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DR콩고에서 첫 인간 감염사례 이후 중앙 및 서부 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
대다수 사례는 DR콩고와 나이지리아에서 발생 보고
두창과 유사하나 중증도는 낮음
병원체 특성
인수공통감염병 병원체(설치류, 원숭이, 다람쥐, 아프리카 영양 등 야생 포유류)
임상증상 및 역학적 특성
(잠복기) 5~21일(평균 6~13일)
(치명률) 1% 미만으로 보고됨 *풍토병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한 중앙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의 치사율은 약 10%로 보고됨
(전파경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사람’,‘사람⇒사람’,‘감염된 환경⇒사람’으로 전파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동물, 사람의 혈액, 체액, 피부,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
(매개물)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린넨, 의복 등) 접촉을 통한 전파 *태반을 통한 수직감염과 성행위 감염 가능
(비말) 코,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간 직접 전파
(공기)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가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
(임상증상)
(중증도) 질병의 정도는 대부분 경증으로 2~4주후 완치
대증적인 증상완화 치료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보고됨
다만 특정인구집단(면역저하자, 소아, 임산부, 기저질환자 등)에서 중증으로 진행되기도 함
(임상양상)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 증상 발현 *`22년 5월 이후 비풍토병 국가에서 유행 중인 사례는 발진 전 전구기(발열 등)가 없거나 발진 후에 전구기가
나타나기도 함
특정부위(항문생식기)에 발진 수가 5개 미만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항문궤양, 구강궤양, 항문직장 통증, 안구통증, 이급후증 등을 동반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음
발진 진행은 여러 단계(반점→수포→농포→가피)를 거치며 딱지가 형성되어 탈락 *엠폭스 발진은 경계가 분명하고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배꼽처럼 중앙이 파인 모양
파종성 발진으로 원심성(사지, 얼굴에 더 많은 병변), 손바닥, 발바닥에 병변이 많은 특징이 있음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감염된(감염의 위험이 있는) 사람 또는 동물과의 직·간접적 접촉 피하기
감염된 환자가 사용한 물품(린넨과 같은 침구류 등)과의 접촉 피하기
의심되는 사람, 동물 또는 물건과 접촉을 한 경우, 비누와 물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 성분의 소독제을 이용하여 깨끗이 하기
엠폭스 발생국(장소)을 여행하는 경우, 바이러스를 보유할 수 있는 동물과의 접촉 피하기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자
자료관리 담당자
감염병관리과
장영수 (051-888-3358)
최근 업데이트
2023-08-1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