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발굴 협력 통한 부산종교인평화회의와 "안녕한 부산" 가치 확산

부서명
복지정책과
전화번호
051-888-3172
작성일
2024-08-13
조회수
64
첨부파일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복지위기가구 발굴 기반 확대를 위해 부산종교인평화회의와 협력해 불교·원불교 신도를 대상으로 위기가구 발굴 순회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지난 5월, 시와 부산종교인평화회의는 시 복지정책 브랜드 ‘안녕한 부산’의 가치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이번 순회 교육은 업무 협약의 후속 조치로, 복지사각지대 축소 및 예방 효과를 기하고자 지역주민과 밀접하게 접촉하고 복지위기가구 실태 파악이 용이한 종교단체 신도들을 대상으로, 각 종단의 법회 시간 전 또는 이후 시간에 맞춰 총 2차례(8.4, 8.11.) 진행했다.


□ 교육 내용은 ▲위기가구 범위 안내 ▲위기가구 신고·제보 방법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앱) 소개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안내 및 가입 독려 ▲유의사항 전달 등으로 구성됐다.

 ○ 위기 징후가 발견되면 대상자의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 이‧통장에게 관련 내용을 적극 전달할 것을 강조하는 한편, 종단 내 교육자료와 내용을 전파해 위기가구 발굴‧신고에 있어 종교단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독려했다.

 ○ 시는 향후 정기적으로 교육을 진행해 신도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특히, 신규사업인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앱)'에 대해 소개하고, 앱 설치 및 복지 위기 상황과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제보해 복지서비스 연계가 가능하도록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앱)’는 본인 또는 일반 국민, 업무유관자 등이 위치정보(GIS) 기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위기가구를 신고하면 신고한 위기 알림 정보가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으로 연계돼 대상자 확인 및 상담·결과 입력이 이뤄지는 서비스다.

 ○ 위기 상황과 관련된 사진을 첨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지자체 담당자는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의 위기 상황과 생활 여건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웃 위기 알림의 경우 부득이하게 신원을 밝히기를 꺼리는 경우가 있는 점을 고려해 익명 신청 기능도 제공한다.


□ 한편, 부산종교인평화회의 회장이자 마하사 주지 정산스님은 위기가구 발굴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향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서 복지 사각지대 틈새를 메우는 역할에 앞장설 예정이다.

 ○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이란 지역사회 내 위기가구 발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인적자원 교류망(네트워크)의 무보수·명예직 지역주민으로, 올해 6월 말 기준 2만3천343명의 시민이 16개 구·군에 소속돼 활동 중이다.

 ○ 주로 구·군 및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이‧통장, 읍면동 주민자치단체 회원, 생활업종 종사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돼 있다.

    * 공동주택‧오피스텔‧고시원‧모텔 관리자, 집배원, 가스검침원, 배달업종 종사자, 금융기관 종사자, 음식‧숙박 등 서비스 업종 종사자 등


 ○ 시는 정산스님의 이번 의사 표명에 따라 소속 신도들의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신청과 참여가 확산할 것으로 기대한다.


□ 배병철 시 사회복지국장은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종교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앞으로도 '안녕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순회 교육 추진 등 종교단체와 협업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과 소통하며 시민들의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복지정책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챗봇이미지_기본 챗봇이미지_호버 복지-고용-금융 AI상담원 자립꿀단지 챗봇입니다.