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개인 (5개) : 구분 (걷기실천율 (%), 건강검진률(%), 복부비만율(%), 암발생률(%), 의료서비스 만족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걷기실천율 (%)
매년(익년)6월
44.7
49.4
55.7
49.7
건강검진률(%)
매년(익년)12월
78.36
79.14
77.16
복부비만율(%)
매년(익년)12월
21.35
21.8
26.6
암발생률(%)
3년전 자료가 매년 5월 발표
0.3001 300.1명 (10만명당)
0.2953 295.3명(10만명당)
‘21.5.발표예정
의료서비스 만족도(%)
짝수년도 12월
62.1
-
63.4
마음의 행복 (4개)
마음의 행복 (4개) : 구분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우울감경험률(%), 자살률(%, 인구10만명당)),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삶의 만족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5.8
65.9
긍정 정서(%)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2.6
57.6
부정 정서(%)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35.2
42.6
우울감경험률(%)
매년(익년) 4~5월
6.1
6.4
6.7
6.1
자살률(%, 인구10만명당)
매년(익년) 9월
23.1
22.4
23.0
24.5
즐거운 여가 (6개)
즐거운 여가 (6개) : 구분 (1인당 영화공연 등 문화예술 행사 연간 관람횟수(회), 1인당 연간 독서량(권), 1인당 스포츠레저 연간 참여율(%), 문화생활 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1인당 영화공연 등 문화예술 행사 연간 관람횟수(회)
짝수년도 12월
4.5
-
4.8
1인당 연간 독서량(권)
매격년(익년) 3월
-
5.9
4.8
1인당 스포츠레저 연간 참여율(%)
매년(익년) 2월
56.1
58.8
69.3
69.7
문화생활 만족도
짝수년도 12월
5.32
-
5.54
여가생활만족도(%)
짝수년도 12월
5.70
-
5.76
구분 (국내여행횟수(%), 해외여행횟수(%)), 산출주기, ‘13년, ‘15년, ‘17년, ‘19년, ‘21년, ‘23년, ‘25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3년
‘15년
‘17년
‘19년
‘21년
‘23년
‘25년
국내여행횟수(%)
매격년 12월
66.7
68.1
71
66.1
해외여행횟수(%)
매격년 12월
16.4
17.4
25
27.5
가족 ▷ 1개 영역 7개 지표
함께하는 가정 (7개)
함께하는 가정 (7개) : 구분 (가족과 함께하는 하루 평균시간(분), 노후생활자금준비율(%), 육아휴직급여 수급자수, 가족친화 인증 기업수, 가족관계만족도(%), 가족부양
부담감),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가족과 함께하는 하루 평균시간(분)
짝수년도 12월
196.4
-
194.7
노후생활자금준비율(%)
짝수년도 12월
72.9
-
72.4
육아휴직급여 수급자수
매년 12월
7,539
7,379
7,999
8,800
가족친화 인증 기업수
매년 12월
123
171
199
225
가족관계만족도(%)
짝수년도 12월
56.9
52.5
가족부양 부담감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54.0
48.9
구분 (가사활동전담시간(요일평균)), 산출주기, ‘04년, ‘09년, ‘14년, ‘19년, ‘24년, ‘29년, ‘34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04년
‘09년
‘14년
‘19년
‘24년
‘29년
‘34년
가사활동전담시간(요일평균)
매5년(익년) 7월
4시간 01분
3시간 28분
3시간 53분
3시간 38분
공동체 ▷ 2개 영역 11개 지표
따뜻한 이웃 (7개)
따뜻한 이웃 (7개) : 구분 (노인돌봄기본 서비스 대상 비율(%), 소통하는 이웃의 수(명), NGO활동 가입자 수(단위 : 명), 자원봉사참여율(%), 사회복지
공동모금액(백만원), 사회적관계별 소통정도(%), 사회참여 만족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노인돌봄기본 서비스 대상 비율(%)
매년(익년) 1월
10.7
10.9
9.9
12.8
소통하는 이웃의 수(명)
짝수년도 12월 (‘20년이전에는 홀수년도 12월)
-
2.43
-
1.83
NGO활동 가입자 수 (단위 : 명)
매년 12월
-
-
1,386,223
1,593,938
자원봉사참여율(%)
매년(익년) 2월
39%
39%
30%
27%
사회복지 공동모금액(백만원)
매년(익년) 6월
20,621
20,288
19,114
21,515
사회적관계별 소통정도(%)
홀수년도 11월
-
73.87
-
74.0
사회참여 만족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4.2
65.9
차별없는 사회 (4개)
차별없는 사회 (4개) : 구분 (성평등지수(Level), 아동·장애인·노인 학대, 사회 각 분야별 차별인지도(%), 인권에 대한 시민의 인식(%)),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성평등지수(Level)
매년(익년) 12월
2
2
1
아동· 장애인· 노인 학대
아동학대 신고건수
매년(익년) 12월
1,332
2,104
2,207
아동학대 판정건수
매년(익년) 12월
880
1,459
1,612
아동학대 상담건수
매년(익년) 12월
13,676
15,249
17,505
장애인학대 신고건수
매년(익년) 2월
-
-
304
170
장애인학대 판정건수
매년(익년) 2월
-
-
62
92
장애인학대 상담건수
매년(익년) 2월
-
-
660
1,117
노인학대 신고건수
매년(익년) 2월
764
771
795
895
노인학대 판정건수
매년(익년) 2월
349
373
380
365
노인학대 상담건수
매년(익년) 2월
6,460
9,524
10,539
10,140
사회 각 분야별 차별인지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34.4
27.3
인권에 대한 시민의 인식(%)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56.6
54.0
도시 ▷ 4개 영역 31개 지표
안정된 일자리 (7개)
안정된 일자리 (7개) : 구분 (1인당 소득(천원), 생활 물가 지수(전년비), 상용근로자 비율(%), 이직률(%), 고용률(%), 산업재해발생건수(재해율)),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1인당 소득(천원)
매년(익년) 12월
17,525
18,189
18,917
생활 물가 지수(전년비)
매년(익년) 1월
100.89(0.9)
103.04(2.1)
105.01(1.9)
105.40(0.4)
상용근로자 비율(%)
매년(익년) 1월
48.20%
50.30%
53.80%
54.70%
이직률(%)
매년 5월, 11월
3.20%
4.00%
3.90%
2.60%
3.10%
고용률(%)
매년(익년) 1월
56.20%
56.30%
55.70%
56.60%
산업재해발생건수(재해율)
매년(익년) 4월
5,613(0.51)
5,839(0.49)
6,088(0.54)
6,390(0.59)
구분 (근로여건 만족도(%)), 산출주기, ‘15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3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5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3년
근로여건 만족도(%)
홀수년도 12월
31.7
34.4
-
38.3
쾌적한 환경 (7개)
쾌적한 환경 (7개) : 구분 (노후상수관로비율(%), 낙동강원수 수질기준 적합도(㎎/L), 초미세먼지 고농도 연간 발생일수, 해수욕장 수질기준 적합도(%), 소음도
기준이내지역(총7개지역중 초과율 %), 녹지율(%), 공원 접근성(%)),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노후상수관로비율(%)
매년(익년) 2월
3.2
2.9
1.9
1.0
낙동강원수 수질기준 적합도(㎎/L)
매년(익년) 2월
2
1.8
2
1.9
초미세먼지 고농도 연간 발생일수
매년 12월
75일
69일
63일
41일
해수욕장 수질기준 적합도(%)
매년 10월
96.9
100
100
94.8
93.5
소음도 기준이내지역(총7개지역중 초과율 %)
낮
일반
매년 12월
71.4
71.4
71.4
50.0
도로변
매년 12월
42.9
57.1
28.6
16.7
밤
일반
매년 12월
71.4
71.4
71.4
66.7
도로변
매년 12월
100
85.7
85.7
100
녹지율(%)
짝수년도(전년자료) 12월
-
12.49
공원 접근성(%)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59.7
63.6
편안한 도시인프라 (9개)
편안한 도시인프라 (9개) : 구분 (공공임대주택 비율(%),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비율(%) 대중교통수송 분담률(%)),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공공임대주택 비율(%)
매년 12월
5.22
5.25
5.28
5.4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비율(%)
매년 5~6월
5.6
5.7
국토부 미발표
부산시 용역진행중
대중교통수송 분담률(%)
매년(익년) 3월
43.60%
43.70%
43.70%
44.30%
구분 (교통혼잡 비용(%, 1인당 연간)), 산출주기, ‘10년, ‘11년, ‘12년, 비고 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0년
‘11년
‘12년
비고
교통혼잡 비용(%, 1인당 연간)
매3년 12월
105만원
103만원
113만원
‘16년부터 산정방법 변경・개선하여
‘16년, ‘17년 실적을 ‘2020년 발표예정
구분 (안전사고하루사망자수(명)),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안전사고하루사망자수(명)
매년(익년) 12월
3.553
3.364
3.432
구분 (대중교통이용만족도), 산출주기, ‘13년, ‘15년, ‘17년, ‘19년, ‘21년, ‘23년, ‘31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3년
‘15년
‘17년
‘19년
‘21년
‘23년
‘31년
대중교통이용만족도
시내버스만족도(%)
홀수년도 12월
30.9
44.5
51.2
56.6
도시철도만족도(%)
홀수년도 12월
47.1
58.3
63.2
67.3
택시만족도(%)
홀수년도 12월
15.9
30.5
30.1
36.9
구분 (주거환경 만족도(%)), 산출주기,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1년, ‘30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1년
‘30년
주거환경 만족도(%)
홀수년도 12월
41.4
-
48.8
-
50.5
구분 (보행환경 만족도(%), 사회안전에대한인식(%)),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30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30년
보행환경 만족도(%)
홀수년도 12월 (‘20년이전에는 매년 12월)
34.2
39.3
36.4
42.1
사회안전에대한인식(%)
짝수년도 12월
19.6
-
22.6
미래가 있는 교육 (8개)
미래가 있는 교육 (8개) : 구분 (학교폭력발생건수, 청소년유해환경 개선(점검․단속 건수), 평생교육 시설 수 및 이용자 수, 영유아대상 국공립 기관비율(%),
청소년의생활만족도(%), 모바일 활용능력(%),
평생교육이용 만족도(%), 지역의교육환경만족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으로 구성된 표
구분
산출주기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학교폭력발생건수
매년(익년) 9월
1,589
2,445
2,643
2,299
청소년유해환경 개선(점검․단속 건수)
매년(익년) 1월
2,562건
3,437건
2,756건
3,840건
평생교육 시설 수 및 이용자 수
시설 수
매년 12월
88
128
148
209
이용자 수
매년 12월
259,141
375,503
520,343
477,909
영유아대상 국공립 기관비율(%)
매년 12월
8.47%
8.69%
9.47%
11.4%
청소년의생활만족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1.2
73.4
모바일 활용능력(%)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2.9
63.7
평생교육이용 만족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4.7
65.8
지역의교육환경만족도(%)
매년 10월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조사 미실시
62.8
58.0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자
자료관리 담당자
사회통합과
김덕수 (051-888-1214)
최근 업데이트
2020-12-0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