월 300천원
어린이집 ! 일하고 싶은 직장, 부러워하는 직장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 보조교사 지원 확대로 보육교사 쉼(,) 보장: 보조교사 증원, 휴게시간 보장
- 대체교사 지원으로 공백없는 보육서비스 제공: 연가, 질병, 경조사시 지원
- 보육행정매니저 배치로 행정 업무 경감: 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최대 58명
- 장기근무수당 지원 확대: 근무년수 기준 완화(5년 → 3년, 10년 → 7년)
- 사회서비스원 설립으로 고용 안정 지원: 시립어린이집 우선
우리 아이,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을 만들겠습니다.
-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설치: 전체 어린이집 100% 설치
- 어린이집 통학버스 하차 확인장치 운영: 미확인시 경보음과 표시등 작동
- 보육현장 맞춤형 아동학대예방 교육: 아동학대 사례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예방교육 실시
- 보육장학제 운영: 보육과정ㆍ취약보육ㆍ안심보육 등 컨설팅을 통해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
- 열린어린이집 운영 확대: 어린이집 개방 및 부모 참여 활동 강화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자
자료관리 담당자
- 출산보육과
- 최보혜 (051-888-1572)
- 최근 업데이트
-
2022-11-16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